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비점오염원 관리사업의 효율적 추진 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최지용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23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23Z -
dc.date.issued 20081030 -
dc.identifier A 환1185 2008 WO-01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398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WO-01. 부처별 비점오염원 관리사업의 효율적 추진 방안_최지용.pdf -
dc.description.abstract Abstract Study on Connection Strengthening Measures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Projects by Governmental Departments For the current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Korea, each governmental department is required to establish a progress plan for system improvement and the reduc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based on the 'General Management Measures of 4 Major Rivers' Nonpoint Source Pollution(2004~2020)'. In order to move ahead with nonpoint source pollution projects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system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departments and to collaborate on establish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related data and monitor pollution reducing activities.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suggested improvement measures and divided them into collaborative measures and individual measures, which were based on the performance analysi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projects and policies. The analysis conducted focused on measures which are being performed by each department under the 'General Management Measures of 4 Major Rivers' Nonpoint Source Pollution'. With regard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 reviewed institutionalization measures such as major legal amendments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and an establishment report system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areas and correlations between the "Basic Plan for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2006-2015)" and "General Management Measures of 4 Major Rivers' Nonpoint Source Pollution." For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system improvements relating to various municipal infrastructures such as city planning and roadways were reviewed. In addition, for agricultural land under the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Forest, and Fisheries,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measures for agricultural land, and the state of muddy water management in Kangwondo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analyses, measures were divided into collaborative measures and individual measures. With regard to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individual department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should remain as the responsible department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by improving its systems and though the phased expansion of its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areas. In addition, a model project conducted cooperatively by relevant departments and the continuation of existing model projects is suggested. For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institutional improvements aimed at establish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facilities for major nonpoint sources of pollution in urban areas, including parking lots, bus stops, airports, and physical distribution facilities were suggested. Furthermore,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improvements based on various development related laws were hammered out and recommended. For the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Forest, and Fisheries, preventive management measures were suggested, including proper application measures for major agricultural sources of pollution such as fertilizers, agricultural chemicals, and livestock excretion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agricultural techniques to reduce the generation of nonpoint sources of pollution. With regard to the collaborative measures between departments, it was suggested to sublimate the reduction of nonpoint sources of pollution from source pollution management toward ecological restoration and access in terms of basin areas and consider them in terms of scene and land use. In urban areas, the generation and release of nonpoint sources of pollution increases because of economic activities and low levels of water permeability. In agricultural areas, small streams are used as farmland drainage and as a result, aquatic plants and organisms have been damaged. In the future,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shall be upgraded from a simple reduction of pollution toward restoring damaged ecosystems. Additionally, the active establishment of various BMPs(Best Management Practices), cooperative monitoring, and the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model projects between departments were suggested. Although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is an urgent issue, it cannot be implemented in the short term. Because of this, an enormous budget is required and forest and water conservation measures should be performed simultaneously. In addition, a common goal for the 'optimal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should be the focus of all departments. Furthermore, as it is difficult to ascertain the visible effects of several projects or policies, active collaboration is required, and top priority must be given to preventive measures, revenue sources, and