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관리 취약성과 물안보 전략 I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안종호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0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0Z -
dc.date.issued 20091231 -
dc.identifier A 환1185 녹색2009-11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467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물관리 취약성과 물안보 전략 I_11_안종호.pdf -
dc.description.abstract Potential Consequences to Climate Change and Water Management Strategy I Climate change has begun to affect th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due to increased temperatures, and changes in evaporation, precipitation, and runoff. These changes will also have a direct and indirect impact on sources of fresh water, altering both supply & demand, and water quality. Although many uncertainties still remain about the extent and impact of climate change, it is imperative to assess scientific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natural and managed water systems and evaluate the capacity and the vulnerabilities therein when considering policy implications and directions.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concept of “National Water Security” after reviewing the recent literature on water security and climate change policy in developed countries, assessed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water resources, and evaluated the vulnerability of the national water supply system. Finally, we presented national adaptation strategies that reduce the risk of adverse outcomes through actions that increase the resilience of water management systems to climate change stressors. The concept of “National Water Security” was developed upon review of recent research on water security, environmental laws in Korea, and climate change policies in developed countries. The definitions of water security from international organizations usually include three components - ①sustainable access to ②adequate quantity and ③acceptable quality of water for people and the environment. Environmental laws such as the "Basic Environmental Policy Act" in Korea are aimed at ①preven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oncomitant damages, ②conservation of ecosystem diversity, ③appropriat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the environment, ④comfortable and sound lifestyle for the public. Furthermore, the vulnerability of water sectors to climate change was emphasized. By reviewing the foregoing ideas, we proposed the concept of “National Water Security” as denoting a “ontinuous supply of water of adequate quantity and quality for the public to lead a comfortable and sound life, as well as the protection of society and the environment against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We also delineated the key components of ‘National Water Security’ as follows - ①securing sources of fresh water, ②protection against floods and droughts, ③mitigation of greenhouse gases, ④improvement of water quality, ⑤conservation of the aquatic ecosystem, ⑥resolution of water conflicts, and ⑦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appropriate policies.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water resources was assessed. Statistical techniques were used to evaluate trends i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vis-?