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탄소 생태관광지표 개발 및 평가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배민기 -
dc.contributor.other 박창석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0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0Z -
dc.date.issued 20091222 -
dc.identifier A 환1185 기초2009-18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463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저탄소 생태관광지표 개발 및 평가_18_배민기.pdf -
dc.description.abstract Abstract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Indicators for Low Carbon Ecotourism Like other industries tourism has the potential to leverage climate change into an opportunity for low carbon green growth. Nevertheless, conceptual frameworks for low carbon “ecotourism” have thus far been inadequate and unsatisfactory, while no agreed upon indicators exist that can be used to evaluate low carbon ecotourism on its own merits. Moreover, relatively little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policy priorities, is available for use in policy making for the development of this industry.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policy directions for invigorating low carbon ecotourism. To this end, Chapter 2 establishes concepts in low carbon ecotourism, and then analyzes foreign and domestic case studies in consideration of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Chapter 3 devises a conceptual framework for low carbon ecotourism and examines ecotourism, potential ecotourists, and ecotourist attractions and localities, while going over theories on climate changes. The study then designates evaluation indicators for low carbon ecotourism based on the foregoing results. Chapters 4 and 5 present policy directions for encouragement of low carbon ecotourism through conjoint analysi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 results of research indicated that 1) policy directions should prioritize adaption to climate change above all for the purpose of invigorating low carbon ecotourism. 2) on a more detailed level, ① participation from tourists and visitors can be induced through an explanation and experience program that focuses on climate change, ② management plans need to be established to minimize damages to ecotourism resources from global warming, ③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enable installation of low carbon tourism facilities that leverage green technologies, ④ separate biking and walking paths for trekking tours should be expanded, ⑤ changes in people?s attitudes and behavior can be induced through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on climate change to tourists and workers within the tourist area ⑥ travel agencies need to develop low carbon ecotourism tour packages ⑦ proposals will be needed to convert the existing tourism industry to a low carbon tourism industry. This study provides clear definitions of the conceptual framework of low carbon ecotourism, and by developing evaluation indicators for low carbon ecotourism in Korea, is significant in presenting directions for activation of low carbon ecotourism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applied in the preparation of guidelines for low carbon ecotourism and management in Korea and the establishment of low carbon ecotourism evaluation system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 2. 연구의 목적 <br> 3. 연구의 주요 내용 및 방법 <br> <br>제2장 저탄소 생태관광에 대한 고찰 <br> 1. 저탄소 생태관광의 개념정립 <br> 가. 저탄소 생태관광의 등장배경 <br> 나. 저탄소 생태관광과의 유사개념의 비교 <br> 다. 저탄소 생태관광의 정의 <br> 2. 저탄소 생태관광 관련 법제도의 고찰 <br> 3. 저탄소 생태관광의 국내외 주요 사례 및 동향 <br> 가. 국내 주요 사례 고찰 <br> 나. 국외 주요 사례 고찰 <br> 다. 사례고찰을 통한 시사점 <br> <br>제3장 저탄소 생태관광의 개념적 틀에 따른 평가지표 선정 <br> 1. 저탄소 생태관광의 개념적 틀 <br> 2. 저탄소 생태관광의 개념적 틀에 따른 지표고찰 <br> 가. 저탄소 생태관광과 관광객 <br> 나. 저탄소 생태관광과 관광매력물 <br> 다. 저탄소 생태관광과 지역 <br> 라. 저탄소 생태관광과 기후변화 <br> 3. 저탄소 생태관광의 평가지표 <br> 가. 저탄소 생태관광 평가지표 개발의 방법 <br> 나. 관광객 지표 <br> 다. 관광매력물 지표 <br> 라. 지역 지표 <br> 마. 기후변화 지표 <br> <br>제4장 저탄소 생태관광지표에 따른 평가 <br> 1. 저탄소 생태관광의 기능별 효용평가 <br> 가. 개요 <br> 나. 분석을 위한 기본 가정 및 가설 <br> 다. 