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 하천 물안보 체계 구축을 위한 협력 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김익재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1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1Z -
dc.date.issued 20101231 -
dc.identifier A 환1185 연2010-07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479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기본2010-07_김익재[1].pdf -
dc.description.abstract Developing a Framework of Wate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Transboundary Rivers of South and North Korea A transboundary river is a river which shapes the border between different countries or which flows through at least one national border. A transboundary river can offer the riparian countries a basis with which to cooperate with one another for the use and management of the river water. At times, however, it can also cause conflicts between neighboring countries. The Korean peninsula is divided into North(N.) and South(S.) Korea, and the transboundary rivers have brought both cooperation and conflict upon the two Koreas. If N. Korea and S. Korea cooperatively manage and use the transboundary rivers in a rational and fair way, the rivers can stimulate the peace and prosperity of two Koreas. To this end, people need to consider the rivers from the perspective of water security, more specifically sustainable access to water of adequate quantity and acceptable quality. In response to such needs, this paper analyzed the water management practices and vulnerabilities of water security of two transboundary rivers - Imjin River(Imjin R.) and Bukhan River(Bukhan R.), developed a cooperation program to strengthen water security at the transboundary river basins. First, the authors of this study reviewed the international laws and issues on the management and use of a transboundary river. Many existing laws and principles on a transboundary river were ambiguous, at times even contradicting each other. The problem stems from when riparian countries start to negotiate on the transboundary river, as their negotiations are based on such laws and principles. At the same time, they also need to consider the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of the river basins such as geographical, economic, and social asymmetries. Second, the authors analyzed the status of Imjin R. and Bukhan R. as well as their vulnerab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water security. It should be noted here that data on N. Korean territory were very limited. However, what is clear is that both Imjin R. and Bukhan R. have following vulnerabilities. ○ The geologic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of these river basins were not suitable to economic activities and vulnerable to flood damage, yielding relatively low social and economic levels in those river basins. ○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flow regime of the two transboundary rivers and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stimated and observed river flows. It is hypothesized that such difference results from the storage and diversion of river water at the upper basins(N. Korean territory). S. Korea, the lower reach, needs to prepare for the development activities at