-vis changes in climate. Larger variations in precipitation appeared in the summer, fall, spring and winter, in descending order. A decreasing trend was evident in fall and winter in the Geum, Yeongsan, and Nakdong river basin. Conversely, summer precipitation was found to be increasing in the east and west coast region. The analysis of long-term precipitation and the elasticity of stream flow, which provides a measure of the sensitivity of stream flow to changes in rainfall, indicates that the Nakdong river basin has significant value compared to other major river basins. Season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Nakdong, Seomjin, and Yeongsan river basin have high elasticity in the springtime. It can be deduced from trend and elasticity analysis that water resource management will be more difficult in the future due to increased risk of droughtsand flood. Drought conditions in winter and spring will cause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due to a decrease in stream flow. 17 GCMs' simulations of the climate in Korea in the late 20th century were examined. In order to compare global models with observations, observed spatially averaged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were calculated using 24 gauging stations from 1971-2000. CSIRO (Mk3.0) was selected as future climate data due to its optimal reproducibility in precipitation. GCM simulations were converted to regional scale data using the statistical downscaling method known as MSPG (Multi-Site Precipitation Generator) in order to apply rainfall-runoff like SWAT and TANK to the case study areas of the Nakdong river basin. The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water resource study areas included the Byeongsung watershed and other watersheds-with-dams like Andong, Imha, Hapcheon, Namgang, and Milyang. The study scope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from 2010-2040, 2041-2070, and 2071-2100. Climate change based on the A1B scenario affects stream flow not only in the summer but also in autumn as well. These phenomena were much more pronounced in “A1B”(2010-2040), “A1B”(2041-2070), “A2”(2010-2040). The analysis of watersheds-with-dams among regional runoff estimates for 34 river locations in the Nakdong river basin were performed with the A1B scenario. Annual stream flow increases from 2011-2040 were quite notable. These increases mostly contributed to stream flow during the flood season (from June to August). Decreases were also found in the dry season from 2041-2070 and 2071-2100.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makes it even more difficult to operate reservoir systems due to uncertainties in reservoir inflow. However, it must be noted that there are numerous uncertainties in such multiple-step analysis used to convert climate information from GCM-based future climate projections to hydrologic information.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was evaluated for water supply systems, whose sources are mostly rivers and reservoirs. Major parameters for the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ex were extracted from statistical data on the national water supply system through delphi analysis with water supply exper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ater source's quantity and quality, and the water treatment facility's adaptation ability appear to be important parameters when assessing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for the water supply system. Using the developed index parameter, all water supply systems were scored relatively on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The results showed that urban areas including Seoul and six metropolitan cities have low vulnerability, whereas small inland counties and rural coastal regions had very high vulnerability. This is further confirmed by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public complaints on the water supply system and regional population density. In addition, energy usage in the water supply system was investigated to assess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orts. Total electricity use for the