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생태네트워크 추진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전성우 -
dc.contributor.other 명수정 -
dc.contributor.other 신미영 -
dc.contributor.other 이명진 -
dc.contributor.other 주위홍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21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21Z -
dc.date.issued 20081230 -
dc.identifier A 환1185 2008 RE-15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383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RE2008-15. 동북아 생태네트워크 추진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_전성우.pdf -
dc.description.abstract Abstract Study of On Building of Strategy of Ecological Network in East-North Asia Since the viewpoint that an ecosystem is a single network within a specific region was adopted,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ecosystems was proposed in the 1990s. The building of an ecological network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wild animals, regardless of national boundaries, began to be discussed at the international level after receiving considerable attention at the national level. With regard to Northeast Asia, expansion of trans-boundary pollution due to rapid development and the swift destruc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emphasize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Nevertheless, research and activities to build ecological networks at the international level have been, thus far,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measures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order to expand the conception of national ecological networks in Northeast Asia. In doing so, this paper defined the conception of a Northeast Asia ecological network, analyzed other ecological networks,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Northeast Asia natural environment and legislative systems of the region, and verified the network in order to present stepwise promotion strategies. In addition, principles and criteria, measures of data construction, measures of cooperative network, and measures of publicity activities and utilization were mentio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is paper considered the conception, types, and pseudo-conception of an ecological network in order to establish an ecological network in Northeast Asia. The academic definitions of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rs were considered in order to formulate the network, and the types of networks were classified by species traits, spatial traits, and visual shapes. Within the pseudo-conception, greenway, green network, and habitat network were defined. When the above-mentioned are considered, the Northeast Asia ecological network includes conservation and preservation areas of individual nations; consisting of various-shaped passages that connect habitats; allowing animals to live in larger areas and live longer. Secondly, this paper looked at the ecological network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ities and regions in order to analyze, in general, cases at home and abroad. With regard to domestic cases, research on the Comprehensive National Environmental Plan, the Basic Plan of Pre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and the Promotion Strategies on National Ecological Network, and research related to the building of an ecological axis in Kyunggi-Do and Busan were considered. As for foreign cases, the Pan European Ecological Network, NATURA 2000, Emerald Network, and the multidimensional ecological networks of the Netherlands, Germany, and the Czech Republic were analyzed. Regions actively working to build ecological networks at the international and national level include Europe, the United States, and