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생활양식 확산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방안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명수정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1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1Z -
dc.date.issued 20101231 -
dc.identifier A 환1185 연2010-03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475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기본2010-03 명수정.pdf -
dc.description.abstract Developing Measures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through Promoting Green Lifestyle Though fossil fuels have contributed greatly to the welfare of human beings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y have also caused and propelled climate change, a universal environmental problem for the human kind, with the green house gases emitted from the consumption serving as the main culprit of the climate change. Since a major portion of greenhouse gases is emitted from everyday life of people at home and public and commercial sectors, living green lifestyles in everyday life can reduce a substantial amount of greenhouse gases. In order to promote green lifestyles, then, it is necessary to know the emission pattern of greenhouse gases on the national level, the people's perceptions and implementation of green lifestyles, and obstacles to the green lifestyles. Therefore, by means of literature review, analysis of available statistics, and a questionnaire surve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eople's percepti-ons and implementation of green lifestyles, estimated the amount of greenhouse gas emission, analyzed its characteristics, and identified the obstacles to the implementation of green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the researchers explored the measures for promoting green lifestyles. The researchers surveyed 1,000 people throughout the nation on their perceptions and implementation of green life. As for the green life, 65.6 percent of the surveyed people responded that had heard of it, 75 percent indicated a deep interest in it, and 80 percent responded that they would live green lifestyles in the future. As for the implementation of green lifestyles, people showed generally high levels of positive responses except on certain items in the categories of transportation, cooking and dietary life, and energy saving. In particular, the car pool system and the 7th-day-no-driving campaign showed very low rates of response in the transportation category. In the category of cooking and eating, 'cooking somewhat insufficiently' and 'vegetarian dieting' received relatively low participation rates. 'Purchasing environment-friendly goods' also marked low participation in the purchasing category. In the category of energy, five items received relatively low participation rates: 'Using pressure cookers rather than electric cookers', 'reducing the time for taking showers', 'reducing the time for watching TV', 'using stairs in buildings lower than five stories', and 'reducing the cooking time'. Monthly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per person was estimated from their use of fuels, electricity, water, and personal and public transportation means, in addition to their generation of garbage. In the case of personal car drivers, greenhouse gas emission was the greatest from their cars, followed by the emission from electricity, fuels, and public transportation. Emission from water consumption and garbage generation was relatively low. The pattern and amount of emission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s of emission sources. Fuel consumption showed differences across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their housing types, and the size of their living spaces. Water consumption varied by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while electricity consumption depended on the size of the cities or towns, income,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nd the size of their living spaces. The use of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varied across the gender and occupation, whereas the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means had two more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nd age. Results showed that single-person households emitted the largest amount of per-capita GHGs while GHG emission from electricity appeared to b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persons in a given household. There were several reasons for failure to adopt green life styles. The most frequent response was that they "do not know how to life a green life." It was followed by "It is troublesome and inconvenient", "There is no direct benefit from its implementation," "My implementation would not make a big difference," and "Never thought about the green life", the last three showing similar frequencies of responses. Then came the responses, "Do not agree with the importance or significance of green life" and "Too busy", indicated by some peopl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measures are suggested to promote the green