water supply system in Korea in 2007 reached 2.68 billion kWhs, which was 0.73% of total consumption levels in Korea. Most electricity was used for intake and water treatment facilities for 0.2~0.4 2kWh/ton and less than 0.2kWh/ton, respectively. Furthermore, local county water supply systems have low efficiency in energy use compared to Seoul, six metropolitan cities, and K-Water. As stated earlier, local county water supply systems are relatively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Therefore, intensive investments and efficient asset management must be implemented for local county water supply systems. Key strategies for national water security were developed in light of the foregoing results on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water resources and vulnerabilities within the water management system. First, water related climate change research should be strengthened within all government run water management programs. In particular, climate change adaptation efforts regarding water management within the government remain insignificant.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is is the lack of confidence in methodologies for climate change assessment. Accordingly, reliable, scientific assessment methods must be developed for more in-depth and integrated analysis of future climate change. To reduce vulnerability through appropriate investments,and to promote adaptation practices in water management, the following research areas need to be emphasized: 1) Assessing climate change induced vulnerability and development of promotion strategies for the water industry. 2) Continuous monitoring and sharing of information on scientific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as well as its socio-economic impact, and derivation of applicable measures. 3) Assessment of water quality impact on surface water 4) Assessing climate change induced vulnerability to the groundwater system 5) Changing water use for public, industry, agriculture, electricity, and asset management 6) Development of policies and management strategies to better account for the water and energy nexus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ise a better institutional system for water management to adapt to climate change. The new institutional system for water management should have multiple functions, including: (1) top down development and allocation of water resources in large watersheds, and (2) bottom up ecological restoration and eco-friendly use of water resources.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alternatives through various scenarios for effective water management, so that objective information on various alternatives can be provided to policy makers. Thirdly, adaptation strategies based on impact assessment need to be developed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Water resources management will be more difficult in the future due to increases in drought and flood risk. Drought conditions in winter and spring will cause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due to decreases in stream flow.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makes it even more difficult to operate reservoir systems due to the uncertainty of reservoir inflow. Accordingly, water supplies, disaster preparation, and quality management must be done on a regional and object-oriented basis. To this end, hydrometerological, geographical and water quality information should be incorporated to accurately simulate runoff and deduce recommended reservoir operations, while forecasting water quality of reservoirs and streams in a basin. Final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evaluation systems for water management and stimulus policies for the water industry. An object evaluation index should be developed to accurately assess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water management so that reasonable and efficient investments and asset management can be pursued for increased growth in water related industr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 배경 및 목적 <br> 2. 