the N. Korean river basins. ○ Since the 1990s, land cover of S. Korean river basin has not changed significantly. However, N. Korea has continually developed forests and grassland, transforming them into urban districts and farmland. Worth noting here, N. Korea has relatively high population density at the river-adjacent areas. This high population density at the river basin and the poor water infrastructures may elevate the flood damages in N, Korea. ○ Preliminary assessment on water quality was carried out with satellite images of N. Korean basins. The precipitation and land use of N. Korean river basins may yield significant impact on the water quality of the large reservoirs. Moreover, the induction of non-point pollutants may cause eutrophication at the reservoirs, affecting the water quality of the lower reach in the process. ○ This study indicates that both transboundary rivers are vulnerable to water allocation, water quality, and flood damage. In terms of water security, water allocation should be the highest priority in these regions.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hydro-infrastructures,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joint river management, etc. are also vulnerable in terms of water security. Because these vulnerabilities will leave a lasting impact on the ecosystem, human health, and economy, both Korean countries need to enhance mutual water security at the transboundary rivers. Third, the authors analyzed the difficulties in the negotiations between two Koreas on the transboundary rivers. Both countries have tried to negotiate the use and management of the transboundary rivers, but the absence of appropriate laws and systems, limited available data, different political positions, etc. have prevented further discussions on the substantial measures. To overcome such difficulties, the authors suggest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 The water use of N. Korea should guarantee the flood prevention and water use of S. Korea. As such, the two countries need to reach agreements on the joint management and water use of the transboundary rivers. ○ Both countries need to establish a joint committee for the river management, including water quality improvement, ecosystem conservation, flood prevention, etc. The proposed cooperation between two countries can be achieved in stages. The first step will be to ease the current stringent situation and to regain the trust between two countries. Exchanges of scholars and technical expertise on flood, water quality, and the ecosystem will be mutually beneficial. Joint investigation on the transboundary river basins and data exchange can motivate further cooperation. Then, the wo Koreas can discuss details of the agreement on the joint river management commission. In case of Imjin R., both countries already agreed on the principle of rational and fair use, mutual cooperation, and trust. Such principles can serve as the basis for the management and use of the transboundary rivers in Korean peninsula.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br> 2. 연구 목적 <br> 3. 연구 내용 및 방법 <br> 가. 공간적 범위 <br> 나. 내용적 범위 <br> <br>제2장 공유 하천의 개념과 일반 현황 <br> 1. 공유 하천의 개념 <br> 2. 공유 하천의 현황 <br> 가. 전 세계의 공유 하천 현황 <br> 나. 공유 하천을 둘러싼 물분쟁과 협력 <br> 3. 