Japan. Each region is conducting research related to ecological axes, and are attempting to restore or preserve habitats by connecting regional- or national-level ecological axes and biotope.In addition specific indicator species and certain areas for establishing criteria are being investigated.In this regard, this paper chose indicator species for a Northeast Asia ecological network and chose habitats for the building of the ecological network. Thirdly, this paper identifie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national natural environments and related legislative systems of South Korea, North Korea, China, Japan, Russia, and Mongolia. The characteristics and damage were analyzed, and the environment-related legislation and administrative systems were identified for analysis. For South Korea, the laws of each ministry, such as the Acts of Ecological Landscape Protected Area of the Nature Conservation Law were analyzed, and the performance of each ministry, centering o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as investigated. With regard to North Korea, relevant laws and ordinances were referred and compared based on years of establishment. Its administrative system was analyzed, with the most attention paid toward the National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mmittee, which was established in February 1993 as an ad hoc organization under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Law. Regarding China, this paper looked at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Laws, Laws on Environmental Preservation of the Seas, the Air, and the Water, as well as ordinance systems, regulations, provisions, and notices. In addition, items consisting of environmental management of the Resource Protection Committee of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the China National Environmental Monitoring Center, and local governments were identified. As for Japan, based on the Basic Environment Law established by its Environment Agency, the Na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Act, the Natural Park Act, the Urban Green Area Preservation Act, the Metropolitan Fringe Green Area Preservation Act, the Act Relating to the Protection of Birds, Mammals & Hunting, and the Act relating to Endangered Wild Species were analyzed and referred. For its administrative system,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cooperate fully. In Japan's administrative system, the subjects of management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Natural Reserve, which is similar to that of South Korea. In Russia, there are seven laws related to environmental preservation, including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Law, the Water Resource Law, the Laws on Underground Resources, and the Laws on Plant and Animal Resources, and 17 Laws related to natural resources. Authorities promoting environmental policies word in the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mmittee, and the Ecological Preservation Committee. Mongolia was omitted due to a lack of information, and will be added after further studies are carried out. Fourthly, after analysis of the natural environments and legislative systems of each n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ommon criteria for mutual agreement between nations were necessary. Establishing varied domestic measures are insufficient to secure habitats and without them, it would be impossible to follow through on common interstate activities. In this context, the Northeast Asia ecological network can only be built as a unified and intimate network utilizing the categories of the IUCN Natural Environmental Reservations database. Therefore, this paper attempted to draw up a basic agreement for