연구방법 <br> 라. 결과 및 고찰 <br> 2. 저탄소 생태관광 평가지표의 중요도 및 I-P 분석 <br> 가. 관광객 평가지표 분석 <br> 나. 관광매력물 평가지표 분석 <br> 다. 지역 평가지표 분석 <br> 라. 기후변화 평가지표 분석 <br> <br>제5장 저탄소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 <br> <br>참고 문헌 <br> <br>부록: 저탄소 생태관광에 대한 설문지 <br> <br>Abstract <br> <br>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차 례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 2. 연구의 목적 <br> 3. 연구의 주요 내용 및 방법 <br> 제2장 저탄소 생태관광에 대한 고찰 <br> 1. 저탄소 생태관광의 개념정립 <br> 가. 저탄소 생태관광의 등장배경 <br> 나. 저탄소 생태관광과의 유사개념의 비교 <br> 다. 저탄소 생태관광의 정의 <br> 2. 저탄소 생태관광 관련 법제도의 고찰 <br> 3. 저탄소 생태관광의 국내외 주요 사례 및 동향 <br> 가. 국내 주요 사례 고찰 <br> 나. 국외 주요 사례 고찰 <br> 다. 사례고찰을 통한 시사점 <br> 제3장 저탄소 생태관광의 개념적 틀에 따른 평가지표 선정 <br> 1. 저탄소 생태관광의 개념적 틀 <br> 2. 저탄소 생태관광의 개념적 틀에 따른 지표고찰 <br> 가. 저탄소 생태관광과 관광객 <br> 나. 저탄소 생태관광과 관광매력물 <br> 다. 저탄소 생태관광과 지역 <br> 라. 저탄소 생태관광과 기후변화 <br> 3. 저탄소 생태관광의 평가지표 <br> 가. 저탄소 생태관광 평가지표 개발의 방법 <br> 나. 관광객 지표 <br> 다. 관광매력물 지표 <br> 라. 지역 지표 <br> 마. 기후변화 지표 <br> 제4장 저탄소 생태관광지표에 따른 평가 <br> 1. 저탄소 생태관광의 기능별 효용평가 <br> 가. 개요 <br> 나. 분석을 위한 기본 가정 및 가설 <br> 다. 연구방법 <br> 라. 결과 및 고찰 <br> 2. 저탄소 생태관광 평가지표의 중요도 및 I-P 분석 <br> 가. 관광객 평가지표 분석 <br> 나. 관광매력물 평가지표 분석 <br> 다. 지역 평가지표 분석 <br> 라. 기후변화 평가지표 분석 <br> 제5장 저탄소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 <br> <br> 참고 문헌 <br> 부록: 저탄소 생태관광에 대한 설문지 <br> Abstract -
dc.format.extent 106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저탄소 생태관광지표 개발 및 평가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indicators for low carbon ecotourism -
dc.title.partname 기초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9-18 -
dc.description.keyword 국토환경관리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관광분야에서도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한편으로는 기후변화를 성장기회로 삼아 국가 미래비전인 저탄소 녹색성장에 기여하는 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아직 기후변화를 고려한 생태관광에 대한 논의는 초보적인 단계에 머무르고 있어 관련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더불어 지금까지는 특정지역의 특정 자원을 활용한 관광개발에 대해 주로 관심을 가져왔을 뿐, 저탄소를 고려한 생태관광의 개념정립이 미흡하고, 이러한 저탄소 생태관광을 구성하는 요인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저탄소 생태관광 평가를 위한 지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저탄소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해서 어떤 부문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지? 등과 같은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저탄소 생태관광은 어떤 개념적인 틀을 가지고 있으며, 저탄소 생태관광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정책 방향은 무엇일까?”하는 연구의문을 가지고 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탄소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2장에서 저탄소 생태관광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저탄소 생태관광의 개념을 정립하고, 저탄소 생태관광 관련 법제도를 고찰하였으며, 저탄소 생태관광의 국내외 사례 및 동향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제3장에서는 저탄소 생태관광의 개념적 틀을 구성하고, 저탄소 생태관광의 개념적 틀에 따라 저탄소 생태관광과 관광객, 관광매력물, 지역, 기후변화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저탄소 생태관광의 평가지표를 선정하였다. 제4장과 제5장에서는 컨조인트 분석과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통해 저탄소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저탄소 생태관광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후변화 적응에 가장 우선순위를 둘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세부적으로는 ① 기후변화를 대상으로 한 해설 및 체험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관광객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② 기후변화로 인한 우수한 생태관광자원의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③ 녹색기술을 활용하여 저탄소 관광시설을 설치하도록 지원하고, ④ 자전거나 도보여행이 가능하도록 전용도로를 확대하고, ⑤ 관광객과 관광지 직원에게 기후변화에 대한 정보를 여러 매체를 통해 제공하여 태도 및 행태 변화를 유도해야 하고, ⑥ 여행사들이 저탄소 생태관광 상품을 개발하도록 지원하고, ⑦ 산업적 측면에서는 기존 관광산업을 저탄소 생태관광산업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국가발전 패러다임 속에서 저탄소를 고려한 생태관광에 대해 정확한 개념정의를 분명히 하고, 현재 우리나라 저탄소 생태관광의 실태파악을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한 후 평가해봄으로서 앞으로 저탄소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저탄소 생태관광 계획과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작성, 저탄소 생태관광 평가체계 수립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Bae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Minki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