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개발 다양화에 따른 친환경적 계획수립 및 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사공희 -
dc.contributor.other 주용준 -
dc.contributor.other 황상일 -
dc.contributor.other 맹준호 -
dc.contributor.other 이상범 -
dc.contributor.other 박지희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24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24Z -
dc.date.issued 20091231 -
dc.identifier A 환1185 연2009-07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416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관광개발 다양화에 따른 친환경적 계획수립 및 평가방안에 관한 연구_사공희.pdf -
dc.description.abstract > Study on establishment and assessmen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Planning in line with increased diversification of the tourism development Economic growth, more widespread free time, and a myriad of lifestyle changes have fostered increased demand for leisure as well as increased diversity in the forms of leisure, including tourism, sought out by consumers. At the same time, as authority to develop leisure facilities has dispersed to the local level (i.e. to mayors and provincial governors) local governments have increasingly relied on tourism to develop their economies. This has resulted in some beneficial effects in protecting historical monuments and incentivizing increased protections for the natural environment. At the same, however, tourism has resulted in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scenery and local ecosystems, as tourist facilities have been built on a large-scale and in high densities in prime locations with a favorable natural environment. Accordingly,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ypical resort site types and suggest means for improving tourism development, as well as EIA methodologies to ensure more environmentally-friendly tourism. This study analyzed tourism related law and policy, as well as tourism-related PERS/EIA reports to understand recent trends in tourism development, including the diversification of tourism development related law, the trend towards increasingly massive and tall buildings, and the increased diversity and functionality of tourist facilities. The study also provides case study analysis of controversial tourism development projects and then suggests proposals for improvement of tourism development planning and EIA in terms of protec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Tourism development in Korea, in terms of the natural environment, is typically divided into "mountain" and "island/coastal" tourism. Since tourism development occurs on locations with favorable and attractive natural environments and scenery, it is thus extremely important to consider the effect of tourism development on the natural environment during the process of site selection and land-use planning. In the case of mountain tourism development, it is desirable to restrict development in ecologically protected or scenic areas and to maintain a minimum distance from major mountain ridge axes. Likewise, land use planning should reflect the topology and geology of the designated area and maintain a sufficient amount of space in its original form to ensure that a functional ecological habitat and network is preserved. In particular, when a protected-species is surveyed within or nearby the planning site, an appropriate protection plan and monitoring system should be devised to identify the ecology and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in question. Furthermore, old-growth forest rated at DGN 8 ("Degree of Green Naturality") or above must be protected absolutely. Height and