연구 구성 및 내용 <br> 제2장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물안보 개념 정립 및 해외동향 분석 <br> 1. 물관리시스템의 기후변화 영향 및 사례 <br> 가. 물관리시스템의 기후변화 영향 <br> 나. 물관리시스템의 기후변화 영향 사례 <br> 2. 국가별 기후변화 대비 물관리시스템 대응방안 <br> 가. 국내 <br> 나. 국외 <br> 3. 국가 물안보 개념 정립 <br> 가. 물안보 개념의 등장 및 전개 <br> 나. 물안보 관련 국?내외 연구 <br> 다. 국가 물안보 개념의 도출 <br> 제3장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수자원시스템의 영향평가 <br> 1. 연구 개요 및 방법 <br> 2. 우리나라 수문 및 수자원의 시공간적 기후변화 추세 및 영향 분석 <br> 가. 관측 자료의 수집 <br> 나. 추세(Trend) 분석 <br> 다. 탄성도 분석 <br> 라. 장기 관측자료에 의한 기후변동성 분석 <br> 3. 미래 기후변화에 대한 수자원 영향평가 <br> 가. 우리나라 기후에 대한 재현성 평가 <br> 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수자원 영향 분석 <br> 제4장 기후변화에 따른 물공급시스템의 취약성 평가 <br> 1. 물공급시스템에 미치는 영향평가 <br> 가. 기후변화가 물공급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br> 나. 현행 물공급체계 현황 및 주요 물공급 관련 정책 <br> 다. 기후변화에 따른 물공급시스템에 대한 취약성 평가 <br> 2. 물공급시설의 에너지 사용 현황 <br> 가. 배경 <br> 나. 국내 상수도시설 에너지 이용실태 조사 분석 <br> 다. 상수도시설에서의 에너지 소비현황 분석 <br> 라. 물공급시스템의 에너지사용 지표 활용 예 <br> 제5장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물관리체계 구축방안 <br> 1. 물관리의 국제적 동향 <br> 가. 선진국 물관리의 변화과정 <br> 나. 선진국 물관리의 시사점 <br> 2. 선진 외국의 물관리체계 분석 <br> 가. 사례 분석 <br> 나. 선진 외국의 물관리체계 시사점 <br> 3. 국내 물관리체계의 현황과 문제점 <br> 가. 국내 물관리체계의 특징 <br> 나. 물관리체계의 변천과정 <br> 다. 현행 물관리체계의 문제점 <br> 라. 물관리체계 개편의 필요성 <br> 4. 국내 물관리체계의 논의과정 <br> 가. 국내 물관리체계 문제점에 대한 논의 전개(~2009년) <br> 나. 물관리체계 개편의 진행 [물관리기본법(안)] <br> 5. 물관리체계 구축의 추진전략 <br> 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물관리체계 개편 <br> 나.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물관리체계 개편(안) <br> 다. 물관리체계 대안 설정의 접근방향 <br> 제6장 결 론 <br> 1. 기후변화에 의한 한반도 수자원 영향과 대응 현황 <br> 가. 우리나라 수문 및 수자원의 시공간적 기후변화 추세 및 영향 <br> 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대한 수자원 영향 <br> 다. 물공급시스템 취약성 평가 <br> 라. 한반도 수자원 부문 기후변화 대응 현황 <br> 2. 물관리 전략 수립 추진방향 <br> 가. 국가 물안보 개념의 확립과 적용 <br> 나.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종합적 연구의 필요성 <br> 다. 물관리체계 및 의사결정과정의 개혁의 필요성 <br> 라. 기후변화에 대한 수자원 부문 적응방안 <br> 마. 물관리시스템의 평가체제 구축과 관련 물산업 육성 <br> <br> 참고 문헌 <br> 부록 1 수자원 영향 평가를 위한 분석자료 및 보유기간 <br> 부록 2 추세 분석 방법 <br> 부록 3 추세 분석 결과 <br> 부록 4 추출 대리변수의 분포특성과 표준화 <br> 부록 5 설문조사 내용 및 조사결과 <br> 부록 6 세부항목별 취약성 평가결과 <br> 부록 7 용수공급관련 민원사례 분포(2007년) <br> 부록 8 광역상수도 취수시설 및 전력사용량 현황 예 <br> 부록 9 정수처리시설별 전력원단위 값과 전력원단위 순위 <br> Abstract -
dc.format.extent 218 p.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물관리 취약성과 물안보 전략 I -
dc.type 녹색성장연구 -
dc.title.original Potential consequences to climate change and water management strategy I -
dc.title.partname 녹색성장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9-11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기후변화는 기온의 상승과 함께 수체의 증발량, 유량 및 강우유출률의 변화를 유발하여 수자원에 이미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미래에는 그 영향의 크기가 더 커질 것으로 예측된다. 국내의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의 영향평가는 그 경각심과 함께 다양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수문사상에 대한 영향 분석에 집중되어 있어 지역적 강우유출과 수자원 배분, 용수공급시스템에 대한 평가는 부족하다. 특히, 물관리체제 구축을 위한 수량 및 수질을 함께 고려한 통합수자원 관리 측면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고 국가 물안보체제 구축을 위한 구조적, 비구조적 전략 수립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지역적 강우유출 영향과 물공급시스템의 기후변화 적응능력을 평가하고, 국내외 기후변화 대응노력에 대한 상호 비교검토를 통해 우리나라의 국가 물안보체제 구축을 위한 전략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국내외 물안보 관련 연구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선진국의 정책을 참고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물안보 개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물안보에 대한 국제기구의 정의에서 거론되는 인간과 환경을 위한 ① 충분한 수량의 물과 ② 적합한 수질의 물에 대한 ③ 지속가능한 접근권에 환경정책기본법을 비롯한 국내 환경 관련 법률이 목표로 삼는 환경오염과 훼손 예방, 다양한 생태계 보전, 적절한 환경 관리 및 보전, 모든 국민의 쾌적하고 건강한 삶 등을 고려하였다. 