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수질 모니터링 및 모델링 체계에 관한 고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정유진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29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29Z -
dc.date.issued 20091130 -
dc.identifier A 환1185 기초2009-13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458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실시간 수질 모니터링 및 모델링 체계에 관한 고찰_13_정유진.pdf -
dc.description.abstract Study of Real Time Water Quality Monitoring and Modeling Systems Advances in information technology now allow the real time-spatial analysis of water quality of rivers and lake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currently operates an automatic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in order to obtain continuous water quality data,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status of water quality, to collect proper information for effective management of watersheds, and to build early warning systems. In this study, I reviewed the structures and functions of real time water quality monitoring and modeling systems which are able to enhance the usability of information so obtained as well as to effectively manage the water quality of rivers, lakes and reservoirs. In order to understand systems currently operating in Korea, I examined three cases including the automatic national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oper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run by the Korea Water Resources Cooperation, and the real time data service by the Integrated Preservation Study on Oceanic Environments in the Saemangeum Area. Studies were also reviewed on water quality modeling linked with auto monitoring systems in Korea. In addition, I investigated real time monitoring and modeling systems in other countries including the US, Japan, and Europe, where the importance of automatic monitoring systems has been widely acknowledged. Three examples were introduced, including the continuous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in Japan and the Lake Biwa case study the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in the US and real time monitoring and modeling at USGS in Kansas State; and the automatic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via ICPR and ICPDR. Finally, from the advanced systems in other countries, the study deduced comments and suggestions with respect to the current national water quality auto monitoring system.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 2. 연구의 목적 <br> <br>제2장 국내 실시간 수질 모니터링 및 모델링 체계 현황 <br> 1. 개요 및 정의 <br> 2. 국가 수질자동측정망 현황 <br> 가. 수질자동측정망 구성 및 운영 <br> 나. 측정 위치 <br> 다. 측정 항목 <br> 라. 조기경보체계 <br> 3. 국내 수질자동측정망 사례 <br> 가. 한국수자원공사 <br> 나. 새만금지구 자동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br> 4. 실시간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과 연계된 모델링 현황 <br> 가. 실시간 탁수 감시 및 예측 시스템(Real-time Turbidity Monitoring & Modeling System, RTMMS) <br> 나. 도시 하천 내 자동수질측정장치 및 수질 모델의 사용 <br> 다. 실시간 수질 예측을 위한 신경망 모형 적용 <br> <br>제3장 주요국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모델링 체계 현황 <br> 1. 일본의 수질오염연속 모니터링 체계 <br> 2. 미국의 수질 모니터링 체계 <br> 3. 유럽의 수질자동측정시스템 <br> <br>제4장 결론 및 제언 <br> <br>참고 문헌 <br> <br>Abstract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 2. 연구의 목적 <br> 제2장 국내 실시간 수질 모니터링 및 모델링 체계 현황 <br> 1. 개요 및 정의 <br> 2. 국가 수질자동측정망 현황 <br> 가. 수질자동측정망 구성 및 운영 <br> 나. 측정 위치 <br> 다. 측정 항목 <br> 라. 조기경보체계 <br> 3. 국내 수질자동측정망 사례 <br> 가. 한국수자원공사 <br> 나. 새만금지구 자동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br> 4. 실시간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과 연계된 모델링 현황 <br> 가. 실시간 탁수 감시 및 예측 시스템(Real-time Turbidity Monitoring & Modeling System, RTMMS) <br> 나. 도시 하천 내 자동수질측정장치 및 수질 모델의 사용 <br> 다. 실시간 수질 예측을 위한 신경망 모형 적용 <br> 제3장 주요국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모델링 체계 현황 <br> 1. 일본의 수질오염연속 모니터링 체계 <br> 2. 미국의 수질 모니터링 체계 <br> 3. 유럽의 수질자동측정시스템 <br> 제4장 결론 및 제언 <br> <br> 참고 문헌 <br> Abstract <br> -
dc.format.extent 43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실시간 수질 모니터링 및 모델링 체계에 관한 고찰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Study of real time water quality monitoring and modeling systems -
dc.title.partname 기초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9-13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최근 발달한 정보통신기술을 응용한 수질 모니터링과 모델링 기술은 국내 하천 및 호소 수질의 시·공간 분포를 실시간으로 해석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현재 환경부는 기초 수질자료를 확보하고, 상수원에 대한 종합적인 수질 현황을 파악하며, 효율적인 수계 관리를 위해 요구되는 수질 정보를 수집할 뿐만 아니라, 조기경보체계를 구축할 목적으로, 수질자동측정망을 운영 중에 있다. 본 연구는 현 국내외 수질자동측정망 현황을 파악하고, 수질 정보의 고도화 및 하천과 호소의 수질관리의 효율적인 연계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실시간 수질 모니터링 및 모델링 시스템의 구성과 기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국내 수질자동측정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환경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국가 수질자동측정망, 수자원공사에서 운영하는 수질자동측정망, 새만금지구 자동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살펴보고, 실시간 수질 모니터링과 연계된 모델링 사례연구도 조사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인 물환경 관리를 위해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수질측정시스템의 운영관리에 대해 선진국의 현황을 조사 및 검토하였다. 즉, 일본의 수질오염 연속모니터링 체계와 비와호 사례연구, 미국의 수질 모니터링 체계와 켄사스 주 USGS 사례연구, 유럽의 수질자동측정시스템 중 국제기구 사례연구 등이 그 주된 내용이다. 마지막으로, 주요국의 사례연구를 통해서 향후 국내 수질자동측정망의 나아갈 방향에 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ung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Eu-Gene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