lifestyles. First, help people to overcome the obstacles to the implementation of green lifestyles, and encourage them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Second, build up the infrastructures to promote the green lifestyles. These include establishing the green-life information dissemination system, introducing facilities to help the green lifestyles, incorporating the green lifestyles into urban planning, and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increasing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es. Third, improve the related laws and systems. In order to ensure the continuous implementation of green lifestyles, incentives need to be offered continuously. For example, sports facilities using self-generated electricity could be rewarded with some types of incentives. Regulations need to be made to impose a limit to the consumption of energy by the size of the architectures and to require the sellers to provide the buyers with information about the consumption of energy when buildings are sold. Fourth, intensify the education and campaign for green lifestyles. The education and campaign program should b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onitoring of the people's perceptions and implementation of green lifestyles and the patterns of greenhouse gas emission. Homes, schools, and work places should be the sites for experiencing and implementing green lifestyles. Fifth, strengthen the governance and networking for the promotion of green lifestyl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asures which will effectively curtail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with high GHG emission such as single-person households. The current study identified the people's perceptions and implementation of green lifestyle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estimated the amount of greenhouse gas emission by different categorie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ission according to the variables such as housing types and household members. Since the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questionnaire survey with a limited number of people, there may be a generalizability problem. In spite of the limit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present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government's education and campaign to promote green lifestyles, to raise people's awareness regarding the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problems, to improve people's attitude, and to actually implement green lifestyles. These changes will lead to the nation's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and, eventually, to the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내용 <br>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br> 가. 녹색생활의 정의와 연구범위 <br> 나. 연구의 내용 <br> 다. 연구의 방법 <br> <br>제2장 온실가스 배출과 생활양식 관련 국내외 동향 <br> 1. 국내외 온실가스 배출 동향 <br> 가. 세계 온실가스 배출 동향 <br> 나. 국내 온실가스 배출 동향 <br> 2. 생활계 에너지 소비 및 온실가스 배출 <br> 가. 생활계 에너지 소비 <br> 나.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 동향 <br> 3. 녹색생활 확산의 국내외 동향 <br> 가. 녹색생활 관련 캠페인 <br> 나. 녹색생활 실천 장려를 위한 인센티브 제도 <br> 다. 녹색건물 활성화 방안 <br> 라.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을 위한 측정 도구 <br> <br>제3장 녹색생활 실천 현황과 온실가스 배출 및 감축 잠재량 추정 <br> 1. 녹색생활양식 인식 및 실천 현황: 사례 조사 <br> 가. 조사 설계 및 구성 <br> 나. 조사 결과 <br> 2. 주요 생활양식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br> 가. 사례조사를 통한 주요 부문별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br> 나. 통계자료를 활용한 주요 부문별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br> 3. 녹색생활양식별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 문헌고찰을 통해 <br> <br>제4장 녹색생활양식 확산을 위한 전략 <br> 1. 녹색생활 실천의 장애요인 진단과 모니터링 <br> 가. 녹색생활 실천의 장애요인 진단 <br> 나. 녹색생활 현황 파악을 위한 주기적인 모니터링 <br> 2. 녹색생활양식 확산을 위한 인프라 구축 <br> 가. 녹색생활 실천을 위한 정보의 제공 <br> 나. 녹색생활 실천의 인프라 구축 <br> 3. 녹색생활 교육.홍보 및 캠페인의 강화 <br> 가. 녹색생활 홍보.캠페인의 강화 및 개선 <br> 나. 녹색생활 교육 강화 <br> 4. 녹색생활 확산을 위한 제도 개선 <br> 가. 녹색생활 인센티브 제도의 개선 <br> 나. 건물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제도 개선 <br> 다. 운전면허 제도와 교통법규의 개선 <br> 라. 녹색생활 확산을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내용 <br>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br> 가. 녹색생활의 정의와 연구범위 <br> 나. 연구의 내용 <br> 다. 연구의 방법 <br> 제2장 온실가스 배출과 생활양식 관련 국내외 동향 <br> 1. 국내외 온실가스 배출 동향 <br> 가. 세계 온실가스 배출 동향 <br> 나. 국내 온실가스 배출 동향 <br> 2. 생활계 에너지 소비 및 온실가스 배출 <br> 가. 생활계 에너지 소비 <br> 나.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 동향 <br> 3. 녹색생활 확산의 국내외 동향 <br> 가. 녹색생활 관련 캠페인 <br> 나. 녹색생활 실천 장려를 위한 인센티브 제도 <br> 다. 녹색건물 활성화 방안 <br> 라.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을 위한 측정 도구 <br> 제3장 녹색생활 실천 현황과 온실가스 배출 및 감축 잠재량 추정 <br> 1. 녹색생활양식 인식 및 실천 현황: 사례 조사 <br> 가. 조사 설계 및 구성 <br> 나. 조사 결과 <br> 2. 주요 생활양식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br> 가. 사례조사를 통한 주요 부문별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br> 나. 통계자료를 활용한 주요 부문별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br> 3. 녹색생활양식별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 문헌고찰을 통해 <br> 제4장 녹색생활양식 확산을 위한 전략 <br> 1. 녹색생활 실천의 장애요인 진단과 모니터링 <br> 가. 녹색생활 실천의 장애요인 진단 <br> 나. 녹색생활 현황 파악을 위한 주기적인 모니터링 <br> 2. 녹색생활양식 확산을 위한 인프라 구축 <br> 가. 녹색생활 실천을 위한 정보의 제공 <br> 나. 녹색생활 실천의 인프라 구축 <br> 3. 녹색생활 교육?홍보 및 캠페인의 강화 <br> 가. 녹색생활 홍보?캠페인의 강화 및 개선 <br> 나. 녹색생활 교육 강화 <br> 4. 녹색생활 확산을 위한 제도 개선 <br> 가. 녹색생활 인센티브 제도의 개선 <br> 나. 건물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제도 개선 <br> 다. 운전면허 제도와 교통법규의 개선 <br> 라. 녹색생활 확산을 위한 법제 개선의 필요성 <br> 마. 기타 <br> 5. 녹색생활 실천 확산을 위한 거버넌스 및 네트워킹의 강화 <br> 제5장 결론 및 제언 <br> 1. 결론 <br> 2. 제언 <br> 참고문헌 <br> 부록 Ⅰ. 생활 주요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방법 <br> 부록 Ⅱ. 국내외 녹색생활 관련 캠페인의 세부 실천사항 <br> 부록 Ⅲ. 녹색생활 관련 법령 <br> Abstract -