the Northeast Asia ecological network by analyzing the actual status of the IUCN registration and its related agencies. The nations looked at in this study were all registered with the IUCN, and a total of 48 agencies were entered, including each national government, international and national NGOs, and relevant groups. Therefore, selecting IUCN-registered agencies as a partner in each nation of the Northeast Asia ecological network should be considered. Fifthly, South Korea, North Korea, the three northeastern prefectures in China, far-east Russia, and a part of Mongolia in the Northeast Asia region were selected to be analyzed for the ecological network.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development of a methodology for building the Northeast Asia ecological network through the use of satellite images. As for the methods of analysis, stable habitats for four priority species were selected to be performed using overlay analysi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cological networks in the whole Northeast Asia region showed that there were key areas partly dispersed in the Korean Peninsula, but whether the key areas would be maintained in the long term is unknown. As for China, key areas were concentrated in the border areas around the Tumen River and in parts of the three northeastern prefectures. Russia had wide-ranging areas that could function as stable habitats for most species. As a result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ecological networks, most of the Northeast Asia region,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was in poor condition, requiring appropriate measures and their operation as soon as possible. Also, it was revealed that further investigation and research was necessary with regard to the border areas that were identified to be key areas. Lastly, promotion projects through phases were designed in order to promote the Northeast Asia ecological network. Considering promotion plans for the short-, medium-, and long-term, phased plans were presented for the subject of promotion, principles and criteria, data construction, cooperative network construction, and measures of publicity activities and utilization. For the short-term, constructing a council with IUCN-registered agencies based on EABRN, building infrastructure such as a scope of cooperation and organizational system, standardizing principles and criteria, and confirming the limitation of subjects, constructing a database for the major species (indicator species) by nation and their habitats, collecting data related to the ecological networks of individual nations, constructing a cooperative system among foreign research agencies and industry- university-research-government were required. For the medium-term, a council, stable provision of financial resources, principles and criteria through utilization of investigation and database construction, investigation of natural environment reservations, connection of species and habitats by types, preservation of the border areas, presentation of information sharing among agencies using are search network and of opinion collection, and research and promotion of benefits due to the building of the network should be performed. For the long-term, expansion of the subject of promotion and ecological networks in Northeast Asia, complementation of relevant principles and criteria, verification of network effects and their appropriateness through constant monitoring, activation of an industry-university-research- government network, a non-profit information sharing structure based on the ecological network, and constant education on the ecological environment should be performe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차 례 <br> 서 언 <br>국문요약 <br> 제1장 서론 <br> 1. 