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따른 연안역의 해역-육역 통합 범람 예측 방안에 관한 기초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김경준 -
dc.contributor.other 조광우 -
dc.contributor.other 정태성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0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0Z -
dc.date.issued 20091222 -
dc.identifier A 환1185 기초2009-19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464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기후변화에 따른 연안역의 해역-육역 통합 범람 예측 방안에 관한 기초 연구_19_김경준.pdf -
dc.description.abstract Preliminary Study on Prediction of Climate Change Induced Flooding in Marine and Terrestrial Areas in Coastal Zone: A Comparative Analysis of Inundation Models Previous impact and adaptation studies on climate change induced coastal inundation have not provided an integrated analysis of the various factors affected by climate change. However, coastal flooding, like fluvial flooding,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changes in rainfall patterns. This indicates that terrestrial factors like river flooding must also be taken into account when assessing the vulnerability of coastal regions to climate change induced floods. Accordingl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ise flooding models that can be used to establish a prediction methodology that fully considers terrestrial factors, including the river discharge, in addition to marine factors induced on the open seas. First, changes in climate drivers induced by climate change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existing literature. The results of this review indicated that both marine factors (including sea levels and wave height etc.), as well as precipitation were undergoing significant change. Existing research also indicated that Korea has been confronted with increasingly intense rainfall events, a trend that will continue in the future. A large number of hydrodynamic models exist that can predict inundation extents. Among these models, we looked for one that that would provide both accurate results, as reflected in the real world, as well as economic value when used in devising national policy. Accordingly, this study undertook research on case studies in impact assessments to devise a model suitable for assessment of vulnerability to flooding in coastal areas. Several methodologies, were discussed, including HEC-RAS and LISFLOOD-FP, both one 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s, as well as MD_SWMS, a two dimensional mode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errestrial factors like fluvial flooding should be taken into full consideration along with marine factors like sea level rises, storm surges, and tidal effects when assessing flood vulnerability in coastal areas due to climate change. The models and assessment schemes introduced in this study can thus be deployed when choosing models for assessment of coastal flooding vulnerability due to climate change.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br>제2장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역의 범람 평가 사례 <br> 1. 국내 <br> 가.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주변의 해수면 변화와 그 영향에 관한 연구 (II)”(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2) <br> 나. “서해안 해수면 상승에 따른 영향 및 대책”(충남발전연구소, 2008) <br> 다. “해안침수예상도 시범제작”(국토해양부, 2006~2008) <br> 2. 국외 <br> 가. “Analysis of global impacts of sea-level rise: a case study of flooding”(Nicholls, 2002) <br> 나. “Impact of sea level rise and storm surges on a coastal community”(McInnes et al., 2003) <br> 다. “Quantified analysis of the probability of flooding in the Thames estuary under the imaginable worst-case sea level rise scenario”(Dawson et al., 2005) <br> 라. “Modelling future landscape change on coastal floodplains using a rule-based GIS”(Brown, 2006) <br> 마. 취약성 지수(Vulnerability Index) 관련 연구 <br> 바. DINAS-Coast 와 DIVA <br> <br>제3장 기후변화에 의한 한반도 연안역 기후 외력의 변화 <br> 1. 기후변화에 따른 외력의 변화와 영향 <br> 2. 