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친화적인 노동조합 활동 동향과 정책적 시사점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황욱 -
dc.contributor.other 이상용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22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22Z -
dc.date.issued 20081230 -
dc.identifier A 환1185 기초2008-04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388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BA2008-04. 환경친화적인 노동조합 활동 동향과 정책적 시사점 연구_황욱.pdf -
dc.description.abstract Abstract Recent Trends of Trade Unions' Eco-friendly Activities and Policy Responses To tackle problems related to the environ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at have become global issues recently, there is active movement to solve them under the cooperation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United Nations by borrowing the dynamic force of actual organizations like labor unions. Labor unions' sphere of activities that traditionally used to be focused on pay raise and increase in employment, has expanded into real problems such as improving labor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Further, labor unions' active participation in making sustainable development possible by solving social problems such as eradicating poverty and protecting the environment, has become the focus of attention. The question that can arise from such expansion of labor unions' sphere of activities is whether such active movements carried out by labor unions can positively influence social issues such as improving the environment. Related to this, this basic study 1) examines discussions on issues related to the environment and labor; 2) logically infers by providing basic discussions on a theoretical economic model that can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improving the environment and labor union activities, and 3) succinctly proposes policy implications related to 1) and 2) that can be considered. The theoretical economic model explained in this study proposes the benefit of cooperating globally when labor unions in each country internalize global externality such as climate change. By applying such a microeconomic model, the study confirms that labor unions' collective bargaining power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are important factors in reducing transboundary pollution. This could provide the basis by which to request cooperation from labor unions to alleviate environmental problems discussed at WILL 2006. It is necessary to actively handle labor unions' social role in pursuing sustainable development related to major environmental and labor problems decided at WILL 2006. Accordingly, the two confederations of trade un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are making efforts to solve various social issues including environmental problems. The study succinctly also explains that at the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efforts are being made with the cooperation of each country to formulate ISO 26000 International Standards on social responsibility that can support Korea's efforts. Further, to support labor unions' social role, the study proposes as major necessary policies the prompt provision of environmental accounting standards and the development of a guideline on environmental business management that reflects the reality in the Republic of Korea.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차 례 <br> 제1장 서 론 <br> 제2장 선행연구 <br> 제3장 환경과 노동 관련 논의 동향 <br> 제4장 노동조합의 단체교섭력과 국제적 협력을 통한 환경개선 <br>1. 기본 모형 <br>2.환경규제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정부, 노동조합 그리고 기업의 전략적 선택: 대내적 오염배출 규제수준 결정 <br>3.환경규제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정부, 노동조합 그리고 기업의 전략적 선택: 전지구적 오염배출 저감을 위한 노동조합의 국제적 협력 <br>4.환경규제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정부, 노동조합 그리고 기업의 전략적 선택:시뮬레이션을 통해서 본 시사점 <br> 제5장 정책적 대응 <br> 제6장 맺는말 <br> 참고 문헌 <br> Abstract -
dc.format.extent i, 46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환경친화적인 노동조합 활동 동향과 정책적 시사점 연구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Recent trends of trade unions'' eco-friendly activities and policy responses -
dc.title.partname 기초연구 -
dc.title.partnumber 2008-04 -
dc.description.keyword 정책일반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최근에 전 지구적인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과 지속가능한 발전 등의 문제를 노동조합과 같은 실질적인 조직의 동력을 빌려서 문제 해결에 일조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UN과 같은 국제기구의 협조하에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임금인상과 고용증대에 주로 중점을 두어 온 전통적인 노동조합 활동의 영역이 사업장에서의 노동과 환경 조건의 개선과 같은 실질적인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아울러 빈곤퇴치와 환경보호와 같은 사회문제 해결을 통하여 지속발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어서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참여가 크게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노동조합 활동의 외연 확대로 인하여 제기될 수 있는 질문은 과연 활발한 노동조합 운동이 환경개선과 같은 사회적 이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기초연구에서는 1) 환경과 노동 관련 이슈에 대한 논의 동향을 살펴보고, 2) 환경개선과 노동조합 활동의 관계를 연결하여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경제 모형에 대한 기초적인 논의를 마련하여 논리적 추론을 함으로써, 3) 1)과 2)와 관련하여 고려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간략히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명된 이론적 경제 모형에서는 각국의 노동조합이 기후변화와 같은 전지구적 외부효과를 내재화하는데 국제적으로 협력하는 것이 유익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미시적 모형으로부터 노동조합의 단체교섭력과 국제적 협력이 월경성 오염을 저감하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으며, 이것은 WILL 2006에서 논의된 환경문제 완화를 위한 노동조합의 협력을 요청하는데 긍정적인 논거로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WILL 2006에서 의결된 주요 환경과 노동 문제와 관련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진하는데 노동조합이 사회적 역할을 적극적으로 담당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양대 노총도 환경 문제를 비롯한 다양한 사회적 현안 해결에 노력하고 있으며 국제표준화기구에서도 이를 뒷받침하는 사회적 책임에 관한 ISO 26000 국제표준을 마련하는 노력이 각국의 협조아래 진행되고 있음을 간략히 설명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노동조합의 사회적 역할을 지원하기 위하여 한국적 현실을 반영한 기업의 환경경영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발전시키며 환경회계 기준의 조속한 마련이 필요한 주요 정책적 과제로 제시하였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wang Uk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