공유 하천과 관련된 국제법과 협약 <br> 가. 공유 하천 이용에 관한 이론 <br> 나. 공유 하천 관련 국제법과 협약 <br> 4. 공유 하천 협력과정에서 고려할 점 <br> 가. 지리적 비대칭성 <br> 나. 경제력의 차이 및 기타 고려 사항 <br> <br>제3장 남북 공유 하천 유역의 물관리 현황 평가와 물안보 취약성 <br> 1. 임진강 유역의 일반 현황과 물관리 분석 및 평가 <br> 가. 사회.경제적 현황 <br> 나. 황강댐 건설이 임진강 하류 이수 및 치수에 미치는 영향 <br> 다. IHACRES 모형을 활용한 장기 유출 및 유량 분석과 영향 <br> 라. 유역 및 수변 토지피복 변화 및 인구 분포의 분석과 영향 <br> 마. 임진강 남측 최상류 및 황강댐 수질의 분석과 영향 <br> 2. 북한강 유역의 일반 현황과 물관리 분석과 평가 <br> 가. 사회 . 경제적 현황 <br> 나. 임남댐 건설이 북한강 하류 이수 및 치수에 미치는 영향 <br> 다. IHACRES 모형을 활용한 장기 유출 및 유량 분석과 영향 <br> 라. 유역 및 수변 토지피복 변화 및 인구 분포의 분석과 영향 <br> 마. 북한강 남측 최상류 및 임남댐 수질의 분석과 영향 <br> 3. 남북 공유 하천의 물안보 요소와 취약성 <br> 가. 물안보(water security)의 정의 <br> 나. 국제 공유 하천에서의 물분쟁 사례 <br> 다. 남북한 공유 하천의 물안보 우선순위와 취약성 <br> <br>제4장 남북 공유 하천 물안보 체계 구축을 위한 협력 방안 <br> 1. 공유 하천 이용 및 갈등사례 <br> 가. 주요 협력 및 갈등사례 <br> 나. 공유 하천 관리제도 및 프로그램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br> 2. 연구 목적 <br> 3. 연구 내용 및 방법 <br> 가. 공간적 범위 <br> 나. 내용적 범위 <br> 제2장 공유 하천의 개념과 일반 현황 <br> 1. 공유 하천의 개념 <br> 2. 공유 하천의 현황 <br> 가. 전 세계의 공유 하천 현황 <br> 나. 공유 하천을 둘러싼 물분쟁과 협력 <br> 3. 공유 하천과 관련된 국제법과 협약 <br> 가. 공유 하천 이용에 관한 이론 <br> 나. 공유 하천 관련 국제법과 협약 <br> 4. 공유 하천 협력과정에서 고려할 점 <br> 가. 지리적 비대칭성 <br> 나. 경제력의 차이 및 기타 고려 사항 <br> 제3장 남북 공유 하천 유역의 물관리 현황 평가와 물안보 취약성 <br> 1. 임진강 유역의 일반 현황과 물관리 분석 및 평가 <br> 가. 사회 ? 경제적 현황 <br> 나. 황강댐 건설이 임진강 하류 이수 및 치수에 미치는 영향 <br> 다. IHACRES 모형을 활용한 장기 유출 및 유량 분석과 영향 <br> 라. 유역 및 수변 토지피복 변화 및 인구 분포의 분석과 영향 <br> 마. 임진강 남측 최상류 및 황강댐 수질의 분석과 영향 <br> 2. 북한강 유역의 일반 현황과 물관리 분석과 평가 <br> 가. 사회 ? 경제적 현황 <br> 나. 임남댐 건설이 북한강 하류 이수 및 치수에 미치는 영향 <br> 다. IHACRES 모형을 활용한 장기 유출 및 유량 분석과 영향 <br> 라. 유역 및 수변 토지피복 변화 및 인구 분포의 분석과 영향 <br> 마. 북한강 남측 최상류 및 임남댐 수질의 분석과 영향 <br> 3. 남북 공유 하천의 물안보 요소와 취약성 <br> 가. 물안보(water security)의 정의 <br> 나. 국제 공유 하천에서의 물분쟁 사례 <br> 다. 남북한 공유 하천의 물안보 우선순위와 취약성 <br> 제4장 남북 공유 하천 물안보 체계 구축을 위한 협력 방안 <br> 1. 공유 하천 이용 및 갈등사례 <br> 가. 주요 협력 및 갈등사례 <br> 나. 공유 하천 관리제도 및 프로그램 <br> 다. 공유 하천 이용 및 관리 사례의 시사점 <br> 2. 남북 공유 하천 이용 및 관리의 갈등사례와 협력 방안의 한계점 <br> 가. 남북 공유 하천 이용 및 관리 갈등사례 <br> 나. 협력 방안의 정책 ? 제도적 제한점 <br> 다. 시사점 <br> 3. 남북 공유 하천 물안보 확보와 이용 및 협력을 위한 정책 대안 <br> 가. 공유 하천 관리를 위한 협력 분야 <br> 나. 협약문(협력 매뉴얼) 작성 <br> 다. 공유 하천 관리를 위한 위원회 <br>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br> 참고 문헌 <br> Abstract <br> -
dc.format.extent 179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공유 하천 물안보 체계 구축을 위한 협력 방안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Developing a framework of wate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transboundary rivers of south and north korea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0-07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공유 하천은 국가간 경계를 이루거나 국가간에 연속적으로 흐르는 하천으로, 합리적이고 공평한 이용 하에 타국의 영역이나 이익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 원칙이다. 공유 하천의 수량, 수질, 생태계의 종합적 관리는 국가간 상호 협력으로 공동 이익을 산출하기도 하며, 때로는 자국의 이익에 집중한 나머지 이해관계의 상충으로 분쟁이 발생하기도 한다. 남북 공유 하천 역시 북한에서 발원하여 남한으로 흐르고 있어 남북장관급회담, 경제협력추진회의, 실무협의회를 통해 상호 협력을 추구하기도 하며, 때로는 상류국(북한)의 무단 방류로 남북 공유 하천의 이용 및 관리가 해당지역의 갈등 수준을 넘어 국가적 사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동시에 물배분, 물부족, 수질 등 다양한 문제가 나타나고 있거나 추정됨에도 불구하고 그 갈등은 양자 간의 완충적 기능 없이 정치적 군사적 정황에 숨겨져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기후변화 영향 등 자연지배적 위급 상황은 정치적 및 군사적 갈등을 증폭시켜 분쟁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남북 공유 하천의 합리적이고 공평하고 평화적 이용을 위해서는 충분한 수량, 수질 기준에 적합한 수자원 및 지속가능한 접근권을 확보할 수 있는 물안보(water security) 차원의 하천 관리와 협력 방안 마련이 통일 전후에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임진강과 북한강 유역을 대상으로 공유 하천 유역의 물관리 현황과 변화, 물안보 요소 및 취약성을 분석 ? 