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구축과 계획적 관리방안 (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박창석 -
dc.contributor.other 노백호 -
dc.contributor.other 정재현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20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20Z -
dc.date.issued 20081230 -
dc.identifier A 환1185 2008 RE-07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375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RE2008-07.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구축과 계획적 관리방안(Ⅰ)_박창석.pdf -
dc.description.abstract Abstract Planning 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 National Coastal Ecological Network in Korea (Ⅰ) Territorial coastal areas provide various ecological values and functions and have biological diversity and unique biota. As part of the National Environmental Comprehensive Plan (2006-2015), Baekdudaegan, the north-south boundary area, and coastal islands have been presented as an ecological network. However, considerations regarding the coastal islands have been insufficient compared with the Baekdudaegan and north-south boundary areas. Furthermore, the coastal ecosystem has been threatened by increased sea levels due to climate change, rapid development, and excessive use of natural resources, increased industrial and agricultural waste flows, and over-fishing. As a result, biological diversity and the foreshore have been threatened. For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coastal areas, an ecological network and sustainable space management are required. By building a territorial coastal ecological network, environmental capacity could be continuously created and maintained. In addition, smart green-growth, and the upgrading of territorial values based on ecological integrity and creativity could be achieved. Trends in Korea show that population and urban development have converged toward coastal areas; bringing to the forefront problems associated with current natural preservation policies which emphasize the forest ecosystem. Moreover, the current natural preserva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coastal areas has several problems, such as insufficient integrated data for ocean and land, an absence of spatial management methods for coastal areas, and a weak management system for coastal areas. In this study, spatial boundarie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establishing standards of coastal zone that are used in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and the coastal characteristics and GIS data of Korea. Terrestrial coastal region were established based on coastal area (standard area), distance from coastline, boundary of administrative districts etc. Bathymetry and distance from coastline are also used to determine the coastal zone. Coastal ranges of the ocean division are presented at a depth of 20m and a distance of 5km. This study sets 12 categories by dividing the ecological circumstances of coastal areas into biological resources and ecosystems. That is, endangered species, species diversity, habitat diversity, and physical habitat are considered. Key areas for the foundation of a coastal ecosystem network are derived by identifying areas which have abundant species and habitat diversity. For the building of a coastal ecological network and verification in this study, reference and focus groups, spatial analysis through GIS and an estimating index for physical diversity shall be utilized. Centering on experts from 12 fields, focus groups performed operations such considering main aspects, evaluation standards, deduction of potential (core) essential regions, and mapping for each field. As for biological classifications, they were classified into seven fields, including (migratory) fish, winter migratory birds, coastal plants, invertebrates (decapod, macrophyte, and mammalian). As for the ecosystem field, it wa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ive areas: estuary, foreshore, coastal