여기에 기후변화로 인한 물 부문의 취약성을 강조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가 물안보를 “모든 국민의 건강한 삶과 생태계 보전을 위한 좋은 물의 지속적이고 충분한 공급 및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으로부터 사회와 환경의 보호”로 정의하였다. 여기에 해외 사례와 국내 기후변화 대응정책, 국내 연구 현황 등 국내 실정을 고려하여 ① 수자원 확보, ② 홍수 및 가뭄 방어, ③ 온실가스 감축, ④ 수질 개선, ⑤ 수생태계 보전, ⑥ 물 갈등 극복, ⑦ 정책의 수립 및 이행을 국가 물안보 주요 구성요소로 설정하였다. 수자원 확보, 수질 개선, 수생태계 보전, 홍수 및 가뭄 방어와 관련된 구체적인 방안은 통합수자원관리나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위험 및 대응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물 관련 시설의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여기에 덧붙여 남?북 분단 상황에서의 물안보에 대한 관심이 촉구된다. 2009년 9월에 발생한 북한 측의 무단방류로 말미암은 임진강 인명피해나 임진강?북한강 상류에 설치된 북한측 댐의 일방적인 운용 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남북공유하천의 평화적 관리방안을 비롯한 물 갈등 극복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지금까지 제시된 국가 물안보 개념은 현재까지의 검토결과를 종합한 것으로 앞으로 연구를 통해 더 다듬어져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기후변화 경향 분석을 위해 과거 강우와 기온에 대하여 통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강우에 대한 계절 변동 경향을 살펴보면 여름, 가을, 봄, 겨울의 순으로 변화가 크고, 봄 강우량은 금강을 제외한 모든 위치에서 증가하고, 여름 강우량은 모든 유역에서 증가 추세이다. 가을 강우량의 경우 한강은 증가 추세이나 타 유역은 감소 추세이고, 겨울은 모든 유역에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권역별 변동 경향에서 가을, 겨울의 강우 감소 추세는 남부지역(금강, 영산강, 낙동강)이 중부지역(한강)보다 우세하다. 특히 동해안?서해안 지역의 여름 강우 증가 추세가 뚜렷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과거 강우 추세를 분석한 결과 수자원 부문에 대한 영향은 가을, 겨울에는 가뭄이 증가하고, 여름에는 홍수 위험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갈수기 및 홍수기의 저수지 및 하천 관리의 어려움이 증가하고 수자원의 안정적인 공급에 대한 위험도가 증가하였다. 물환경에 대한 영향은 겨울, 봄의 상수도 급수 문제가 증가하고, 여름의 경우는 비점오염의 위험성이 증가하며 가을과 겨울의 갈수기시 하천의 수질 악화와 환경용수의 상황이 악화됨을 알 수 있다.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 추세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증가를 보이고 지역적으로 단기간 지속시간(1~12시간)일 경우와 장기간 지속시간(48~72시간)일 경우에 증가 정도의 차이를 보인다. 한강유역은 연최대강우량의 장기간의 증가 추세가 우세한 반면 낙동강 유역은 단기간의 증가 추세가 우세하다. 또한 금강유역과 제주지역은 모든 지속시간에서 연최대강우량의 증가 추세를 보이고, 전국적으로 도서, 금강, 한강, 낙동강, 영산강 순으로 연최대강우량의 증가 추세가 강하게 나타났다.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량의 증가는 결국 홍수량의 증가로 이어지므로 댐, 보, 제방 등의 수자원시설물의 설계 기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낙동강과 같이 단기간 강우 증가 추세의 경우는 대류형 집중호우와 돌발홍수의 위험성에 대해, 한강과 같이 장기간 강우 증가 추세의 경우는 장마 및 태풍에 의한 홍수 피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장기유출량에 대한 강우 탄성도를 분석한 결과 낙동강 유역이 전체 유역에서 가장 높은 탄성도를 보였으며 강우의 증감에 따른 유출량의 변동이 가장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하댐은 전체 지점 중에서 가장 높은 탄성도를 보였고 여름, 봄, 가을, 겨울 순으로 계절별 탄성도가 높았다. 한강유역과 금강유역의 경우 여름에 높은 탄성도를 보이므로 하절기 홍수와 하천 관리의 중요성이 높은 유역으로 볼 수 있고, 낙동강유역, 섬진강유역, 영산강유역은 봄에 높은 탄성도를 보이므로 겨울과 봄 갈수기의 하천 유량과 수질 관리의 중요성이 높은 유역이라 사료된다. 댐유역의 유입량에 대한 강우 탄성도의 경우는 연간 분석 결과 대청, 임하, 주암댐 유역의 탄성도가 크게 나타났다. 반면 계절 분석 결과는 봄에는 충주댐, 임하댐에서 큰 탄성도를 보이고, 여름에는 충주댐, 임하댐, 주암본댐에서 큰 탄성도를 보였다. 가을에는 충주댐, 섬진강댐, 주암본댐에서 탄성도가 크게 나타나고, 겨울에는 임하댐에서 탄성도가 크게 나타났다. GCM의 우리나라 기후재현성을 평가하기 위해 총 17개의 GCM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현재기후 시나리오인“20c3m”시나리오의 모의결과와 우리나라 24개 지점의 30년간(1971~2000년)의 강수량, 기온자료를 편차와 계절성에 대해 비교하여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로 사용하였다. 현재 GCM의 시나리오 변수마다 충분한 모의결과자료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순위가 결정되었다고는 할 수 없으나 17개 GCM 중 편차와 계절성에서 재현성이 뛰어난 호주 CSIRO에서 개발한 CSMK3.0를 미래기후 정보로 최종 선택하였다. 기후변화에 의한 유출량 변화를 중소유역의 수자원 영향 분석과 용수공급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댐이 포함된 유역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시간적으로는 미래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2010~2040년, 2041~2070년, 2071~2100년으로 구분된 미래에 대하여 1979~2008년의 현 상태 기후변화 모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먼저 중소유역인 병성천에 대하여 “A1B” “A2” “B1”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한 결과 대부분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강수량이 증가하였으며 2010~2040년과 2071~2100년에 대한 중간적인 기후변화 시나리오인 “A1B”에서 전체적인 양이 많이 증가하였다. 