location of buildings will also need to be regulated to protect visual resources and the natural skyline, provided that such restrictions must be based on a visual surface analysis and not impose excessive and cumbersome restrictions on construction. For "island/coastal" tourism planning, preservation of unique geological or landform features, including coastal sand dunes or beaches,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a minimum buffer zone between roads etc. and the coast is paramount. As island/coastal areas are an important ecological habitat for protected species like migratory birds or otters, the habitat and population of the protected species should be surveyed thoroughly. Migratory birds in particular are vulnerable to tall buildings and nighttime light pollution, so building heights should be correspondingly limited to minimize ecological effects. To preserve coastal scenery, coastal viewing corridors and open spaces should be protected, and buildings should be kept at a minimum distance from the coast line and restricted in height. As the network effects of the oceanic/coastal landscape are much more substantial, and as coastal areas recover more slowly than terrestrial landscapes from environmental changes, development needs to be controlled to reduce pollution and to fully comprehend long-term effects. Improvements in tourism policy can produce synergy effects through introduction of newly developed green technology, leveraging of existing natural resources, and increased cooperation among government departments in line with government policy for low carbon green growth. Regional tourism planning will need to include guidelines for tourism planning at the local and municipal level to prevent duplicate development and increase focus. Finally, as development of some designated tourist areas has become delayed or cancelled due to insufficient budgets or low profitability, tourism policy will need to strengthen prior feasibility studies, ensuring that indiscriminate development and unnecessary environmental effects are avoided. To address the issues created by large-scale tourism development, unified environmental standards must be devised that resolve the disparate and conflicting environmental standards set forth in existing tourism-related laws, while EIA review standards should be d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so that development plans can be modified accordingly. Development projects will need to be appropriately administered under the aegis of the approval authorities, while a consultative body that incorporates a diverse range of stakeholders may be formed to adjust development planning so that it minimizes environmental impact. Most of all, specialized human resources in field-surveying, tourism resource management, and land-use planning will be essential to minimize the environmental effect of large-scale tourism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limited in their application in light of its limited range of tourism development models, as case studies were restricted to development projects subject to EIA review, and were focused entirely on the natural environment. Thus, application of its findings will require analysis of more diverse tourism development case studies, while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planning and assessment proposals will be needed to address matters regarding the human environment (i.e. water quality, waste management, etc). Future research can address the sociological and economic aspects of tourism development on the local communit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r>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br> 가. 