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지역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열섬현상 완화방안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명수정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29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29Z -
dc.date.issued 20091130 -
dc.identifier A 환1185 기초2009-08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453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도시지역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열섬효과 완화방안 연구_08_명수정.pdf -
dc.description.abstract A Study on Strategies to Mitigate Urban Heat Island Effects as Part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Urban Areas One characteristic of land cover in urban areas is the dominance of impervious surfaces. Impervious man-made surfaces like asphalt, concrete, and rooftops absorb solar radiation and take away the water storing capacity of nature, eventuall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urban areas. Temperature is one of the main concerns in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the heat island effect in large urban centers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Accordingly, accommodating urban green space and enhancing the function of the water cycle in an urban area can be a good strategy for urban areas in coping with the heat island effect and also in adapting to climate change. Maximizing the function of plants and the water corridor in order to decrease urban temperature, and consequently cut air-conditioning use, will ultimately reduce the release of greenhouse gases. This study examines the extent of the cooling effects of urban green spaces and water corridors on the thermal environment of Seoul and looked for implications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ies. It found that cooling effects operated in only a limited distance. For water corridors, around 100 m was the effective distance to attain cooling effects, and for green space, around 300m was the effective distance. It was also found that the size of an urban green space does not make much difference on cooling of the surrounding areas. Although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this matter, it can be said that establishing many small green spaces and many narrow water corridors is more effective than establishing a single big green space or corridor in an urban area. Sprinkling used water on street surfaces on hot days may be another effective strategy in temperature mitigation. Climate change is expected to continue in spite of effort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ccordingly, climate change adaptation is indispensible. Urban areas are much more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due to urban heat island effects. To adapt to climate change, establishing proper strategies such as environmentally friendly land use planning is necessar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 2. 연구의 내용 <br> <br>제2장 기후변화현상 심화에 따른 도시 미기후 개선의 필요성 <br> 1. 도시지역의 온도 상승 <br> 2. 도시 온도 상승과 건강 피해 <br> 3. 기후변화에 따른 온도 상승 전망 <br> <br>제3장 도시 온도와 영향 요소 <br> 1. 온도 영상 구축 <br> 2. 물길과 도시 온도 분포 <br> 3. 녹지와 도시 온도 분포 <br> 4. 도로와 도시 온도 분포 <br> <br>제4장 도시열섬현상 완화를 위한 정책방안 <br> 1. 물길의 조성 <br> 2. 도시 녹지의 확대 <br> 3. 도시열섬현상 완화를 위한 기타 방안 <br> 4. 도시열섬현상 완화를 위한 제도의 강화 <br> <br>제5장 결론 및 제언 <br> 1. 결 론 <br> 2. 제 언 <br> <br>참고 문헌 <br> <br>Abstract <br> <br>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 2. 연구의 내용 <br> 제2장 기후변화현상 심화에 따른 도시 미기후 개선의 필요성 <br> 1. 도시지역의 온도 상승 <br> 2. 도시 온도 상승과 건강 피해 <br> 3. 기후변화에 따른 온도 상승 전망 <br> 제3장 도시 온도와 영향 요소 <br> 1. 온도 영상 구축 <br> 2. 물길과 도시 온도 분포 <br> 3. 녹지와 도시 온도 분포 <br> 4. 도로와 도시 온도 분포 <br> 제4장 도시열섬현상 완화를 위한 정책방안 <br> 1. 물길의 조성 <br> 2. 도시 녹지의 확대 <br> 3. 도시열섬현상 완화를 위한 기타 방안 <br> 4. 도시열섬현상 완화를 위한 제도의 강화 <br> 제5장 결론 및 제언 <br> 1. 결 론 <br> 2. 제 언 <br> <br> 참고 문헌 <br> Abstract <br> -
dc.format.extent 32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도시지역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열섬현상 완화방안 연구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A study on strategies to mitigate urban heat lsland effects ac part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urban areas -
dc.title.partname 기초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9-08 -
dc.description.keyword 기후변화대응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도시지역의 토지이용 특성은 불투수층이 절대적으로 많다는 것이다.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지붕과 같은 불투수층은 태양에너지를 흡수할 뿐 아니라 물을 저장하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도시지역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있다. 온도상승은 기후변화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우려 사항 중의 하나이며 대도시 지역의 이러한 도시열섬현상은 특히 중요한 이슈이다. 따라서 도시지역에 녹지와 물길을 확충하고 물순환을 개선시키는 것은 식물과 수체의 기능을 최대한 살려 도시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적응하는 방안이 된다. 이것은 더 나아가 냉방시설 가동률도 낮추어 온실가스 배출도 감축시켜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울을 대상으로 온도 분포 지도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시의 녹지와 물길이 주변온도를 낮추는 범위를 진단하고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녹지와 물길은 제한된 거리에서 온도를 낮추는 기능을 발휘하였는데, 물길의 경우는 약 100m 정도, 도시 녹지의 경우는 약 300m 정도가 온도를 낮추는 효과 거리로 나타났다. 한편, 도시 녹지의 크기는 온도를 낮추는 데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더 많은 녹지와 물길을 대상으로 분석이 진행되어야 하지만, 본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여러 개의 작은 녹지나 물길을 조성하는 것이 도시지역의 온도를 낮추는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무더운 한여름에 한 번 사용한 물을 길가에 뿌리는 것도 국지적으로 도시의 온도를 낮추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전 지구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후변화는 당분간 더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어 기후변화 적응은 불가피하다. 도시지역은 열섬현상으로 인하여 기후변화에 더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한 환경친화적인 토지이용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Myeong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oo-Jeong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