dc.format.extent 174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녹색생활양식 확산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방안 연구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Developing measures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through promoting green lifestyle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0-03 -
dc.description.keyword 기후변화대응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기후변화의 주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은 화석연료의 소비에서 발생되는데, 온실가스의 상당부분이 가정과 공공?상업과 같은 생활 관련 부문에서 배출된다. 이것은 우리가 일상생활 속에서 온실가스를 줄이는 녹색생활을 실천하는 것만으로도 국가 온실가스 배출의 상당량을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녹색생활을 확산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국가 온실가스의 배출 동향을 파악하고, 국민들의 녹색생활에 대한 인식과 실천 현황 그리고 녹색생활 실천의 장애요인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관련 문헌조사와 통계자료 분석 및 설문조사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 동향과 녹색생활에 대한 인식 및 실천 현황을 조사하고 생활 주요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추정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녹색생활 실천의 장애요인을 살피고, 녹색생활 확산을 위한 전략을 모색하였다. 녹색생활에 대한 인식과 실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전국에 분포하는 1000명을 대상으로 녹색생활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였다. 녹색생활에 대해서는 조사 대상자의 65.6%가 녹색생활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고 하였으며, 75%의 응답자는 녹색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또한 앞으로 녹색생활을 실천할 것인가에 대한 문항에는 응답자의 80%가 실천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응답을 얻을 수 있었다. 녹색생활양식 항목별 실천도 조사에서는 대부분 높이 실천한다고 답하였으나, 교통부문의 실천항목 중 ‘카풀하기’와 ‘승용차 요일제 준수’도 실천도가 특히 낮았다. 식부문의 경우 ‘부족한 듯한 양만큼 조리하기’와 ‘육류보다는 채식섭취’가 상대적으로 실천도가 낮았다. 구매부문에서는 ‘친환경 상품구매하기’가 실천도가 낮았고, 에너지부문에서는 ‘전기밥솥 보다는 압력밥솥 사용하기’와 ‘샤워시간 줄이기’와 'TV 시청시간 줄이기’, ‘4층 이하는 계단 이용하기’, ‘조리시간 줄이기’가 상대적으로 실천도가 낮은 편이었다. 생활주요 부문별 온실가스 발생량은 동일한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매월 연료, 전기, 수도 사용량과 쓰레기 배출, 그리고 자가용과 대중교통 이용정도에 대해 조사하여 부문별로 1인당 한 달간 온실가스 배출량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자가운전자의 경우 자가용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전기와 연료, 그리고 대중교통 순이었는데, 수도 사용과 쓰레기 배출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집단별 온실가스 배출 특성을 살펴보면 연료 사용은 가구원수, 주거형태, 주거면적에 대해 차이가 났고, 수돗물 사용은 가구원수에 대해, 전기사용은 지역규모, 소득, 가구원수, 주거면적에 대해, 자가용 운행은 성별과 직업에 대해, 그리고 대중교통이용은 성별, 가구원수, 연령과 직업에 따라 배출량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1인 가구의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았고, 전기의 경우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구원수와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녹색생활의 확산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녹색생활 실천의 장애요인들을 극복하기 위해 도와주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녹색생활 실천을 장려하는 것이다. 녹색생활을 실천하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었다. 녹색생활을 실천하지 않는 이유는 ‘녹색생활을 실천하는 방법을 몰라서’가 가장 많았으며, ‘귀찮고 불편해서’가 그 다음이며, ‘실천을 하더라도 돌아오는 직접적인 이익이 없어서’, ‘나 혼자 실천하더라도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므로’, ‘녹색생활에 대해 생각해 본 적도 없으므로’가 비슷한 수준으로 응답되었고, ‘녹색생활의 중요성이나 의미에 대해 공감하지 않기 때문에’가 다음 순이었으며 일부 ‘바빠서’라고 응답한 사람도 있었다. 둘째, 녹색생활양식 확산을 위한 인프라의 구축이다. 녹색생활을 위한 인프라로는 녹색생활 관련 정보 제공시스템의 구축, 녹색생활 실천 편의도구의 도입, 도시계획에 있어서의 녹색생활 실천을 고려하고 친환경건축물의 확산처럼 정주환경을 개선하는 것이다. 셋째, 관련 법규와 제도의 개선이다. 녹색생활이 지속적으로 실천되게 하기 위해서는 인센티브 또한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자가발전 운동기구와 같은 시설물과 인센티브 제도를 연계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 일정 용적률의 전체 에너지 소비가 일정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며, 건축물 매매 시 에너지 사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도 또한 시행할 필요가 있다. 넷째, 녹색생활 교육과 캠페인을 강화하는 것이다. 녹색생활 교육과 캠페인은 녹색생활 현황에 대한 인식과 실천 현황 및 온실가스 배출 특성 등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며, 가정 뿐 아니라 학교와 직장을 녹색생활 체험과 실천의 장으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녹색생활 실천 확산을 위한 거버넌스 및 네트워킹을 강화해야 한다. 이외에 1인 가구처럼 온실가스를 많이 발생시키는 가구가 늘어나지 않게 하는 것도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설문분석을 통해 녹색생활에 대한 인식과 실천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생활 주요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추정하고 주거형태와 가구원수 등 집단별 온실가스 배출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제한된 대상자들을 설문조사한 결과이므로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앞으로 정부가 녹색생활 양식을 확산시키는 실효성 있는 교육과 캠페인을 실행하고 국민들의 기후변화 및 여러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증대와 태도 개선, 그리고 실질적인 실천으로 이어져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고 더 나아가 기후변화를 완화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Myeong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oojeong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