기후변화로 인한 외해 쪽 기후 외력의 변화 <br> 가. 해수면 <br> 나. 태풍 <br> 3. 기후변화로 인한 육역의 기후 외력의 변화(강우) <br> <br>제4장 해역-육역 통합 범람 모형 <br> 1. 범람 해석을 위한 수치모형과 형태 <br> 2. 홍수 범람 모의에 적용 가능한 모형 소개 <br> 가. HEC-RAS와 HEC-GeoRAS <br> 나. LI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br> 제1장 서 론 <br> 제2장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역의 범람 평가 사례 <br> 1. 국내 <br> 가.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주변의 해수면 변화와 그 영향에 관한 연구 (II)”(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2) <br> 나. “서해안 해수면 상승에 따른 영향 및 대책”(충남발전연구소, 2008) <br> 다. “해안침수예상도 시범제작”(국토해양부, 2006~2008) <br> 2. 국외 <br> 가. “Analysis of global impacts of sea-level rise: a case study of flooding”(Nicholls, 2002) <br> 나. “Impact of sea level rise and storm surges on a coastal community”(McInnes et al., 2003) <br> 다. “Quantified analysis of the probability of flooding in the Thames estuary under the imaginable worst-case sea level rise scenario”(Dawson et al., 2005) <br> 라. “Modelling future landscape change on coastal floodplains using a rule-based GIS”(Brown, 2006) <br> 마. 취약성 지수(Vulnerability Index) 관련 연구 <br> 바. DINAS-Coast 와 DIVA <br> 제3장 기후변화에 의한 한반도 연안역 기후 외력의 변화 <br> 1. 기후변화에 따른 외력의 변화와 영향 <br> 2. 기후변화로 인한 외해 쪽 기후 외력의 변화 <br> 가. 해수면 <br> 나. 태풍 <br> 3. 기후변화로 인한 육역의 기후 외력의 변화(강우) <br> 제4장 해역-육역 통합 범람 모형 <br> 1. 범람 해석을 위한 수치모형과 형태 <br> 2. 홍수 범람 모의에 적용 가능한 모형 소개 <br> 가. HEC-RAS와 HEC-GeoRAS <br> 나. LISFLOOD-FP 모형 <br> 다. MD-SWMS 모형 <br> 3. 통합 모의를 위한 모형 검토 및 고려 사항 <br> 가. 지형학적 인자 고려 <br> 나. 육역 기인 홍수량 고려 <br> 다. 모형의 경제성 <br> 라. 자료의 가용성 <br> 제5장 결론 <br> <br> 참고 문헌 <br> 부록 MD_SWMS SToRM 사용 <br> Abstract -
dc.format.extent 82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기후변화에 따른 연안역의 해역-육역 통합 범람 예측 방안에 관한 기초 연구 -
dc.title.alternative 해석모형 비교ㆍ분석을 중심으로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Preliminary study on prediction of climate change induced flooding in marine and terrestrial areas in coastal zone a comparative analysis of inundation models -
dc.title.partname 기초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9-19 -
dc.description.keyword 기후변화대응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기후변화로 인해 연안역은 저지대 범람, 습지 손실, 해안 침식 증대, 하천 및 지하수의 염분 침투 등의 문제로 인해 생태계 훼손은 물론 인간의 생명 및 사회?경제적 활동에 다양하게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지금까지 수행된 대부분의 연구들은 기후변화로 인해 변화 가능한 요소들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강수 패턴의 변화로 인해 하천 유출량이 유의한 큰 변화가 예상되고 있는 상황에서 외해 쪽 경계조건만을 고려하는 것은 한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해 쪽 경계조건뿐만 아니라 육상에서 기인되는 하천 유출량을 고려할 수 있는 방법론의 정립을 위해 적절한 범람 모형을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현재 기 수행된 연구들을 중심으로 해역 및 육역 기후요소들의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해역에서 기인되는 외력(해수면, 파고)뿐만 아니라 강수의 패턴도 크게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향후 연안역의 범람 취약성 평가를 위해 육역에서 기인되는 하천 유량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홍수 범람을 예측할 수 있는 모형들은 무수히 많지만 국가 정책 수립 단계에서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계산상 경제성과 함께 물리적으로 타당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모형이 이용되어야만 한다. 이에 부합하는 모형을 찾기 위해 기후변화로 인한 범람 취약성 평가단계에서 이용 가능한 모형들을 조사하였으며, 관련 평가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2차원 해석 모형 중 HEC-RAS 모형, LISFLOOD-FP 모형, MD_SWMS 모형에 관하여 소개하고 그 적용방안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로 인해 해역뿐만 아니라 육역에서 발생하는 외력들의 변화가 범람 취약성 평가에 반드시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물론 본 연구에서 조사된 모형들 이외에도 적용 가능한 모형은 다양하기 때문에 평가 단계에서 사용자가 적절한 모형을 선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소개된 모형들은 향후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 범람 취약성 평가를 위한 모형 선정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소개된 연구사례들은 평가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들을 잘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향후 평가 단계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im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young-Jun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