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변지역 도시재생에 있어 저영향개발기법(LID)의 적용방안 및 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최희선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3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3Z -
dc.date.issued 20101231 -
dc.identifier A 환1185 연2010-16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488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기본2010-16최희선.pdf -
dc.description.abstract Recent abnormal rainfalls owing to climatic change have caused rapid changes in the water environment yielding floods, heavy snowfalls, and droughts in urban areas. Such natural disasters not only threaten the quality of urban life, but also wreak havoc on human lives in some extreme ca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formulate effective ways to minimize the impacts of such a rapidly changing water environment especially in waterfront areas, one of the most vulnerable loci, by applying the LID (Low Impact Development) technique in urban regeneration plans for the areas. To discover a more practical plan and to present a viable policy, several case-study areas were selected on which to apply the technique and the effect was estimated by using the LIDMOD2 model. First, case studies from the U.S. and European countries with active employment of the LID technique were gathered to find out which specific aspects of the LID technique can planning elements with potential for application in urban regeneration plans for waterfront areas were culled via analyses of flood reduction plans by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nd individual states as well as previous studies on the LID technique used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Based on the results, an appropriate method with which to apply the LID technique in the processes as well as the frameworks of general urban regeneration plans was presented. By applying the obtained processes and planning elements to two types of study areas in order to prepare plans and design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urban regeneration and subsequently to suggest their effects, it was possible to review the feasibility of such application. Plans were applied through four stages in total: selection of areas based on development density and pressure analysis of locations and current status setting up of goals, and application of the LID technique. After applying the plans, effects on nonpoint pollution source load according to change of land usage and improvement in peak flow or surface runoff were estimated by using LIDMOD2. For the process, this study selected two areas for case studies: Cheongsong-eup in Cheongsong-gun and Yangpyeong-eup in Yangpyeong-gun. Appropriate plans and designs were drawn with application of the LID technique. The focus on the region with low development density and low development pressure in the future, namely Cheongsong-gun, was laid on guarantee of minimal living environment, while that on a region with high development density and high development pressure in the future, namely, Yangpyeong-gun was laid on advanced approach to induce environmentally-friendly urban development. The application of the LID technique to Cheongsong-gun yielded major changes compared to the existing drainage system including the following modification of drainage system customized according to slopes establishment of redevelopment areas and riverside water retention areas and open spaces using public facilities and connection with the drainage system. In Yangpyeong-gun, the plan was based on establishing a link with existing redevelopment projects, installation of a distributive water circulation system, functional connection between streams and a national river, and linking of river buffer zones. In conclusion, total impervious areas in Cheongsong-gun were reduced from 75.07% to 73.41% annual surface runoff was improved by 7.4% and annual infiltration rate by 6.7%. In terms of pollution loads, T-N concentration was improved by 11.5% T-P concentration 9.3% and BOD 9.4%. Peak flow was also improved