연구 배경 및 목적 <br> 2. 연구 내용 및 방법 <br> 가. 공간적 범위 <br> 나. 내용적 범위 <br> 제2장 생태네트워크 개념 및 사례 연구 <br> 1. 생태네트워크 개념 <br> 가. 개념 및 유형 <br> 나. 유사개념 고찰 <br> 다. 동북아 생태네트워크 개념 정립 <br> 2. 국내외 선행 사례 조사분석 <br> 가. 국내 사례 <br> 나. 국외 사례 <br> 다. 사례 종합 및 분석 <br> 제3장 동북아 자연환경 현황 및 법·제도 분석 <br> 1. 동북아 지역 자연환경 현황 분석 <br> 가. 남한 <br> 나. 북한 <br> 다. 중국 <br> 라. 일본 <br> 마. 러시아 <br> 바. 몽골 <br> 2. 국가별 자연환경 관리체계 및 법·제도 분석 <br> 가. 남한 <br> 나. 북한 <br> 다. 중국 <br> 라. 일본 <br> 마. 러시아 <br> 3. 국가별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등재 현황 및 분석 <br> 가. 세계자연보전연맹의 개요 <br> 나. 국가별 세계자연보전연맹 등재 현황 및 가입기관(단체) <br> 다. 세계자연보전연맹 자료를 활용한 동북아 생태네트워크 <br> 4. 동북아 생태네트워크 구축여건 종합 분석 <br> 제4장 동북아 생태네트워크 구축방안 <br> 1. 구축목표 <br> 2. 구축전략 <br> 가. 동북아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이론적 모형 <br> 나.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활용 자료 성정의 고려사항 <br> 3. 동북아 생태네트워크 구축 <br> 가. 공간적 범위 <br> 나. 내용적 범위 <br> 다. 연구 방법 <br> 4. 동북아 생태네트워크 검증 <br> 가. 기존 연구와 비교 <br> 나. 두만강 하구 접경 생물권보전지역과 비교 <br> 다. 동북아 생태네트워크 현장조사 <br> 제5장 동북아 생태네트워크 추진방안 <br> 1. 추진목표 <br> 2. 추진주체 <br> 가. 기존 협력체계의 환경협력 <br> 나. 새로운 기구 <br> 3. 단계별 추진사업 <br> 가. 전략Ⅰ : 추진주체 <br> 나. 전략Ⅱ : 원칙 및 기준 <br> 다. 전략Ⅲ : 자료 구축 <br> 라. 전략Ⅳ : 협력 네트워크 구축 <br> 마. 전략Ⅴ : 홍보 및 활용방안 <br> 4. 추진예산 확보방안 <br> 가. 예산배분 원칙 <br> 나. 추가적인 재원 조달 <br> 5. 정책적 활용방안 <br> 가. 국제협력의 장 마련 <br> 나. 법적·제도적 통합과 협력 <br> 다. 기술 개발과 보급 <br> 라. 재정체계 구축 <br> 제6장 결론 및 제언 <br> 1. 요약 및 결론 <br> 가. 동북아 생태네트워크를 위한 현황분석 <br> 나. 동북아 생태네트워크 추진방안 <br> 2. 연구의 의의 및 한계 <br> 참고문헌 <br> Abstract -
dc.format.extent 163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동북아 생태네트워크 추진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Study of on building of strategy of ecological network in east-north Asia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8-15 -
dc.description.keyword 국토환경관리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최근 자연생태계의 보전을 위해 특정 지역에서 벗어나 전체 생태계가 하나의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다는 관점이 부각되면서 생태네트워크 개념은 생태계의 보전과 관리에 중요한 개념으로 대두되었다. 국경에 구애받지 않는 야생동물의 보전·관리를 위한 생태네트워크 구축은 한 국가에서뿐만 아니라 국제적 수준에서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동북아 지역의 경우 급격한 개발로 인한 월경성 오염의 확대와 생태계의 급속한 파괴로 환경협력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국제적 수준에서의 생태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연구 및 활동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가 수준의 생태네트워크 개념을 동북아 지역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추진체계를 구축 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동북아 생태네트워크의 개념 정의, 국내·외 생태네트워크 사례 종합분석, 동북아 지역의 자연환경 현황 및 법·제도 분석, 동북아 생태네트워크의 사례 분석 및 검증을 거쳐 최종 동북아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추진주체, 원칙과 기준, 정보 구축방안, 협력 네트워크 방안, 홍보 및 활용방안 등의 단계별 추진전략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네트워크의 개념, 유형 및 유사 개념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동북아 생태네트워크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생태네트워크의 개념은 국내·외 석학들의 학문적 정의를 고찰하였으며, 생태네트워크의 유형은 생물종의 특성, 생태네트워크 대상의 공간특성 및 구조의 시각적 형태에 따라 구분하였다. 유사개념에서는 그린웨이, 녹지축, 서식처 네트워크 등을 정의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고려한 동북아 생태네트워크는 개별 국가 수준의 보호·보전지역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야생동물들과 이들이 생존할 수 있는 서식처 연결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회랑으로 구성된다. 또한 야생동물의 이동을 통한 재생산 기반의 확보를 통해 장기적 생존을 가능하게 하는 체계로 정의하였다. 둘째, 국내 도시 및 광역 차원의 생태네트워크와 해외 대륙 및 국가 차원의 생태네트워크를 분석하여 국내·외 사례를 종합분석 하였다. 국내 사례는 국가환경종합계획,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 국토생태네트워크 추진전략에 관한 연구 등과 경기도, 부산 등 광역자치단체 차원의 생태축 구축 방안과 관련한 연구를 고찰하였다. 국외 사례는 대륙 차원에서는 범유럽생태네트워크(Pan European Ecological Network), 유럽연합의 생태네트워크(NATURA 2000) 및 Emerald Network, 국가 차원에서는 네덜란드, 독일 및 체코 다차원 생태네트워크 등을 분석하였다. 