계절적으로는 2월과 6월에 강수량의 비율이 높게 증가하였으며, 10월에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하천유량의 경우는 여름철뿐만 아니라 가을철에도 증가현상을 보였는데 “A1B”(2010~2040년), “A1B”(2041~ 2070년), “A2”(2010~2040년) 시나리오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댐이 포함된 유역에 대한 평가에서는 현재 유출량에 비해 2011~2040년의 경우 대략 15%의 유출량 증가가, 2041~2070년의 경우 7%의 유출량 증가가, 2071~2100년의 경우 4%의 유출량 증가가 예상된다. 이러한 유역 연평균 유출량의 증가는 대부분 홍수기(6월부터 8월)의 유출량 증가로 나타나고 있으며 2010년부터 2040년 경우를 제외하고는 9월의 유출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경향은 향후 홍수기 이후에 저수량을 확보하는 데 지장을 초래할 것으로 보여 유역 물공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반면 갈수기(12월부터 3월)의 유출량은 대부분의 유역에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나 상수 공급의 45%를 담당하고 있는 댐유역의 유출량 감소는 향후 기후변화로 인해 물공급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물공급시스템의 경우, 대부분의 수원이 하천과 호소에 의존하여 운영되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의한 수원의 영향이 매우 크며 취약하다. 특히 지방상수원의 경우 대부분의 경우 하천을 이용하고 있으나 하천내 안정적인 유지유량 확보가 어렵고 오염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지금까지의 물공급은 과거의 자료를 근거로 예측하고 기존의 시설기준을 토대로 설계,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극한사상의 발생시 적절한 대비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의 특징이 지역적으로 매우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지만 현재 모든 시설 설계 및 운영 지침은 지역의 특수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일률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기후변화가 물공급시스템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은 매우 복잡하며, 영향이 실제적으로 나타나기 전까지는 구체적인 영향에 대해서 알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과거의 현상을 반영하여 수동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현행 물공급시스템에 대한 전환점이 필요하다. 최근 들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홍수와 가뭄피해는 기후변화의 전형적인 모습이며 이런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환경의 변화는 주로 하천수를 수원으로 삼아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하천유지용수를 이용하고 있는 현재의 용수시스템에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다양한 기후변화가 물공급시스템에 미치는 취약성 평가지표 개발을 위해 2007년 상수도 통계 자료 및 상하수도시설 설문조사 결과 자료를 수집 분류하여 항목별 대리변수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대리변수의 경우 서로 다른 단위와 경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scale을 재조정하고 정규분포화시켰다. 분포 결과 취약성의 경우 (+), 탄력성의 경우에는 (-)로 부호를 결정하였다. 이렇게 결정된 부호를 가진 대리변수의 등수화 후 각 세부항목별 그리고 세부항목내 대리변수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해 수자원 및 상수도 전문가의 설문조사를 통해 대리변수와 세부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상대적으로 취수원의 가용 수량과 수질, 정수처리 시설의 민감도에 높은 가중치를 나타내어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이 크게 나타난다고 생각하는 영역으로 나타났다. 산정된 각 세부항목에 대한 대리변수의 가중치를 고려한 산술 평균값을 계산하여 서울특별시 및 광역시를 포함하여 총 164개 시군에 대한 물공급시스템에 대한 기후변화 취약성 종합점수를 산정하였다. 물공급시스템의 지역별 상대 취약성 분석결과를 보면 서울과 6대 광역시를 비롯한 대도시의 물공급시스템은 양호한 반면, 내륙 군단위지역과 해안지방이 상대적으로 매우 취약하였다. 또한 물공급시스템의 기후변화 취약성은 인구밀도 및 수질, 수량문제와 관련된 민원발생건수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지방 물공급 시설의 설치와 운영에 있어서 규모의 경제 확보와 전문기업적 경영을 통한 효율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물공급시스템의 온실가스 감축 측면의 에너지 사용실태를 살펴본 결과, 용수공급시스템의 전력사용량은 총소비전력의 0.73% (26.82억kWh)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별 전력 원단위를 비교해 보면, 정수장의 경우 0.2kWh/톤 이하인 데 반해 취수장 및 가압장은 0.2~0.42kWh/톤으로 전력사용 효율이 낮게 나타났고, 지역별 전력원단위가 서울시, 6대 광역시, 수자원공사 관리시설은 대부분 0.1kWh/톤으로 양호하였으나 지방도의 경우 0.1kWh/톤 이상, 최대 10kWh/톤으로 효율성이 낮게 조사되었다. 이상 본 연구로부터의 물안보 개념 정립, 기후변화 수자원 영향평가, 물공급시스템의 취약성 평가 등에 대한 결과와 국내외 기존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국가 물안보 체제 구축을 위한 물관리 전략 수립 추진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종합적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부의 지속적 노력은 여전히 필요하며 필요예산 확보가 절실하다. 