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한 배출거래제 적용방안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문현주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24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24Z -
dc.date.issued 20091231 -
dc.identifier A 환1185 연2009-04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413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한 배출권거래제 적용방안 연구.pdf -
dc.description.abstract A Study on the Tradable Permit System for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II) A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TPLMS) has been applied in three major river basins since 2004 and the second stage of its application (2011~) is being prepared. Under TPLMS, the efficient allocation of allowed pollution load to various polluters in the region comes to important policy issue. Tradable pollution permit systems are a market-based mechanism generally thought of as efficient instruments to induce minimization of the cost of complying with the regulations or standards. A tradable permit system is being considered for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PLMS. In this study, the efficient applications of tradable permit system are investigated. Firstly, this study i) reviewed the directions of introducing tradable permit system for TPLM, ii) derived the type and design of tradable permit systems applicable, ii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application of tradable permit system under TPLMS, iv) described the proper operating framework of tradable permit system, and v) established the road map for application and operation of tradable permit system. This Study conducted the following research: 1) Reviewed and summarized the directions of introducing tradable permit system 2) Design of tradable permit system Analyzed the main factors of design and application of tradable permit programs - point source - point source permit trade program, point source - nonpoint source permit trade program, etc. Also, studied necessary adjusting factors for guaranteeing the water quality equivalence. For the permit trade programs with high practical applicability - permit trade between public point sources, trade of excess load for development, permit trade between point sources, and permit trade program for nonpoint source reduction - major design factors were analyzed. 3)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application of tradable permit system under TPLMS Analyzed the practical application environment of permit trade programs under TPLMS. Based on the present state of TPLM, the expected characteristics of permit trade program applications were analyzed and the implication for efficient operation of program were derived. 4) Proper operating framework of tradable permit system Discussed about the operating framework of tradable permit system.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for proper role of trade program or trade market (management of trade process, definition of tradable pollution reduction, communication between buyer and seller, trace of trade, and management of trade risks), utilization of data and model for application of permit trade program, institutional framework for program operation, and supporting policies for promoting permit trade program application were discussed. Also, the possible problems those can be raised in the course of trade program application were discussed and the possible responses were presented. 5) Established the road map for application and operation of tradable permit system Established the plans of pilot application of permit trade programs - permit trade program between public point sources, trade of excess load for development, permit trade program between point sources, and permit trade program for nonpoint source reduction. The road map for application and operation of tradable permit system were establishe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론 <br> <br>제2장 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한 배출권거래제 도입방향 <br> 1. 배출권거래제 도입의 필요성과 효율성 개선 잠재성 <br> 2. 수질오염물질 배출권거래제 도입의 방향 <br> <br>제3장 수질오염 배출권거래제도 설계 <br> 1. 수질오염물질 배출권거래제도 적용 유형 <br> 2. 배출권거래제도 설계 요소 <br> 3. 수질오염 배출권거래제도 유형별 요소 <br> <br>제4장 수질오염 배출권거래제도 적용 검토 <br> 1. 공공 점오염원 간 거입용 계획 <br> 2. 배출권거래제 도입적용 Road Map <br> <br>제7장 요약 및 결론 <br> <br>참고문헌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 배경 및 목적 <br> 2. 주요 연구내용 <br> 제2장 방법론 분석 및 현지조사 <br> 1. 환경평가의 수생태 평가기법 분석 <br> 가. 공통조사 사항 <br> 나. 하천의 이용 및 개발사업의 평가 <br> 다. 동식물상 항목 세부평가내용 <br> 2. 영향예측 모델분석 <br> 가. 생물학적 특성에 기초한 수환경 평가모델 <br> 나. 다변량분석에 기초한 생태계변화 예측모델 <br> 3. LOCOPEM의 기초개념 <br> 4. 현지조사를 통한 모델의 적용평가 <br> 가. 안양천 및 학의천 현지조사 <br> 나. 환경영향평가서, 사후 모니터링 보고서 및 현지조사 결과의 비교분석 <br> 제3장 환경평가에서의 생태계 건전성 부문 진단? <br> 1. 방법론적 문제점 및 표준조사분석방법 <br> 가. 환경평가에의 현 방법론적 문제점 <br> 나. 표준조사분석 방법의 우선 고려사항 <br> 2. 표준조사분석의 정형화 및 LOCOPEM 프로그램 적용 <br> 가. 표준조사분석 - 조사항목, 분석기준 및 방법 <br> 나. LOCOPEM프로그램의 환경평가적용 및 예측분석 <br> 3. 수질부문 평가연계 및 수생태 건전성 평가 <br> 4. 제도적 개선사항 <br> 제4장 결 언 <br> 1. 모델 적용의의 및 특장점 <br> 2. 정책적 활용 <br> 3. 향후 필요한 연구 <br> <br> 참고 문헌 <br> 부 록(LOCOPEM 입력변수와 시뮬레이션 결과 리포트) <br> 학의천, 안양천(2003, 2008, 2009) <br> 가평천(2004, 2008) <br> 양재천(2002, 2007) <br> 청계천(2007) <br> 한탄강(2006, 2009) <br> Abstract -
dc.format.extent 132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한 배출거래제 적용방안 연구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A study on the tradable permit system for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9-04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본 연구는 담수자원 개발과 연관된 환경평가에 수생태계 건전성 분석 및 객관성 제고를 위한 방법과 이를 정책적으로 활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환경변화에 따른 생태건전성을 평가하는 모델인 LOCOPEM이 환경영향평가의 틀에서 적용가능한지를 검증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구현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보고서는 총 4개의 장으로 되어 있다. 연구의 배경과 목적 그리고 주요 연구내용은 1장에서 개론적으로 서술하였으며, 2장에서는 수환경평가에 이용되는 방법론을 기술(1~3절)하였고, LOCOPEM 모델의 적용성은 최근 복원사업이 진행된 안양천 및 학의천에 대한 현지조사를 통해 분석(4절)하였다. 3장에서는 환경평가에 생태계 건전성을 진단하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현재의 환경평가에 는 수생태분석의 문제점을 토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표준조사분석을 정형화하여 제시하였다. 제시된 표준조사방법은 LOCOPEM 모델의 구동에 요구되는 입력변수의 측정을 포함, 포괄적인 프로토콜을 담고 있다. 또한 환경평가에서 이 모델을 적용하는 예를 가평천과 양재천의 시계열자료를 토대로 비교 분석하여 제시하였으며, 이와 함께 LOCOPEM의 시뮬레이션 기능을 통한 저감방안 도출기법을 기술(2절)하였다. 마지막 장은 모델 적용의 의의 및 정책적 활용에 대한 제안을 담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LOCOPEM 모델의 환경영향평가 적용 타당성이 검증됨으로써 하천 관련 사업에서 생태적 현황진단, 하천복원 및 정화사업 시행의 생태적 타당성 분석, 복원사업의 생태적 목표 설정 그리고 적정 저감방안 도출이 가능함을 보여 주고 있다. 본 보고서는 하천생태평가 시스템의 제도적 확립은 개별사업의 영향예측과 효과적인 저감방안 도출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환경평가의 객관성을 높여 정책집행의 효율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Moon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yun-Joo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