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환경보호지출과 오염배출량의 상관관계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하종식 -
dc.contributor.other 김종호 -
dc.contributor.other 조일현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0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0Z -
dc.date.issued 20091222 -
dc.identifier A 환1185 기초2009-20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465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기업 환경보호지출과 오염배출량의 상관관계 분석-대기분야를 중심으로_20_하종식.pdf -
dc.description.abstract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Protection Expenditures and Air Pollution Emissions in the Business Sector During the last two decades, air quality policy in Korea has continuously been upgraded using the standards of developed countries as a model. In the private sector, businesses have responded by increasing their "Environmental Protection Expenditure and Revenues" ("EPER") to improve cost efficiency when complying with air quality policy. If a long-term data series for EPER and emissions amount was assembled for each industry, meaningful analysis would be enabled on actual achievements in improvements in air quality vis-?-vis expenditures. This study accordingly focuses on building a base of panel data for EPER and air pollutants emissions, and then provides a pilot study applying the panel models. Some of the results herein included (1) assembly and classification of panel data for CO, NOx, PM10, and SOx from 2001 to 2004, (2) after analysis by panel model, the discovery of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manufacturing industries' increased EPER and their emission of air pollutants, particularly for assembled metals and machinery, wood/paper/publishing, and printing. However, this inverse relationshi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f detailed panel data on EPER and emissions quantities can be assembled for particular companies and industries over the long term, further meaningful correlations are expecte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 2. 연구의 주요 내용 및 방법 <br> <br>제2장 환경보호지출 및 수입 통계와 대기배출량 통계 <br> 1. 환경보호지출 및 수입 통계 <br> 가. 기업부문 자료 및 특징 <br> 나. 기업별 자료 및 업종별 자료 <br> 2.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통계 <br> 가. 배출량 통계 <br> 나. 업종별 대기오염 배출량 자료 <br> 3. 업종별 경제통계 자료 <br> 4. 패널자료 구축 <br> 가. 기업별 또는 업종별 패널자료 <br> 나. 자료 구축 <br> <br>제3장 업종패널 자료 분석 <br> 1. 패널자료 통계모형 <br> 가. 패널자료의 기본모형 <br> 나. 본 연구에서의 모형 설정 <br> 2. 통계분석 <br> 가. 종속변수 <br> 나. 업종별 기업의 대기영역 환경보호 지출액과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br> 다. 분석 결과 <br> <br>제4장 결론 및 제언 <br> 1. 토의 및 결과 <br> 2. 정책적 제언 <br> <br>참고 문헌 <br> <br>Abstract <br> <br>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 2. 연구의 주요 내용 및 방법 <br> 제2장 환경보호지출 및 수입 통계와 대기배출량 통계 <br> 1. 환경보호지출 및 수입 통계 <br> 가. 기업부문 자료 및 특징 <br> 나. 기업별 자료 및 업종별 자료 <br> 2.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통계 <br> 가. 배출량 통계 <br> 나. 업종별 대기오염 배출량 자료 <br> 3. 업종별 경제통계 자료 <br> 4. 패널자료 구축 <br> 가. 기업별 또는 업종별 패널자료 <br> 나. 자료 구축 <br> 제3장 업종패널 자료 분석 <br> 1. 패널자료 통계모형 <br> 가. 패널자료의 기본모형 <br> 나. 본 연구에서의 모형 설정 <br> 2. 통계분석 <br> 가. 종속변수 <br> 나. 업종별 기업의 대기영역 환경보호 지출액과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br> 다. 분석 결과 <br> 제4장 결론 및 제언 <br> 1. 토의 및 결과 <br> 2. 정책적 제언 <br> <br> 참고 문헌 <br> Abstract <br> -
dc.format.extent 43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기업 환경보호지출과 오염배출량의 상관관계 분석 -
dc.title.alternative 대기분야를 중심으로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protection expenditures and air pollution emissions in the business sector -
dc.title.partname 기초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9-20 -
dc.description.keyword 정책일반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최근 20여 년간 우리나라의 대기환경정책은 선진국 수준에 입각하여 배출허용기준이 지속적으로 상향 조정되어 왔다. 이 때문에 개별 기업들은 대기환경정책에 따라 환경보호 지출액을 증가시켜 왔다. 만일 산업별 대기 관련 환경보호 지출액과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의 집계를 장기적인 시계열 측면에서 확보할 수 있다면 기업 측면에서의 대기환경비용에 따른 대기환경 개선효과에 유의미한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대기환경비용에 따른 대기환경 개선효과 분석을 위한 기업의 대기부문 환경보호 지출액 자료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자료의 연계 구축, 시범적인 상관관계 분석을 하며, 나아가 향후 자료 구축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결과로 현 시점에서 가능한 업종별 기업부문의 대기영역 환경보호 지출액과 CO, NOX, PM10, 그리고 SOX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자료를 이용하여 2001년부터 2004년까지의 패널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시범적인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의 업종별 분석결과로 제조업종에서는 산출액 대비 환경보호 지출액 증가에 따라 대기오염물질별 배출량이 감소하는 음의 상관성이 나타날 수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조립금속 및 기계장비, 목재·종이·출판인쇄 업종이 음의 관련성을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건설업종의 경우에는 4가지 오염물질과는 양의 관련성이 나타날 수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배출물질별 분석결과 중, 특징적인 것은 SOX 배출량은 석유정제·화학·고무 업종에서 음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날 수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업별 또는 업종별 대기부문 환경보호 지출액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자료가 가능한 세분된 형태로 집계될 수 있고, 장기 시계열에 걸쳐 확보될 수 있다면 향후 연구에서는 매우 의미 있는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기업 수준의 전국오염원조사 및 전국폐기물배출통계 자료를 환경보호 지출액과 연계한 패널자료 구축은 매체별 환경비용에 따른 환경개선효과 분석에 큰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a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ong-Sik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