sand dune, islands, and coastal terra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e 12 focus groups, the potential core essential regions, potential ordinary essential regions and such were constructed into GIS DB; space analysis and verification were enforced to prepare the basic plan for the national coastal ecological network . To construct the national coastal ecological network, a synthetic evaluation system (evaluation articles, evaluation standards, etc.) and planning (accumulation, expression methods, etc.) method were proposed. On the basis of 1km lattice for each of the seven biological classes and five ecosystems, each lattice was classified into core essential region, ordinary essential region, or research observatory region. A synthetic ecological network was produced by giving weight according to core essential region and such. It can be understood that ecological importance is high, centering the southern end of Ganghwa, Gyeonggi bay, and such through the plan gathered the evaluation results of biological classes as well as the plan gathered the evaluation results of ecosystems. From an ecological point of view, it was realized that the surroundings of Ganghwa-do, where the estuary ecosystem and foreshore ecosystem exist in harmon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omposition of the national coastal ecological network. As mentioned above, core essential regions, important regions and research verification regions were deduced, gathered and systemized to prepare the national coastal ecological network, centering the representative 12 fields showing ecological, biological features of the national coast. Through this process, nine core regions composing the national coast ecological network were deduced, presenting core essential regions, positioned essential regions, and connecting regions. The nine core regions of the national coastal ecological network are: ⓐ Han river estuary and Ganghwa-do region, ⓑ Anseong creek and Whaseong-Pyeongtaek region, ⓒ Geum river and Boryeong-Seocheon region, ⓓ Yeonsan river and Mokpo island region, ⓔ Tamjin river and Wando island region, ⓕ Seomjin river and Yeosu-southern sea region, ⓖ Nakdong river and Dadaepo region, and ⓗ Hyeongsang river and Yeongilman region, ⓘ Gyeongpodae reg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eparate management plan for each region in order to preserve the ecosystem of the national coast as well as the diversity of organisms by devising systemic conservation and effective management to continually maintain and create the national environmental capacity of the nine core regions. During the second year of research, the planned management methods for the national coastal ecological network shall be devised based on P-S-R analysis. With regard to microscopic aspects, detailed plans for the national coastal ecological network shall be formulated based on case studies; present the national coastal ecological network plan systems, legal grounds, and ecological land use plans. Of the nine core regions, the Yeosu-Gwangyang-Hadong-Southern regions will be examined with priority in order to prepare a detailed pla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차 례 <br> 제1장 서 론 <br>1. 연구의 배경 <br>2. 연구의 목적 <br>3. 선행연구 고찰 <br>4. 연구의 내용과 방법 <br>가. 연구내용 <br>나. 연구방법 <br>다. 연구과정 <br>5. 국토연안의 공간범역 설정 <br>가. 국토연안 공간범역 설정기준 검토 <br>나. 국토연안 공간범역 설정 <br> 제2장 국토연안의 자연생태 현황과 문제점 <br>1. 국토연안의 자연생태 현황 분석 <br>가. 전반적인 현황 <br>나. 자연환경 및 생태자원 현황 <br>2. 국토연안 조사 및 관리체계 <br>가. 조사 현황 및 체계 <br>나. 법 · 제도 및 관리정책 <br>다. 보전 등 관리 현황 : 서식지를 중심으로 <br>3. 국토연안 자연환경 보전 및 관리상의 문제점 <br>가. 해양과 육상에 대한 통합자료의 미흡 <br>나. 국토연안지역에 대한 공간적 관리수단 부재 <br>다. 미흡한 국토연안지역의 생태환경 관리체계 <br>라. 저조한 국토연안지역 보호구역 지정과 관리 <br> 제3장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개념과 관련 사례 검토 <br>1. 생태네트워크 이론과 개념 정립 <br>가. 생태네트워크 이론의 등장과 전개 <br>나.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의 개념과 구성요소 <br>2.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관련 사례 <br>가. 우리나라의 국토생태네트워크 구축 현황 <br>나. 