특히, 아직까지 수자원 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은 기후변화 예측과 영향평가에 비해 우선순위가 뒤처져 있다. 그 주요 요인으로는 정책결정자들에게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방법론에 대한 신뢰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예측결과에 근거한 적응계획과 관련된 불확실성에 대한 위험도를 우려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집중적이고 다양한 적응수단을 통해 기후변화 취약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정량적이고 과학적인 평가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 정부는 녹색성장의 단기목표의 하나로서 2013년까지 기후변화의 모니터링과 예측을 위한 능력을 현재 40%에서 80% 수준으로 개선(Green Growth Korea)하려는 목표를 설정한 바, 보다 구체적인 실행계획의 수립 및 이행이 필요하다 하겠다. 특히 수자원 부문의 기후변화 관련하여 필요한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 1)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물산업구조의 취약성 평가 및 물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 2) 기상수문학과 사회경제 부문의 기후변화와 관련된 정보의 지속적 관측과 공유체제 구축 방안 3) 기후변화에 따른 지표수의 수질영향평가 및 대책수립 4)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의 취약성 평가 5) 물이용부분(생활, 공업, 농업, 발전 용수 등)의 기후변화 영향평가 6) 물관련 시설의 에너지 이용?생산 및 온실가스 감축 두 번째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물관리체계 및 의사결정과정을 개혁할 필요가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물관리체계가 갖는 기능은 거시적으로 물을 개발하고 배분하는 대유역 차원의 하향식 관리 방식의 기능을 의미하며, 물을 하나의 자원으로서 개발하고 이를 재화로서 공정하게 배분할 수 있는 정책구조적인 성격을 가져야 할 것이다. 또한, 미시적으로는 생태계 회복과 종합자원관리 차원에서 환경친화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상향적 방식의 기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물관리체계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대안을 채택하고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물관리체계의 시나리오 설정과 이에 대한 장?단점 분석을 실시하여 대안 채택 시 보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장?단점 분석을 위해서는 SWOT 분석과 같은 비교 평가법을 활용하여 세부적인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정책대안별 우선순위를 제시하는 것은 지양하고, 장?단점의 제시함으로써 정책결정자가 대안 선정에 도움이 되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정책결정과정의 툴로 DELPHI 분석 등과 같은 전문가 대상 설문분석기법을 활용하는 등 인문/사회학적인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세 번째로는 수자원 부문의 기후변화 적응방안으로서 수자원시설물의 설계 기준에 대한 재검토와 저수지의 연계운영을 포함하는 통합수자원관리 등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대책이 필요하다.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량의 증가는 결국 홍수량의 증가로 이어지고 댐, 보, 제방 등의 수자원시설물의 설계 기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낙동강과 같이 단기간 강우 증가 추세의 경우는 대류형 집중호우와 돌발홍수의 위험성에 대해, 한강과 같이 장기간 강우 증가 추세의 경우는 장마 및 태풍에 의한 홍수 피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기후변화에 대한 댐유역의 유출량 평가에서 2010년부터 2040년 경우를 제외하고는 9월의 유출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어 향후 홍수기 이후에 저수량을 확보하는 데 지장을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 갈수기(12월부터 3월)의 유출량 역시 대부분의 유역에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 상수 공급의 45%를 담당하고 있는 댐유역의 유출량 감소는 향후 기후변화로 인해 물공급이 어려울 것으로 보이므로 저수지의 연계 운영과 통합수자원관리 등을 통한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물관리시스템의 평가체제 구축과 관련 물산업의 육성이 필요하다. 기후변화에 따른 물관리시스템의 정확한 영향평가를 위해 일관성 있게 적용 가능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이렇게 도출된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합리적인 물관리시스템 평가제도 운영방안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국내 물관리 시설은 지역간 편차가 심하여 도시지역과 소규모 읍면간의 기후변화 취약 정도가 커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이렇게 지역간 기후변화 취약성 수준의 격차가 발생하는 것은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인식 부족과 함께, 현실적으로 상하수도 사업 분야에 있어 규모의 경제가 실현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관리 시설의 설치와 운영에 있어서 규모의 경제 확보와 전문기업적 경영을 통한 효율 개선을 추구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는 관련 물산업 분야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물산업 구조 개선을 통한 국내 물산업시장 활성화가 필요하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Ahn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ong-Ho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Green Growth(녹색성장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