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지질공원의 특성과 시사점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이수재 -
dc.contributor.other 사공희 -
dc.contributor.other 최준규 -
dc.contributor.other 이명진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28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28Z -
dc.date.issued 20091222 -
dc.identifier A 환1185 정2009-08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444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유네스코 지질공원의 특성과 시사점 연구_08_이수재.pdf -
dc.description.abstract Concepts and Implications of UNESCO Geoparks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of Geoparks, a UNESCO initiative which is attracting increasing attention in Korea. Geoparks are sites of scientific importance for geology, ecology, archaeology, and culture, etc. Since Geoparks have relatively few restrictions on land use, the development of Geoparks is attractive to the local population. Accordingly, we suggest that the Korean government create geoparks in Korea as they can create numerous positive externalities, including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brand, and the promotion of ecotourism, in addition to benefits arising from protection of national territory etc.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1. 연구 배경 <br> 2. 연구의 필요성 <br> 3. 연구 목적 <br> 4. 주요 연구 내용 <br> 5. 연구 방법 <br> 6. 선행 연구 <br> <br>제2장 유네스코 지질공원의 개요 <br> 1. 유네스코의 환경과 문화에 대한 보호제도 개요 <br> 가. 유네스코 주관 3대 보호제도 <br> 나. 유네스코 보호지역의 일반적 특성 비교 <br> 다. 신청 및 등재 방법 <br> 라. 등재와 인증시 자격의 유지 방법 <br> 마. 우리나라의 유네스코 보호지역 등재 혹은 인증 현황 <br> 바. 세계유산 및 생물권보전지역의 문제점 <br> 사. 대안의 대두: 지질공원의 도입 <br> 2. 지질공원의 개념 <br> 가. 지질공원의 정의 <br> 나. 지질공원의 유래 및 활동 내역 <br> 다. 지질공원의 등급 <br> 3. 지질공원의 현황 <br> 가. 세계지질공원 <br> 나. 대륙급 지질공원 <br> 다. 국가지질공원 <br> 4. 국외의 지질공원 추진 체계 <br> 가. 영국 <br> 나. 독일 <br> 다. 중국 <br> 라. 일본 <br> 마. 말레이시아 <br> 바. 대만 <br> 5. 지질공원의 경계 설정 유형 <br> 6. 세계지질공원에 가입 신청시 필요한 사항 <br> 가. 신청서의 개요 <br> 나. 자체평가표 <br> <br>제3장 지질공원제도 도입의 필요성 및 여건 <br> 1. 지질공원제도의 도입의 필요성 <br> 가. 자연자산의 보호 및 활용의 조화 기회 제공 <br> 나. 국가품격의 향상과 관광 증대 가능 <br> 다. 지역주민이 주도하여 지역경제 활성화가 가능 <br> 라. 유네스코의 국제 활동에 적극적 동조 <br> 2. 국내 지질공원의 도입 여건 <br> 가. 지질공원의 후보지 유형 <br> 나. 국내 지질유산의 현황 <br> 다. 국내 지질공원 추진 동향 <br> 라. 지질공원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의 정도 <br> 3. 국내 지질공원 도입시 필요사항 <br> 가. 관련 법·제도의 마련 필요 <br> 나. 지자체 들간의 협의체 결성 필요 <br> 다. 국가지질공원위원회의 구성 필요 <br> 라. 지질공원 후보지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차 례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 배경 <br> 2. 연구의 필요성 <br> 3. 연구 목적 <br> 4. 주요 연구 내용 <br> 5. 연구 방법 <br> 6. 선행 연구 <br> 제2장 유네스코 지질공원의 개요 <br> 1. 유네스코의 환경과 문화에 대한 보호제도 개요 <br> 가. 유네스코 주관 3대 보호제도 <br> 나. 유네스코 보호지역의 일반적 특성 비교 <br> 다. 신청 및 등재 방법 <br> 라. 등재와 인증시 자격의 유지 방법 <br> 마. 우리나라의 유네스코 보호지역 등재 혹은 인증 현황 <br> 바. 세계유산 및 생물권보전지역의 문제점 <br> 사. 대안의 대두: 지질공원의 도입 <br> 2. 지질공원의 개념 <br> 가. 지질공원의 정의 <br> 나. 지질공원의 유래 및 활동 내역 <br> 다. 지질공원의 등급 <br> 3. 지질공원의 현황 <br> 가. 세계지질공원 <br> 나. 대륙급 지질공원 <br> 다. 국가지질공원 <br> 4. 국외의 지질공원 추진 체계 <br> 가. 영국 <br> 나. 독일 <br> 다. 중국 <br> 라. 일본 <br> 마. 말레이시아 <br> 바. 대만 <br> 5. 지질공원의 경계 설정 유형 <br> 6. 세계지질공원에 가입 신청시 필요한 사항 <br> 가. 신청서의 개요 <br> 나. 자체평가표 <br> 제3장 지질공원제도 도입의 필요성 및 여건 <br> 1. 지질공원제도의 도입의 필요성 <br> 가. 자연자산의 보호 및 활용의 조화 기회 제공 <br> 나. 국가품격의 향상과 관광 증대 가능 <br> 다. 지역주민이 주도하여 지역경제 활성화가 가능 <br> 라. 유네스코의 국제 활동에 적극적 동조 <br> 2. 국내 지질공원의 도입 여건 <br> 가. 지질공원의 후보지 유형 <br> 나. 국내 지질유산의 현황 <br> 다. 국내 지질공원 추진 동향 <br> 라. 지질공원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의 정도 <br> 3. 국내 지질공원 도입시 필요사항 <br> 가. 