주요 연구 내용 <br> 나. 연구 범위 <br> 3. 선행 연구 고찰 <br> <br>제2장 관광개발의 일반적 고찰 <br> 1. 관광개발의 개요 <br> 가. 관광개발 및 관광(단)지의 정의 <br> 나. 관광지의 유형 분류 <br> 2. 관광개발 관련 제도 및 체계 <br> 가. 관광관련 법?제도 현황 <br> 나. 관광개발계획의 체계 및 절차 <br> 3. 관광개발의 현황 및 고찰 <br> 가. 관광지 및 관광단지 개발 현황 <br> 나. 관광개발의 제도적?정책적 고찰 <br> <br>제3장 관광개발계획의 경향 분석 <br> 1. 조사.분석 범위 및 내용 <br> 가. 조사.분석 범위 <br> 나. 분석 내용 <br> 2. 관광개발계획의 경향 분석 <br> 가. 경향 분석 <br> 나. 종합 정리 <br> <br>제4장 관광개발 다양화에 따른 환경영향 및 계획적 문제점 고찰 <br> 1. 입지유형에 따른 주요 환경영향 <br> 가. 산지형 <br> 나. 도서.해안형 <br> 2. 최근 관광개발 유형에 대한 사례 조사?분석 <br> 가. 사례조사를 통한 환경영향 분석 <br> 나. 사례조사를 통한 정책적.계획적 문제점 고찰 <br> 3. 종합분석 및 시사점 <br> <br>제5장 친환경적 계획 및 평가를 위한 방안 <br> 1. 입지유형에 따른 환경영향 평가방안 <br> 가. 산지형 <br> 나. 도서.해안형 <br> 2. 관광개발계획에 관한 개선방향 <br> 가. 정책적 측면에서의 개선방향 <br> 나. 대규모 관광개발의 계획 및 평가 시 고려사항 <br> <br>제6장 결 론 <br> 1. 결론 및 제언 <br> 2. 활용방안 및 향후 과제 <br> 가. 연구의 활용방안 <br> 나. 향후 과제 <br> <br>참고 문헌 <br> <br> 개발진흥지구의 지정제한지역 <br> 제2종 지구단위계획의 관광?휴양형 토지이용계획 및 시설물 설치기준 <br> 사전환경성검토에 의한 계획의 적정성 및 입지의 타당성 검토항목 <br> 사전환경성검토의 입지타당성 검토 시 중점검토 대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r>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br> 가. 주요 연구 내용 <br> 나. 연구 범위 <br> 3. 선행 연구 고찰 <br> 제2장 관광개발의 일반적 고찰 <br> 1. 관광개발의 개요 <br> 가. 관광개발 및 관광(단)지의 정의 <br> 나. 관광지의 유형 분류 <br> 2. 관광개발 관련 제도 및 체계 <br> 가. 관광관련 법?제도 현황 <br> 나. 관광개발계획의 체계 및 절차 <br> 3. 관광개발의 현황 및 고찰 <br> 가. 관광지 및 관광단지 개발 현황 <br> 나. 관광개발의 제도적?정책적 고찰 <br> 제3장 관광개발계획의 경향 분석 <br> 1. 조사?분석 범위 및 내용 <br> 가. 조사?분석 범위 <br> 나. 분석 내용 <br> 2. 관광개발계획의 경향 분석 <br> 가. 경향 분석 <br> 나. 종합 정리 <br> 제4장 관광개발 다양화에 따른 환경영향 및 계획적 문제점 고찰 <br> 1. 입지유형에 따른 주요 환경영향 <br> 가. 산지형 <br> 나. 도서?해안형 <br> 2. 최근 관광개발 유형에 대한 사례 조사?분석 <br> 가. 사례조사를 통한 환경영향 분석 <br> 나. 사례조사를 통한 정책적?계획적 문제점 고찰 <br> 3. 종합분석 및 시사점 <br> 제5장 친환경적 계획 및 평가를 위한 방안 <br> 1. 입지유형에 따른 환경영향 평가방안 <br> 가. 산지형 <br> 나. 도서?해안형 <br> 2. 관광개발계획에 관한 개선방향 <br> 가. 정책적 측면에서의 개선방향 <br> 나. 대규모 관광개발의 계획 및 평가 시 고려사항 <br> 제6장 결 론 <br> 1. 결론 및 제언 <br> 2. 활용방안 및 향후 과제 <br> 가. 연구의 활용방안 <br> 나. 향후 과제 <br> <br> 참고 문헌 <br> 개발진흥지구의 지정제한지역 <br> 제2종 지구단위계획의 관광?휴양형 토지이용계획 및 시설물 설치기준 <br> 사전환경성검토에 의한 계획의 적정성 및 입지의 타당성 검토항목 <br> 사전환경성검토의 입지타당성 검토 시 중점검토 대상지역 및 기준 <br> 유원지 및 체육시설의 결정기준 및 설치기준 <br> 체육시설의 설치 및 입지제한 기준 <br> 골프장의 입지기준 및 환경보전 등에 관한 규정 <br> 골프장의 중점 사전환경성 검토항목 및 검토방법 등에 관한 규정 <br> 환경영향평가서, 사전환경성검토서의 분석 대상사업 목록 <br> Abstract -
dc.format.extent 209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관광개발 다양화에 따른 친환경적 계획수립 및 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Study on establishment and assessment of environmental friendly planning in line with increased diversification of the tourism development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9-07 -
dc.description.keyword 환경평가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최근 경제적 여유와 여가시간의 증대로 관광?휴양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관광의 목적이나 개발형태가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관광지 지정 및 조성계획 승인권한이 시?도지사에게 이양됨으로써 지자체 등에서 관광개발을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위한 수단으로 활발하게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관광개발은 기존의 역사?유적 및 생태적 환경 등을 보호하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지만 대부분의 관광개발지가 자연환경이 우수한 지역에 입지하기 때문에 기존의 자연경관, 생태계 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대규모 개발이나 고밀도 개발 등으로 토지의 과도한 변형 등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광개발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친환경적인 개발을 유도하기 위하여 관광개발의 대표적인 입지유형을 구분하고, 유형에 따른 환경영향 평가방안을 제시하며, 현 관광개발계획에 대한 계획 및 정책적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광개발 관련 법?