연안생태네트워크 구축 사례 <br>3.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의 함의와 유용성 <br>가.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의 공간적 함의 <br>나.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의 유용성 <br> 제4장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기본안 마련 <br>1. 기본 틀 설정 <br>2. 포커스 그룹 조사의 구성과 운영 <br>가. 포커스 그룹 조사의 특성과 사례 <br>나. 포커스 그룹의 구성 및 운영 <br>다. 주요 항목별 관련 GIS 자료 구축 <br>3. 포커스 그룹 조사에 기초한 잠재적 중요지역 도출 <br>가. 생태계 분야의 평가 설정 및 잠재적 중요지역 도출 <br>나. 생물분류군 분야의 평가기준 설정 및 잠재적 중요지역 도출 <br>4.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기본안 마련과 검증 <br>가.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기본안 마련 <br>나.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기본안의 타당성 검증 <br> 제5장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관리방향 <br>1.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기본안의 관리방향 <br>2.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기반강화 <br>가. 국토연안의 계획 및 관리 목표의 구체화 <br>나. 해역별 · 연안유역별 국토연안생태네크워크 추진전략의 마련 <br>다. 국토연안의 단위 경관 관리와의 연계성 강화 <br>라. 국토연안네트워크에 대한 과학적 지식 강화와 사회적 합의 도모 <br>마. 육상-해양 통합관리체계 확립 <br>바.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법·제도 및 계획기반 정비 <br> 제6장 결 론 <br>1. 요약 및 결론 <br>2. 제2차년도(2009년) 연구 추진계획 <br>가. 제2차년도(2009년) 주요 연구내용 <br>나. 사례연구권역 설정 <br> 참고 문헌 <br> <br>부록 1 국토연안의 인구 및 도시화 현황 <br> 부록 2 연안통합관리의 개념 정의와 주요 국가의 관리체계 <br> 부록 3 외국의 연안관리 현황 <br> 부록 4 생태계 분야의 잠재적 (핵심)중요지역 목록 <br> 부록 5 생물분류군 분야의 잠재적 (핵심)중요지역 목록 <br> Abstract -
dc.format.extent 229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구축과 계획적 관리방안 (Ⅰ)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Planning 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 national coastal ecological network in Korea (Ⅰ)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8-07 -
dc.description.keyword 국토환경관리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국토연안지역은 생태적으로 다양한 가치와 기능, 독특한 자연경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생물다양성이 풍부하며 독특한 생물상을 보여준다. 국가환경종합계획(’06~’15)에서 국토핵심생태축으로 백두대간, 남북접경지역, 도서연안을 제시하고 있지만(환경부, 2006), 백두대간이나 남북접경지역에 비해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에 대한 고려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그리고 연안역에 많은 인구가 생활하고 있으며, 서울, 부산, 인천 등 해안을 따라 수백만의 인구가 활동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 해안지역의 급속한 경제발전, 자연자원의 과도한 사용, 산업과 농업 폐기물의 증가, 과다한 어획 등으로 인해 연안생태계는 크나큰 위협에 처해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량, 생물다양성, 갯벌 및 생물서식지 등이 손실되고 있는 등 연안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국토연안관리를 위해서 자연환경과 생태자원을 체계적으로 조사 · 분석하여 보전해야 할 지역은 보전하면서 이들을 체계화하여 묶는 생태네트워크 구축과 지속가능한 공간 관리가 요구된다. 이러한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국토환경용량을 지속적으로 유지 · 창출하고 자연자산을 적극 활용한 현명한 녹색성장(smart green growth)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2008~2009년 동안의 2개년에 걸쳐 진행하며, 국토연안의 생태네트워크 구축과 계획적 공간관리를 위한 이론적, 실증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1차년도(2008)에서는 우선적으로 보전해야 할 잠재력이 높은 지역을 목록화(inventory)하여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기본안을 마련하고 관리방향 등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리고 2차년도(2009년)에는 1차년도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에 대한 계획적 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국토연안지역의 생태자원의 목록화와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생태적 건강성 등에 기반하는 녹색성장에 대한 새로운 지향점과 국토가치를 창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국토연안의 자연환경 및 생태자원 등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 본 결과 국토연안에 인구 및 도시적 개발 집중도가 갈수록 심화되는 경향을 보여주며, 자연환경에 대한 보전정책은 산림생태계를 우선시하고 각종 개발정책이 연안지역에 집중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나타났다. 또한 국토연안의 자연환경보전 및 관리체계는 해양과 육상에 대한 통합자료의 미흡, 연안지역에 대한 공간적 관리수단 부재, 미흡한 국토연안지역 관리체계와 보호구역 지정 등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안지역의 공간적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외국에서의 국토연안 관리범역 설정기준을 검토하여 우리나라의 여건에 적합한 공간범역 설정기준을 검토하였다. 