평가하고, 접경지역 물안보 체제 구축을 위한 협력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공유 하천 개념 및 공유 하천 관련 국제법 협약을 고찰하고, 공유 하천 이용을 위한 협력 과정에서의 주요 쟁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시대적 환경이 반영되면서 공유 하천의 범위는 단순 하천을 넘어서 유역 이상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하천의 이용을 둘러싸고 분쟁이 발생하기도 하나 이는 다시 협상을 통해 협력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공유 하천 관련 국제법과 협약, 원칙을 조사한 결과 전 세계 공유 하천을 둘러싼 다양한 물분쟁 해결 및 예방을 위해 모호하거나 상충되는 부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북 공유 하천에 실제 적용 가능한 국제법 및 협약, 원칙 외 관련국의 지리적, 경제적, 사회체제의 비대칭성 등 정치 ? 경제적 조건을 고려한 공유 하천 협력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둘째, 남북 공유 하천 유역의 현황을 살펴보고자, 수량, 유량, 및 수질 변화, 사회 ? 경제, 이 ? 치수, 토지피복 등 요소별 물관리 현황을 분석 및 평가하였다. ○ 공유 하천의 상류(북측)댐 건설 전후 기간의 수량 및 유량을 분석한 결과, 특히 소양강댐의 연간 유입량보다 컸던 화천댐의 연간 유입량은 임남댐 건설 후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방류량 및 저수위(10월)는 많은 감소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장기 유출량 변화를 관측 유량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화천댐 상류의 평균 유출량(1967~2000년)은 임남댐 건설 전(1967~2000년) 1,116㎥/s였으나 건설 후(2001~2005년) 567㎥/s로 약 50.8%의 감소를 보였다. 임남댐 건설 유무에 따른 해당 기간의 연간 유출량 영향을 장기 유출 모델링(IHACRES)으로 해석한 결과, 오히려 건설 후(2001~2005년) 모의 유출량은 1,542㎥/s로 평균 모의 유출량(1,090㎥/s, 1967~2000년)보다 41.4%가 증가되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비록 일반적으로 상류댐의 건설은 하류의 홍수 저감에 효과가 있으나 북한강 공유 하천이 공동 관리되지 않은 시점에서 물자원 확보 측면의 물안보가 위협받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특히 소양강댐, 충주댐의 운영 및 관리는 팔당댐의 양질의 물자원 확보 차원에서 그 중요성이 지대하며 또한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물부족이 나타날 경우에 북한강 북측 유입 유량의 공평한 배분 및 이용은 중요한 의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임진강 공유 하천의 수량과 유량을 본 연구에서 분석하였으나, 북한강 보다 활용 가능한 관측 자료의 부족 등으로 황강댐에 대한 충분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다만, 분석결과 해당 기간의 관측 자료 및 유출 모델링 결과를 분석한 결과 우기 동안에는 관측치가 건기 동안에는 모의치가 큰 값을 가지는 경향으로 나타나 수문 상황의 큰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임진강도 북한강과 같이 북측의 황강댐 운영 및 관리에 따라 일부 홍수 저감 효과와 더불어 급격한 유량 감소, 즉 물부족이 나타나 수질악화나 수생태 훼손이 나타날 우려가 있어 면밀한 대안과 남북 회담의 주요한 의제가 될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각 공유 하천의 현황 및 분석 결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본 보고서 3장에서 자세하게 기술하였다. ○ 화천댐의 수질은 임남댐 건설 직후 약 2년간 COD, T-N, T-P 등의 월별 수질항목이 급격히 악화되었으며 건설 후 최근까지 수질변화의 변동 폭이 건설 전 보다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군남 지점의 수질은 최근까지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임진강 북측 유입 유량이 감소된다면 북한강의 사례와 같이 어느 정도의 하천 수질악화는 예상된다고 볼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공유 하천 상류(북측) 저수지(임남댐, 황강댐)의 최근 수질을 기초 연구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저수지의 수질은 비점오염원(강우, 토지피복 등) 유출로 추정할 수 있는 부영양화의 발생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2010년 6월 4일 황강댐 표층수온 : 20.4℃, 투명도 : 2.62m, 부유물질 : 6.57mg/l, 임남댐 표층수온 : 19.0℃, 투명도 : 2.86m, 부유물질 : 5.23mg/l). 