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의 농도변화를 이용한 다중이용시설의 흡연으로 인한 실내공기질 관리정책 평가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김성렬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28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28Z -
dc.date.issued 20091130 -
dc.identifier A 환1185 정2009-07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443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미세먼지의 농도변화를 이용한 다중이용시설_07_김성렬.pdf -
dc.description.abstract Evaluation of Air Quality of Nonsmoking Rooms in Hospitality Venues using Measurements of PM2.5 Concentrations In South Korea, hospitality venues, including PC game rooms, that allow adolescents to enter, must designate a nonsmoking area pursuant Article 7 of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Act. Under these rules, a smoking area, constituting up to half of the entire space of the venue, must be enclosed on all sides by solid, impermeable walls. However, a large number of Korean public health experts have reported that secondhand smoke(SHS) levels in nonsmoking areas in those venues are still significantly high. Using measurements of PM2.5(particulate matters of less than 2.5 micrometers) and airborne nicotine concentrations as well as separation rates between smoking and nonsmoking areas, this study was able to examine whether separation of nonsmoking area as currently practiced is a viable way to protect nonsmoking adolescents from secondhand smoke exposure. The separation rate(%) was determined by subtracting the surface area of openings in partitions from the entire surface area of partitions. The measurements were conducted at 28 PC game rooms randomly selected from 14 districts of Seoul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We calculated the ratios of PM2.5 and airborne nicotine concentrations measured in nonsmoking areas to those in smoking areas. According to the Wilcoxon rank-sum tests, it turned out that the distributions of the ratios of PM2.5 and nicotine concentrations between the two separation groups ( ≥ 78% vs < 78%) were not different; p=0.31 for PM2.5 and p=0.43 for airborne nicotine. Our study thus provides compelling evidence for the support of more rigorous policy initiatives aimed at encouraging complete smoking ban and reducing SHS in such venue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 2. 연구의 목적 <br> 3. 선행 연구에 대한 고찰 <br> 가. 간접흡연의 건강영향 <br> 나. 국내 상황 <br> <br>제2장 연구방법 <br> 1. 연구대상지역 선정 <br> 2. 연구 추진체계 및 측정방법 <br> 가. 연구 추진체계 <br> 나. 측정방법 <br> <br>제3장 PC방 실내공기 중 PM2.5와 니코틴의 관련성 평가 <br> 1. 실측 대상 PC방 기초 현황 <br> 2. SidePak PM2.5 농도와 공기중 니코틴 농도 <br> 3. 흡연실의 흡연자수, 담배개비수, SidePak PM2.5 농도 및 공기 중 니코틴 농도의 상호 관련성 <br> 4. 흡연실의 공기질이 금연실의 공기질에 미치는 영향 <br> 5. 외국문헌과 측정결과 비교 <br> 6. 연구의 장·단점 <br> <br>제4장 결론 및 제언 <br> <br>참고 문헌 <br> <br> 「국민건강증진법」시행규칙 제7조 <br> 샘플링 기록지 예 <br> SidePak-PM2.5 실시간 모니터링 결과 자료의 예 <br> <br>Abstract <br> <br>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 2. 연구의 목적 <br> 3. 선행 연구에 대한 고찰 <br> 가. 간접흡연의 건강영향 <br> 나. 국내 상황 <br> 제2장 연구방법 <br> 1. 연구대상지역 선정 <br> 2. 연구 추진체계 및 측정방법 <br> 가. 연구 추진체계 <br> 나. 측정방법 <br> 제3장 PC방 실내공기 중 PM2.5와 니코틴의 관련성 평가 <br> 1. 실측 대상 PC방 기초 현황 <br> 2. SidePak PM2.5 농도와 공기중 니코틴 농도 <br> 3. 흡연실의 흡연자수, 담배개비수, SidePak PM2.5 농도 및 공기 중 니코틴 농도의 상호 관련성 <br> 4. 흡연실의 공기질이 금연실의 공기질에 미치는 영향 <br> 5. 외국문헌과 측정결과 비교 <br> 6. 연구의 장·단점 <br> 제4장 결론 및 제언 <br> <br> 참고 문헌 <br> 「국민건강증진법」시행규칙 제7조 <br> 샘플링 기록지 예 <br> SidePak-PM2.5 실시간 모니터링 결과 자료의 예 <br> Abstract -
dc.format.extent 41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미세먼지의 농도변화를 이용한 다중이용시설의 흡연으로 인한 실내공기질 관리정책 평가 -
dc.type 수시연구 -
dc.title.original Evaluation of air quality of nonsmoking rooms in hospitality venues using measurements of PM2.5 concentrations -
dc.title.partname 정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9-07 -
dc.description.keyword 환경보건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현재 「국민건강증진법」시행규칙 제7조는 청소년들이 간접흡연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다중이용시설(PC방 포함)에서는 영업장 내부 중 2분의 1이상의 구역을 금연구역으로 설정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시행규칙에 의거하여 이러한 다중이용시설의 금연실은 차단막을 설치해 흡연실과 구분하고 있지만, 기대와 달리 금연실의 실내공기질 저하는 지속적으로 보고되어 왔다. 따라서 암을 유발시킬 수 있다고 정의된 간접흡연이 금연실에서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책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이러한 정책의 개선을 제안하기에 앞서, 본 연구는 실제로 흡연실의 담배연기가 금연실의 공기질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금연실과 흡연실을 구분하는 차단막이 실제로 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서울시내 14개 구의 28개 PC방을 임의로 선정, 방문하여 오후 4시~6시 사이에 흡연실과 금연실에서 동시에 공기중 PM2.5와 니코틴 농도를 측정하고 두 구역의 농도비(금연실/흡연실)를 계산하여 차단율과의 관련성을 통계적으로 평가하였다. 차단율의 중간값인 78%를 기준으로 차단율이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으로 나누어서 PM2.5 및 니코틴의 농도비(금연실/흡연실)가 차이가 있는지를 Wilcoxon rank -sum test를 이용하여 비교해 보았는데, 두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농도비는 차단율이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 사이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31 그리고 0.43). 이는 완전 독립적인 흡연구역의 설정이 아니라면 흡연구역의 담배연기가 금연실의 공기질을 오염시키는 것으로 해석되며, 이러한 시설에 대한 해당 정책을 시행할 때 개선의 여지가 필요하다는 적절한 증거를 제공한다고 사료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im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ung-Roul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olicy Study(정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