제도를 분석하고, 본 원에 접수된 관광개발관련 사업의 환경영향평가서, 사전환경성검토서를 바탕으로 최근 관광개발의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관광개발 근거법의 다양화, 규모의 대규모화?고층화, 시설물 종류 및 기능의 다양화?복합화 등과 같은 최근 관광개발의 경향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러한 경향을 바탕으로 최근 관광개발사업 중 입지유형별로 이슈가 되고 있는 사업에 대한 사례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관광개발에 따른 자연환경 부문의 환경영향에 대한 평가방안 및 관광개발계획의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자연환경 부문의 평가항목을 고려한 계획수립 및 평가방안은 대표적으로 산지형과 도서?해안형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일반적으로 자연환경이 우수한 지역에 입지하는 관광개발사업의 경우에는 입지선정 및 토지이용계획 단계에서 친환경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산지형의 경우 경관?생태적으로 중요한 보호지역 등에 대해서는 입지를 제한하고 주요 능선축의 경우 능선축으로부터 일정거리를 이격하여 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토지이용계획 시 기존 지형을 고려한 지형에 순응하는 형태로 계획을 수립하고, 생태적 연결성 및 생물서식공간 확보를 위하여 충분한 면적의 원형보전지역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사업지역 내에 법정보호종이 서식하는 경우 모니터링 등을 통하여 해당 종의 생태적 특성을 충분히 파악하고, 서식환경을 보전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녹지자연도 8등급 이상 지역 등 식생이 양호한 산림지역은 절대적으로 보전하도록 해야 한다. 경관적으로는 주요 경관자원을 보전하고, 스카이라인을 보전하면서 과도한 건축규제가 되지 않도록 시곡면 분석을 통하여 건축물 층고를 결정해야 한다. 도서?해안형의 경우에는 사구?사빈 등 해안지역의 독특한 지형?지질자원을 보전하도록 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도로 등 시설물 배치는 해안가에서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도서?해안지역은 수달, 철새 등의 중요서식처가 되므로 법정보호종의 서식현황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특히 철새와 같은 조류는 야간 비행 중에 해안가의 고층 숙박시설이나 야간조명으로 인하여 생존의 위협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건물의 층수 등을 결정해야 한다. 경관적으로는 해안으로의 조망축 및 해안의 개방성을 보전해야 하며, 도서지역의 경계부에는 시설물의 입지를 지양하고, 층고를 저층으로 유도해야 한다. 해양은 육지에 비해 환경영향이 광범위하며, 회복에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오염물질이 해양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해야 하고, 장기적인 측면에서 환경영향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정책적 측면의 개선방향으로는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에 발맞추어 관광개발에의 녹색기술 도입, 기존 자연자원 활용, 타 부처 간의 상호협력체계 구축 등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권역별 관광개발계획의 경우 하위계획에 대한 개발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지침적 성격의 내용을 포함할 필요가 있으며, 광역적 차원에서 거점 관광개발을 유도하여 중복개발 등을 방지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관광(단)지가 지정되더라도 예산확보 및 낮은 수익성으로 사업이 지연되거나 중단되는 사례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무분별한 개발과 불필요한 환경적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업성 검토를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대규모 관광개발에 대한 계획적 측면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 다양한 근거법에 의한 서로 다른 환경적 기준을 일관성 있는 통일된 환경기준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개발계획에 대한 협의내용의 변경에 대해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내용을 고려하여 우선 검토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승인기관 주도하에 개발사업을 합리적으로 관리해야 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의체를 구성하여 사업계획의 조정 및 환경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인한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각 분야에 대한 정밀한 현황조사 및 관광자원의 전문적인 관리를 위한 전문인력을 확보하여야 하며, 다양한 전문 분야를 총괄하여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전문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범위를 관광개발 관련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으로 제한하여 다양한 관광개발모델을 모두 반영하지 못한 점, 환경영향에 대한 계획수립 및 평가방안을 자연환경부문에 초점을 두어 제시한 점 등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관광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생활환경과 관련된 평가항목(수질, 친환경적 자원순환 등)에 대해서도 친환경적 계획수립 및 평가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자연환경뿐만 아니라 관광개발이 지역주민 및 지역사회에 미치는 사회적?경제적 영향과 관련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agong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ee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