by 8.3%. Total impervious areas in Yangpyeong-gun were reduced from 75.9% to 71.07% annual surface runoff was improved by 17.4% and annual infiltration rate by 20.2%. In terms of pollution loads, T-N concentration was improved by 17.1% T-P concentration 16.1% and BOD 16.2%. Peak flow was also improved by 13.1%. Based on the case studies, results of an improvement plan can be enhanced through the systematic application of the LID technique o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waterfront areas. In so far as environmentally- friendly development, the LID technique could be applied the pilot project of water circulationtype waterfront town in connection with the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To this end, this paper propose the following as in-depth analysis of target areas configuration of the water circulation system based on development pressure and density establishment of strategy utilization of estates of public institutions coordination with current local development plans, and organic interoperation with existing drainage and sewer system. Furthermore, it propose the application of the LID technique to the prior environmental review system, especially to items on geomorphology damage and soil contamination as well as amenity in its operation handbook. In connection with the total water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the technique might be applied by using the concept of Biotope Area Factor. However, it would be necessary to conduct complementation and verification through monitoring in the future so as to refine the proposal. In connection with resident support, the study propose the methods by which to apply the LID technique to develop as substantial elements in projects, ultimately to increase income and promote welfare.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br> 2. 연구의 목적 <br>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br> <br>제2장 문헌 및 사례연구 <br> 1. 저영향개발기법의 개념 및 계획·설계 과정 <br> 2. 저영향개발기법의 접근방법 <br> 3. 기존 개발기법과 저영향개발기법의 비교 <br> 4. 선행연구의 종합 및 연구의 차별성 <br> 가. 문헌 및 사례연구 종합 <br> 나. 기존연구와의 차별성 <br> <br>제3장 수변지역 도시재생을 위한 LID 적용기법 도출 <br> 1. 도시재생을 위한 저영향개발기법의 계획 및 설계과정 <br> 2. 단계별 내용 <br> 가. 계획지역의 선정 <br> 나. 대상지역의 입지 및 현황분석 <br> 다. 계획목표 설정 <br> 라. 기술적 저영향개발기법의 적용 <br> 3. 설계구역별 계획 및 설계방안 <br> 가. 보전지역 및 공공시설 구역의 기능설정 <br> 나. 구역별·용도지역별 존치구역 및 재개발구역 설정 <br> 다. 투수면적 확대를 위한 공간배치계획 <br> 라. 분산형 빗물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공간배치계획 <br> 마. 설계기술 개선을 통한 향상계획 <br> 4. 저영향개발기법 적용에 따른 효과분석 <br> <br>제4장 LID 기법의 사례지역 적용 <br> 1. 사례지역 선정 <br> 2. 사례지역 유형 가: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br> 가. 대상지의 입지 및 현황분석 <br> 나. 계획목표 설정 <br> 다. 기술적 저영향개발기법의 적용 <br> 라. 저영향개발기법 적용의 효과 <br> 3. 사례지역 유형 나: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br> 가. 대상지의 입지 및 현황분석 <br> 나. 계획목표 설정 <br> 다. 기술적 저영향개발기법의 적용 <br> 라. 저영향개발기법 적용의 효과 <br> 4. 사례지역 적용을 통한 저영향개발기법 적용방안 도출 <br> 가. 두 사례지역 계획안의 특성 비교 <br> 나. 저영향개발기법을 적용한 계획과정 도출 <br> <br>제5장 LID 기법 적용을 위한 정책제안 <br> 1. 친환경개발계획 측면에서의 활용방안 <br> 2. 저영향개발기법 적용을 위한 제도 개선방안 <br> 가. 사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br> 2. 연구의 목적 <br>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br> 제2장 문헌 및 사례연구 <br> 1. 저영향개발기법의 개념 및 계획·설계 과정 <br> 2. 저영향개발기법의 접근방법 <br> 3. 기존 개발기법과 저영향개발기법의 비교 <br> 4. 선행연구의 종합 및 연구의 차별성 <br> 가. 문헌 및 사례연구 종합 <br> 나. 기존연구와의 차별성 <br> 제3장 수변지역 도시재생을 위한 LID 적용기법 도출 <br> 1. 도시재생을 위한 저영향개발기법의 계획 및 설계과정 <br> 2. 단계별 내용 <br> 가. 계획지역의 선정 <br> 나. 대상지역의 입지 및 현황분석 <br> 다. 계획목표 설정 <br> 라. 기술적 저영향개발기법의 적용 <br> 3. 설계구역별 계획 및 설계방안 <br> 가. 보전지역 및 공공시설 구역의 기능설정 <br> 나. 구역별·용도지역별 존치구역 및 재개발구역 설정 <br> 다. 투수면적 확대를 위한 공간배치계획 <br> 라. 분산형 빗물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공간배치계획 <br> 마. 설계기술 개선을 통한 향상계획 <br> 4. 저영향개발기법 적용에 따른 효과분석 <br> 제4장 LID 기법의 사례지역 적용 <br> 1. 사례지역 선정 <br> 2. 사례지역 유형 가: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br> 가. 대상지의 입지 및 현황분석 <br> 나. 계획목표 설정 <br> 다. 기술적 저영향개발기법의 적용 <br> 라. 저영향개발기법 적용의 효과 <br> 3. 사례지역 유형 나: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br> 가. 대상지의 입지 및 현황분석 <br> 나. 계획목표 설정 <br> 다. 기술적 저영향개발기법의 적용 <br> 라. 저영향개발기법 적용의 효과 <br> 4. 사례지역 적용을 통한 저영향개발기법 적용방안 도출 <br> 가. 두 사례지역 계획안의 특성 비교 <br> 나. 저영향개발기법을 적용한 계획과정 도출 <br> 제5장 LID 기법 적용을 위한 정책제안 <br> 1. 친환경개발계획 측면에서의 활용방안 <br> 2. 저영향개발기법 적용을 위한 제도 개선방안 <br> 가. 사전환경성검토제도에의 적용 <br> 나.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에의 적용 <br> 다. 상수원관리지역 주민지원사업에의 적용 <br> 제6장 결론 및 제언 <br> 1. 연구요약 <br> 2. 고찰 및 향후 연구과제 <br> 참고문헌 <br> Abstract -