관련 법·제도의 마련 필요 <br> 나. 지자체 들간의 협의체 결성 필요 <br> 다. 국가지질공원위원회의 구성 필요 <br> 라. 지질공원 후보지 선정 및 인증 기준 설정 필요 <br> 마. 지질공원을 희망하는 지자체가 할 사항 <br> 바. 세계지질공원 인증 신청시 전략적 접근 방안 마련 필요 <br> 4. 지질공원 도입시 기대효과 <br> 가. 기존 보호제도에 대한 대안적 접근 가능 <br> 나. 국가 브랜드 가치 제고의 효과 <br> 다. 국가 및 국내의 다양한 집단의 이해와 협력의 장 <br> 라. 국토의 효율적 이용 도모 <br> 마. 과학의 대중화 촉진 및 교육의 장 <br> 제4장 결론 및 제언 <br> 1. 결론 <br> 가. 지질공원의 필요성 <br> 나. 지질공원의 도입 여건 <br> 다. 지질공원의 도입시 기대효과 <br> 2. 제언 <br> 가. 지질공원 관련 법?제도의 마련 <br> 나. 지자체 들간의 협의체 구성 및 운영 <br> 다. 국가지질공원위원회의 구성 필요 <br> 라. 자발적 지질공원의 운영에 대한 지원 <br> 마. 후속과제의 필요 <br> <br> <br> 참고 문헌 <br> 부록 A1 지질공원 후보지: 백령도의 지질명소 및 기타 사항 <br> 부록 A2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망 지침과 판별기준 <br> 부록 A3 세계지질공원 신청자 자체 평가표(2009.4) <br> 부록 A4 지구과학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네이버 '자연사 기행' 댓글 분석 <br> Abstract -
dc.format.extent 139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유네스코 지질공원의 특성과 시사점 연구 -
dc.type 수시연구 -
dc.title.original Concepts and implications of UNESCO geoparks -
dc.title.partname 정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9-08 -
dc.description.keyword 국토환경관리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본 연구는 유네스코가 주관하는 보호제도 중 지질공원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여 국내에 지질공원제도를 도입할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와 국내의 지질공원의 여건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우리나라는 지질유산이 풍부하고 전 국토에 골고루 퍼져 있어서 지질공원을 도입 및 운영하기에 적합하며, 지역경제 발전, 국토의 자연환경 인식 제고 및 영토 보전 등을 위해서는 서둘러 관련 법제도를 마련하여야 한다. 제1장 서언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 필요성, 목적, 주요 연구내용, 연구 방법 및 선행연구 등에 관한 사항을 다루었다. 제주도와 울릉도가 유네스코가 주관하는 세계지질공원을 추진함에 있어서 국내에 관련 법?제도가 없어서 애로점이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질공원의 전반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동 제도를 국내에 소개하고 도입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제2장 유네스코 지질공원의 개요 제2장에서는 유네스코 지질공원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다루었다. 유네스코의 3대 보호제도인 세계자연유산, 생물권보전지역 및 지질공원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세계유산이 걸출한 보편적 가치를 지닌 것만 등재됨으로써 차하위 우수대상이 보호대상으로 선정되지 않는 것에 대한 보완책으로 지질공원이 대두되었다. 또한 세계유산과 생물권보전지역 등이 용도지역을 구분하여 강한 행위제한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서 지역주민과 때로는 마찰의 우려가 있지만 지질공원은 그러한 위험도가 적다는 것이 장점이라는 것을 알았다. 비록 지질공원이 세계유산 협약처럼 강력한 추진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지역주민이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바랄 때는 바람직한 보호 및 활용제도인 것으로 인식하였다. 제3장 지질공원제도 도입 필요성 및 여건 지질공원은 자연환경에 대한 보호와 활용을 조화시켜 보호제도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고, 국가 품격 향상을 통한 관광 활성화 및 지역주민의 주도적 참여로 지역경제의 활성화가 될 수 있는 기회요소가 많다. 우리나라는 다양한 지질유산을 전국에 걸쳐서 골고루 보유하고 있으므로 지질공원의 후보지가 국토 전역에 균형적으로 분포할 수 있다. 또한 그동안 천연기념물 및 명승 등 문화재보호법에 의한 지질유산과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한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발굴된 지형유산에 대한 정보가 상당히 구축되어 있으므로, 법?제도의 일부만 개정하면 지질공원을 운영하는 데는 큰 장애가 없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4장 결론 및 제언 지질공원은 국제적인 추세를 고려할 때 우리나라에 꼭 필요한 제도이다. 지질공원은 국민이 자연환경을 바라보는 시각을 풍부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하여 지역주민의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경제 발전에도 일조를 한다. 따라서 하루빨리 법?제도를 마련하여 국가 지질공원을 도입하고, 이 중 우수한 것은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을 받아서 국토 자연환경의 우수성뿐만 아니라 영토 보전에도 활용하여야 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Lee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oo-Jae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olicy Study(정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