그러므로 크고 작은 북측 저수지의 수질 변화와 남측 하천 수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1980년, 1990년대 토지피복을 분석한 결과, 남한 토지피복은 거의 과거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북한은 산림 및 초지를 대상으로 시가지 혹은 농경지로 개간하는 등 지속적인 개발행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특히 북한의 수변 인구밀도(북한강 북한 수변 : 168명/㎢, 북한강 남한 수변 : 116명/㎢, 임진강 북한 수변 : 53명/㎢, 임진강 남한 수변 : 11명/㎢, 2008년 기준)는 남측 수변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북한의 물관리 시설물과 취약성에 따라 대홍수 발생시 적지 않은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남북 공유 하천의 물안보 우선순위를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 세계 공유 하천의 갈등 및 협력 사례에 대한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전 세계 공유 하천을 둘러싼 1,831개의 갈등 및 협력 사례(1948~1999년)를 분석한 결과, 공유 하천 물문제는 급격한 증가 추세에 있었으며 갈등 및 협력 부문의 우선순위는 수량(배분, 45%)>수자원시설(19%)>공동관리(12%)>수력발전(10%)>수질(6%) >기타(4%)>홍수(2%), 기술협력(2%)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근거하여 공유 하천 관리(대응)를 위한 물안보 우선순위는 물부족(수량배분)>댐 시설물>수질>공동관리>홍수, 기술 부문의 순서로, 협력(이용)의 우선순위는 물부족(수량배분)>댐 시설물, 공동관리>수질>홍수, 기술 부문의 순서로 제안하였다. 특히 지금까지 홍수 문제가 남북 회담의 주요 의제로 국한되었지만, 향후에는 물부족과 수질(특히 남측 수질악화) 등 물환경에 대한 의제 채택과 선제적 대안이 필요한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었다. ○ 그러므로 남북 공유 하천은 ‘수자원 확보(수량 배분)’, ‘수질 개선’, ‘홍수 방어(넓은 의미의 수자원 인프라 관리 및 운영 포함)’에 취약하며, 이러한 취약성은 결국 생태계는 물론 통일 전후의 보건, 경제 성장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바, 공유 하천 유역에서의 남북 ‘공동 물안보(shared water security)’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넷째, 주요국의 공유 하천 이용과 관리에 대한 사례, 남북 공유 하천의 갈등사례를 소개하고 이에 따른 남북 공유 하천 이용과 관리를 위한 협력 방안의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공유 하천 주요국과 마찬가지로 남북은 공유 하천 이용 및 관리 협력을 위한 시도가 이루어져 왔으나, 법령 및 제도적 근거의 부재, 자료 확보의 어려움, 기술 ? 재정적 제한, 상이한 입장 및 태도로 실질적 대책 마련을 위한 구체적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남북 공유 하천 물안보 체계 구축을 위한 협력 방안을 제시하였다. ○ 협력 방안 도출에 앞서 공유 하천 이용 및 관리의 필요 요소들을 보완하여 기존 법률을 개정하거나 신규 법률(가칭 ‘공유하천특별관리법’)을 제정하는 등 기반 마련을 위한 공유 하천 관련 정책 및 제도적 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공유 하천의 이상을 조기 검출하여 홍수, 수질사고 등의 위험에 신속 대처하기 위해 유량 외 수질의 실시간 혹은 자동 관측 시스템을 구축하여 공유 하천 관련 자료를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 북한 상류 댐 건설의 주요 원인은 수력 발전과 용수 사용이므로 남한에서도 홍수예방 및 양질의 용수 공급이 동시에 담보될 수 있도록 남북이 안정적 전력 확보와 합리적 용수 배분에 대한 협약을 체결하는 것이 정책적 우선순위에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조문과 운영규칙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토대로 기타 하천 이용과 물환경 보호 등 남북 공유 하천에 적용 가능한 협약문이 마련되어야 한다. ○ 이와 함께 남북 공유 하천의 수질오염 방지, 수(변)생태계 보존, 홍수, 물부족으로 인한 피해 예방을 위한 남북 공유 하천 위원회 혹은 유역 관리 위원회 설립이 동반되어 공유 하천의 전반적 관리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남북 공유 하천은 비무장지대를 관통하기에 수자원 기여도 및 생태 건전성이 매우 높다. 그러므로 북한강 및 임진강 등 대하천 외에도 접경 지역의 크고 작은 하천에 대한 생명과 환경의 존속을 위하여 공유 하천에 지속가능한 접근권을 확보하려는 물안보 차원의 남북 공유 하천 관리와 협력이 무엇보다 필요하며, 이는 단계적 접근을 통해 달성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한 첫 단계로 홍수예방, 하천수질 개선, 생태계 보전 등을 위한 학계 혹은 비영리단체의 학술 및 기술 상호 방문 교류를 통해 그동안 경색되어 왔던 남북간 신뢰를 우선적으로 회복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 제안되어 왔던 공동조사를 통한 상호 정보 교환 이후, 앞서 제시한 협약문 및 위원회 구성 등을 보강 ? 보완하여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남북 임진강 수해방지 실무회담에서 제안되었던 합리적이고 공평한 이용의 원칙, 상호협력의 원칙, 신뢰의 원칙에 근거한 지속가능한 남북 공유 하천 이용 및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술 ? 정책적 결과물이 남북한 접경지역 물안보 체제 구축, 남북한 수자원 공동 관리 및 이용 협력은 물론 인도적 문제 해결을 위한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길 기대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im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Ik-Jae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