dc.format.extent 160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수변지역 도시재생에 있어 저영향개발기법(LID)의 적용방안 및 효과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Application and effects of low impact development in urban regeneration of waterfront areas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0-16 -
dc.description.keyword 국토환경관리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강우의 발생으로 도시에서는 홍수와 폭설, 가뭄 등의 급격한 수환경 변화가 야기되면서 도시민들의 삶의 질은 물론 생명까지 위협받는 극단적 상황이 자주 발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급격하게 변화하는 수환경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장 취약지역이라고 할 수 있는 수변지역을 대상으로 도시재생 시 저영향개발기법(Low Impact Development, LID)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보다 실제적 방안 마련을 위해 사례지역을 선정하여 계획기법을 적용하고 LIDMOD2모델을 통해 적용에 따른 효과를 도출함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우선, 수변지역 도시재생에 적용될 수 있는 저영향개발기법 도출을 위해 기법이 활발하게 적용되어 실현되고 있는 미국과 유럽의 사례들을 고찰하였다. 특히 미국 EPA 및 각 주의 도시홍수저감계획, 그리고 저영향개발기법을 적용하고 있는 다양한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생태계획적 요소와 수변지역 도시재생에 적용될 수 있는 계획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시재생의 일반적인 계획의 과정과 틀에 저영향개발기법을 단계별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도출된 계획과정 및 계획요소를 두 유형의 사례지역에 적용해 친환경적 도시재생에 관한 계획 및 설계안을 마련하고 그에 따른 효과를 제시함으로써 실현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계획안은 총 4개의 단계(사례지역 선정, 대상지역의 입지 및 현황분석, 계획목표 설정, 기술적 저영향개발기법의 적용)로 적용되었으며, LIDMOD2를 이용하여 사례지역의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비점오염원 부하량, 첨두유량, 표면유출량 개선 등에 대한 효과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밀도와 개발압력에 근거하여 상이한 유형인 청송군 청송읍과 양평군 양평읍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저영향개발기법이 적용된 계획 및 설계안을 도출하였다. 유형에 따라 기법적용의 접근이 다르게 설정되었으며, 청송군과 같이 개발밀도가 낮고 향후 개발압력 또한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곳은 도시방재에 초점을 둔 최소한의 생활환경 보장에, 개발밀도가 높고 향후에도 개발압력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양평군은 친환경적 도시개발사업 유도에 초점을 맞추어 접근하였다. 저영향개발기법 적용에 있어서 청송군은 기존의 배수체계와 비교할 때 경사지형에 맞춘 배수체계의 변화, 도시홍수를 고려한 재개발구역 및 강변저류지의 설정, 공공시설물을 이용한 오픈스페이스 및 배수체계와의 연계 등이 주요한 특징이 되었다. 양평군 지역에서는 기존 재개발사업과의 연계, 소규모 오픈스페이스를 중심으로 한 분산형 물순환체계의 구축, 소하천과 국가하천의 기능적 연계 및 하천완충지대의 연계 등이 중심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청송군은 총 불투수면적이 75.07%에서 73.41%로 감소하였으며, 연간 표면 유출량은 약 7.4%, 연간 침투율은 약 6.7%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오염부하량에 있어서는 T-N이 약 11.5%, T-P가 약 9.3%, BOD가 약 9.4%의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첨두유량은 약 8.3%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평군은 총 불투수면적이 75.9%에서 71.07%로 감소하였으며 연간 표면 유출량은 약 17.4%, 연간침투율은 약 20.2%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오염부하량에 있어서는 T-N이 약 17.1%, T-P가 약 16.1%, BOD가 약 16.2%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첨두유량은 약 13.1%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지역 적용에 따른 효과를 기반으로 수변지역 도시재생에 있어 저영향개발기법 적용을 위한 제도적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우선, 친환경개발계획의 측면에서 저영향개발기법은 4대강 살리기 사업과 연계된 물순환형 수변도시 시범사업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를 위해 대상지역에 대한 심도 있는 파악과 분석, 개발압력과 밀도에 따른 물순환체계의 구성과 전략의 수립, 공공기관 부지의 적극적 활용, 지역발전현안 사업과의 조화, 기존 우수관거 및 하수관거 계획과의 유기적 연동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현 제도 내에서 개선이 가능한 부분으로는 사전환경성검토제도 수행 시 참고되고 있는「사전환경성검토 업무편람」 상의 지형훼손 및 토지오염방지항목, 어메니티 항목에 대한 저영향개발기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보다 적극적으로는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와의 연계성을 모색할 수 있으며, 이는 기존의 생태면적률의 개념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만, 구체적 제도화를 위해서는 모니터링 등을 통한 보완과 검증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주민지원사업과 관련해서는 소득증대사업 및 복지증진사업의 아이템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oi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ee-Sun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