즉, 미국, 호주 등 선진외국에서 적용하고 있는 연안 공간범역 설정기준과 우리나라 연안특성 및 GIS 자료 등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육지부 연안권역을 연안유역(표준유역), 해안선으로부터 거리(5km), 해안지역에 인접한 행정구역(읍 · 면 · 동) 경계 등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해양부 연안권역은 수심(해저표고, -20m)과 거리(5km)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국토연안의 자연생태환경을 생물자원분류군과 생태계로 구분하여 12개 항목을 설정하였다. 즉, 멸종위기종, 종다양성, 서식지 다양성, 경관 및 물리적 생물서식기반 등을 고려하였으며, 생물종 다양성이 높은 지역과 생태계(서식지) 다양성이 높은 지역, 연안지역의 독특한 생물종 및 서식기반을 식별하여 연안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잠재적 (핵심)중요지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구축과 검증을 위해 활용한 연구방법은 크게 문헌조사, 포커스 그룹 조사, GIS 분석 등을 통한 공간분석, 경관다양성 지수 산출 등이다. 특히, 국토연안생태계의 통합적인 보전 및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의 방법으로서 포커스 그룹(Focus Group) 조사방법론을 도입하였다. 포커스 그룹은 국토연안의 자연생태환경과 관련하여 생물분류군 및 생태계 12개 분야의 전문가를 중심으로 분야별 주요 고려사항, 평가기준, 잠재적 (핵심)중요지역의 도출, 도면화 작업 등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생물분류군은 연안지역에 주로 서식 · 도래하는 (회유성) 어류, 겨울철새 등 조류, 해안식물, 십각류 등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해조류, 포유류의 7개 분야로 설정하였다. 생태계 분야는 국토연안의 생태계를 하구 생태계, 갯벌 생태계, 해안사구 · 석호생태계, 암석생태계, 도서 생태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하구, 갯벌, 해안사구, 도서, 해안단구로 설정하였다. 이들 12개 포커스 그룹의 조사결과를 토대로 국토연안의 잠재적 핵심중요지역과 잠재적 중요지역 등을 GIS DB로 구축하고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기본안을 작성하기 위해 공간분석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포커스 그룹 연구방법을 토대로 국토연안에 대한 생물분류군별 특성과 생태계 특성과 잠재적 중요지역에 대한 목록화를 수행하여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기본안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의 종합적인 평가체계(평가항목, 평가기준 등) 및 도면화(축척, 표현방법 등)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자료가 부족한 어류, 포유류 등의 분야에서는 향후 국가차원의 조사체계 확립 및 평가기준 설정 등을 중심으로 세부적인 논의를 진행하고 해초류, 조류, 도서 등 그 동안 조사자료가 축적된 분야는 지도화(mapping) 작업을 수행하였다. 7개의 생물분류군 및 5개의 생태계별로 1km 격자를 토대로 격자별로 잠재적 핵심중요지역, 잠재적 중요지역, 조사확인지역으로 구분하고, 잠재적 핵심중요지역 등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통합적인 생태네트워크 지도를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격자 단위별로 잠재적 핵심중요지역에 해당하는 격자에는 2점, 잠재적 중요지역에 해당하는 격자는 1점을 부여하여 합산하였다. 분야별로 계산된 평가점수는 산술평균에 의해 취합하였는데, 5개 분야로 이루어진 생태계 분야의 평가점수는 최소 0점에서 최대 10점(핵심보전지역 2점×5개 전 분야)까지의 분포범위를 갖는데, 본 연구에서는 정규분포 등을 감안하여 평가점수의 합이 5점 이상인 지역은 생태적 중요성이 매우 높은 지역, 평가점수의 합이 2~4점인 지역은 생태적 중요성이 높은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7개 분야로 이루어진 생물분류군에서의 평가점수 분포범위는 최소 0점에서 최대 14점까지 나타날 수 있는데, 정규분포 등을 감안하여 평가점수의 합이 7점 이상인 지역은 생태적 중요성이 매우 높은 지역, 평가점수의 합이 3~6점인 지역은 생태적 중요성이 높은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도입한 포커스 그룹에 의해 정성적인 잠재적 (핵심)중요지역 추출 결과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Shannon 경관다양성지수를 계산하여 이들을 비교한 결과, 상관계수 값이 0.398(P0.001)로 나타나 전문가 집단에 의한 연안지역 생태적 중요성 평가와 Shannon 다양성 지수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국토연안의 생태적, 생물적 특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12개 분야를 중심으로 잠재적 핵심중요지역과 잠재적 중요지역, 조사확인지역을 도출하고, 이를 종합하고 체계화하여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를 작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를 구성하는 9대 핵심권역을 도출하고, 핵심지구, 거점지구, 연결지구를 제시하였다.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의 9대 핵심권역은 ⓐ 한강하구 및 강화도지역, ⓑ 안성천 및 화성 · 평택 지역, ⓒ 금강 및 보령 · 서천지역, ⓓ 영산강 및 목포 · 도서지역, ⓔ 탐진강 및 완도 · 도서지역, ⓕ 섬진강 및 여수 · 남해지역, ⓖ 낙동강 및 다대포 지역, ⓗ 형산강 및 영일만지역, ⓘ 경포대 지역이 해당된다. 예를 들어, 한강하구 및 강화도지역은 강화남단, 경기만 등을 중심으로 생태적 중요성이 높은데, 특히 생태계 측면에서 하구 생태계, 갯벌 생태계 등이 어우러져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구성에 있어 핵심권역으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들 9대 핵심권역은 별도의 관리계획을 마련하여 체계적인 보전과 효율적 관리를 도모함으로써 국토연안의 생태계와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국토환경용량을 지속적으로 유지 · 창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제2차년도 연구에서는 P-S-R 분석을 토대로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기본안을 검토하고, 사례연구권역에 대한 상세계획(안)을 마련할 예정이며, 이를 토대로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계획 체계 및 법적 근거, 생태적 토지이용계획 등을 제시한다. 특히,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상세계획(안) 마련을 위한 사례연구권역으로 9개 핵심권역 중에서 여수-광양-하동-남해 권역을 우선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Park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ang-Sug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