사례를 종합해 보면, 주요 생태네트워크의 구축은 유럽을 중심으로 국제적·국가적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그 밖에 미국, 일본 등에서도 생태축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각 국가에서는 지역 또는 국가 단위의 생태축 및 비오톱을 연계하여 서식처 복원과 보호를 시도하고 있으며, 기준 설정을 위해 구체적으로 지표종이나 일정 면적을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고려하여 동북아 생태네트워크의 지표종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서식처를 추출하고 생태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대상 국가별 자연환경 현황과 관련 법·제도를 살펴보았다. 대상 국가는 한국, 북한, 중국, 일본, 러시아, 몽골이 포함된다. 각국의 자연환경 특징 및 훼손 현황을 분석하였고, 법·제도 현황분석에는 환경관련 법률과 이를 수행하는 행정체계를 살펴보았다. 한국은 자연환경보전법의 생태경관보전지역에 관한 법률과 같은 각 부처별 법률을 분석하였으며, 행정체계의 경우는 환경부를 중심으로 각 부처별 관련 업무 수행을 정리하였다. 북한은 제정연도별 관련 법령을 정리·비교하였으며, 환경보호법상의 비상설기구로서 1993년 2월에 설치된 국가환경보호위원회를 중심으로 행정체계를 분석하였다. 중국은 중화인민공화국헌법 아래 환경보호에 관한 기본법이라 할 수 있는 중화인민공화국환경보호법 제정을 시작으로 하여 해양·대기·수질 환경보호를 위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그 외에 조례, 규칙, 규정, 통지 등의 체계를 살펴보았다. 행정체계의 경우는 전국인민대표대회 자원보호위원회, 전국정치협상회의 인민자원환경위원회, 국가환경보호총국 및 지방각급인민정부의 환경관리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는 사항을 정리하였다. 일본은 환경청에서 제정한 환경기본법을 기반으로 하여 자연환경보전법, 자연공원법, 도시녹지보전법, 수도권근교녹지보전법, 조수보호및수렵에관한법률, 절멸할우려가있는야생동식물의종의보전에관한법률 등을 분석 및 정리하였다. 행정체계의 경우는 중앙정부와 지자체에서 공동으로 추진되고 있다. 일본의 행정체계는 자연보호구역 유형별로 관리주체를 선정하였으며, 이는 한국과 유사한 체계이다. 러시아는 환경보호법, 수자원법, 지하자원법, 동식물자원법 등 7개의 환경보호 관련법과 17개의 자연자원 관련법이 존재한다. 환경 정책을 추진하는 기관은 크게 러시아연방 자연자원부, 환경보호위원회, 생태보호위원회를 꼽을 수 있다. 몽골은 자료 구축의 한계로 누락된 바가 있어 향후 연구에 추가되어야 할 부분이다. 넷째, 앞에서 국가별 자연환경 현황과 법·제도 등을 분석해 본 결과 국가간의 합의를 위한 공통된 기준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서식처와 종의 생존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국내적 대책만으로 부족하며 국가간 공동 행동을 통해서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IUCN 자연환경 보호지역의 카테고리 및 가입기관(단체)을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동북아 생태네트워크의 통일적이고 긴밀한 국제적 수준의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분석단계에서 IUCN 등재 현황과 등재기관 등을 분석하여 동북아 생태네트워크를 위한 기초 합의를 이끌고자 하였다. 대상국들은 최소 1개 기관 이상이 IUCN에 모두 등재되어 있으며, 각 국가 정부 및 국제·국가 NGO 단체와 관련단체 등 총 48개의 기관이 가입되어 있다. 따라서 동북아 생태네트워크 추진을 위한 국가별 파트너를 IUCN 가입기관들로 선정하는 방법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다섯째, 동북아시아 지역 중 한국, 북한, 중국 동북 3성, 극동 러시아 및 몽골 일부를 선택하여 생태네트워크를 분석했으며 자료 구축 등의 어려움으로 인해 사례 검증 시 일본은 제외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을 통하여 동북아 지역의 생태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법론을 검증한 의미가 있으며 향후 생태네트워크 구축 시 지표종 선정폭 확대 등을 통해 일본을 포함한 분석이 가능하다. 분석방법은 4개의 우선종에 대한 안정적 서식처를 추출하여 이를 중첩 분석하였다. 동북아 전체 지역에 대한 생태네트워크 분석 결과 한반도의 경우 일부 분산된 핵심지역들이 분포하고 있으나 장기적 측면에서 볼 때 핵심지역의 존속 여부가 의심되며, 중국의 경우 두만강 유역 국경지역 및 동북 3성 일부에서만 핵심지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러시아의 경우 대부분의 종에 대한 안정적 서식처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지역이 폭넓게 분포하고 있어 동북아 생태네트워크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네트워크 현황 분석 결과 한반도를 비롯한 동북아 지역은 열악한 상태에 놓여 있어 조속한 대책 마련과 시행이 필요하며, 주요 핵심지역으로 파악된 국경지역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 및 연구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동북아 생태네트워크 추진을 위한 단계별 추진사업을 계획하였다. 단기·중기·장기로 시간적 진행을 고려하여 추진주체, 원칙 및 기준, 정보 구축, 협력 네트워크 구축, 홍보 및 활용방안에 대한 단계적 계획을 마련하였다. 단기적으로 EABRN을 기준으로 IUCN 등재기관과 협의체를 구성, 협력범위 및 조직체계 등 인프라 구축, 동북아 생태네트워크를 위한 원칙과 기준의 표준화 작업 및 대상 경계 확정, 국가별 주요종(지표종) 및 서식처 DB구축, 국가별 생태네트워크 관련 자료 종합, 해외연구기관과 산·학·연·관의 협력체계 구축, 대내·외적으로 동북아 생태계 훼손의 심각성과 보전 필요성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다. 중기적으로 협의체 보완, 안정적 재원 조달방안 마련, 조사 및 DB구축 결과를 활용한 원칙 및 기준 보완, 주요 종 및 서식처, 자연환경보호구역 조사 실행, 종과 서식처 유형별 연계방안 마련, 국경지역 보전방안 마련, 동북아 생태네트워크 구축, 연구망 이용 기관간 정보 공유의 장 마련 및 의견수렴, 네트워크 구축으로 인한 편익효과 연구 및 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장기적으로 동아시아 차원으로 추진주체 및 생태네트워크를 확대하고 그에 따라 원칙 및 기준 보완, 꾸준한 모니터링을 통한 네트워크 효과 및 적절성 검증, 산·학·연·관 네트워크 활성화, 생태네트워크에 기반한 비영리 목적의 정보 공유 및 꾸준한 생태환경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eon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eong-Woo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