support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reduction projects. In addition, with regard to source pollution reduction measures, it generally takes a long time for policy effects to appear. Moreover, in cases of source pollution reduction measures based on land treatment, the delay includes the amount of time it takes for the system to stabilize. Therefore, these featur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execut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measures. Although it is only short time since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systems in Korea, management measures are organized relatively systematically. Therefore, we must strive to obtain information and develop techniques through collaborative model projects and the establishment of river basin management systems in order to achieve the common goal effectively and efficiently. Above all else,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s very important, so educ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should be conducted to encourag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citizen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차 례 <br> 제1장 서 론 <br>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r>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br> 제2장 부문별 비점오염원 관리실태 <br>1. 4대강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의 부문별 내역 <br>2. 부문별 비점오염원관리 수행실태 <br> 제3장 비점오염원 관리대책 효율성 평가 <br>1. 주요 비점오염원 관리정책 분석 <br>2.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설치에 대한 평가 <br>3. 비점오염원 관리대책 종합평가 <br> 제4장 비점오염원관리 효율제고 및 연계강화 방안 <br>1. 기존 사업의 효율제고 방안 <br>2. 비점관리 사업의 연계강화 방안 <br> 제5장 결론 <br> 참고문헌 <br> Abstract -
dc.format.extent iv, 147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부처별 비점오염원 관리사업의 효율적 추진 방안 -
dc.type 수시연구 -
dc.title.original Study on connection strengthening measures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projects by governmental departments -
dc.title.partname 정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8-01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현재 우리나라의 비점오염원관리는 2004년 총리실 주관으로 마련한 “4대강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2004~2020)”을 바탕으로 부처별로 비점오염원관리를 위한 계획수립, 제도개선 및 저감사업 등을 단계별로 추진하고 있다. 비점오염원 관리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한 제도개선 사항은 각 부처 간 상호 협조하여 추진해야 하고, 비점오염원관리 시범사업 추진, 비점오염원관리 관련자료 구축, 오염저감 모니터링 등은 공동으로 추진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 각 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수행되고 있는 비점오염원 관리사업과 대책에 대한 수행실태 분석을 바탕으로 현재 부처별로 추진하고 있는 대책에 대한 개선방안 제시와 더불어 부처 간 공동으로 추진해야 할 사업으로 나누어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주요 분석내용은 “4대강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에 따라 부처별로 추진 중인 대책을 중심으로 하였다. 환경부의 경우, 비점오염원관리를 위한 주요 법안 개정 사항과 비점오염원 관리지역 및 설치신고 제도 등 제도화 방안 및 “물환경관리기본계획(2006~2015)”과 “4대강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과의 연계성 등을 검토하였다. 국토해양부의 경우, 도시계획 및 도로 등 각종 도시기반시설에 대한 제도개선 사항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리고 농림수산식품부의 경우, 농지에서의 비점오염원 관리대책과 오염원 발생억제를 위한 대책을 검토하였고, 지자체의 경우 비점오염원이 지역문제로 대두되어 관리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강원도의 흙탕물 관리실태 등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검토를 바탕으로 현재 추진 중인 부처별 대책에 대한 개선방안과 비점오염원관리 효율화를 위한 부처 간 연계강화 방안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현 부처별 대책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환경부의 경우, 비점오염원관리 주무부처로서 선도적인 제도개선의 지속적 추진과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의 지정과 설치신고제도의 단계적 확대가 필요하다. 그리고 시범사업의 지속적 추진과 더불어 대표 유역을 통한 관련 부처 합동 시범사업의 추진을 제안하였다. 국토해양부의 경우, 지금까지 도시계획, 관리 및 도로분야 제도개선 사항에 이어 도시 내의 주요 비점오염원인 주차장, 정류장, 공항, 물류시설에 대한 비점오염원 관리시설 설치를 위한 제도개선 사항을 제시하였고 다양한 개발관련 법에서의 비점오염원관리 개선 사항을 도출하여 추가하여야 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농림수산식품부의 경우 비점오염원 발생을 절감할 수 있는 친환경농법 개발과 더불어 주요 비점오염원인 비료, 농약, 축산분뇨 등의 적정살포 방안 마련 등을 제시하는 등 오염발생원에 대한 사전예방적 관리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각 부처가 공동으로 추진해야 할 대책으로는 비점오염원 저감을 오염원 관리측면에서 생태복원 차원으로 한 단계 승화시키고, 이를 위한 유역 차원에서의 접근, 경관과 토지이용 차원에서의 고려 등을 제안하였다. 도시지역의 경우 각종 경제활동과 불투수율의 증가로 비점오염원의 발생과 유출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농촌의 경우도 대부분 농경지 배수로는 말할 것도 없고, 소하천도 식물, 수서생물 등이 훼손되어 단순한 배수로라고 표현할 수 있을 정도로 생태적으로는 불안전한 하천으로 되었다. 앞으로 비점오염원관리는 단순히 오염저감에서 시작해 이러한 훼손된 생태계를 복원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한 단계 발전하여야 한다. 그리고 각종 최적관리시설(BMPs)의 적극 설치, 공동모니터링, 각 부처 합동 시범사업 추진 등을 제안하였다. 비점오염원관리는 시급한 현안이기는 하나 단기간 내에 근본적인 치유가 어려운 한계성이 있다. 왜냐하면 막대한 예산이 수반되어야 하고 치산?치수 대책이 병행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중앙부처 간 또는 자치단체의 각 부서 간에 ‘비점오염원의 최적관리’라는 동일한 목표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특정 부처의 몇몇 사업이나 정책만으로는 가시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환경부, 농림수산식품부, 국토해양부 등 부처 간 적극적인 정책의 공조, 사전예방대책의 최우선 추진, 비점오염원 저감사업비용의 안정적 지원을 위한 재원(국비지원 확대) 마련 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오염원 저감방안의 경우 정책효과가 나타나는 소요시간이 일반적으로 길며, 특히 토지처리를 기반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관리기법의 경우, 시스템이 안정되기까지의 소요시간을 포함해 그 지체시간이 10년 이상으로 길다. 따라서 비점오염원 대책의 실시와 수질개선 효과를 파악하는 데 있어서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비점오염원 관리제도가 일천함에도 불구하고 부처별 관리사업은 비교적 체계적으로 조직되어 추진되고 있다. 현 단계에서는 부처 간 기존 시스템을 안정화시키고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모색함과 동시에, 각 부처 간 공동 목표달성을 위한 유역관리시스템 구축과 더불어 공동 시범사업을 통해 정보의 획득과 기법의 발굴에 공동으로 노력해야 한다. 특히 지역주민의 참여는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한 교육과 홍보체계 구축도 이루어져야 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oi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i-Yong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olicy Study(정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