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정보체계에 기반한 공간환경 계획 수립 가이드라인 마련 II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최희선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5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5Z -
dc.date.issued 20101231 -
dc.identifier A 환1185 녹색2010-03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500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녹색2010-03_(최희선)[1].pdf -
dc.description.abstract Abstract Spatial Environmental Planning Guideline based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Recently, there are many movements to systematize and consolidate environmental data by making database at the national level. Within the movement, spatial environmental plan based on spatial data has potential to become an easy-to-use tool to facilitate agreement and coordination of conflicts between diverse hierarchical plans related to conservation and usage of land by clarifying management direction of space. In this context, this study presented how to establish a spatial environmental plan by metropolitan area / province, and how to utilize the spatial environmental plan, as well as how to improve the plan systematically to enhance its efficacy. In this way, it tried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spatial environmental plans and to stimulate their actual usage. To facilitate the study, it was divided into several sections as follows: (1) in-depth analysis of related cases and references; (2) preparation of a guideline to establish spatial environmental plans by metropolitan area / province; (3) application of the guideline by case; (4) plans to utilize spatial environmental plans, and; (5) proposal of policies to improve efficacy of spatial environmental plans. ■ Case studies and reference searches on the establishment of spatial environmental plan appropriate for hierarchy of metropolitan areas and provinces For international cases on the establishment of spatial environmental plans, the cases in Germany, the U.K. and the U.S. were studied in the first year. This study reviewed spatial environmental plans(Landschaftsplanung) in Germany in depth, as they have prepared diverse types of environmental maps according to environmental medium as well as current status / management of spatial hierarchical environment to use/reflect them in making related plans. In particular, this study formulated items and content of plans to differentiate content of hierarchical spatial environmental plan at the level of province and city. In addition, to reflect the paradigm change in national physical planning and to secure connectivity with spatial plans, this study analyzed the guideline of consolidation of land usage and the manual of prior environmental review in depth and reflected them in the guideline. ■ Presentation of guidelines and application of cases on spatial environmental plan appropriate for the hierarchy of metropolitan areas and provinces Guidelines on the establishment of spatial environmental plan by metropolitan area / province were prepared by reflecting plans and items on metropolitan areas and provinces drawn from case analysis as well as library searches based on the study conducted in the first year. They were concretized based on review of related laws, guidelines and regulations. Each guideline by nine fields was composed of the following items: (1) basic direction of a spatial environmental plan and other plans which could interconnect with it; (2) spatial data related to environment which could utilize by item of the plan; (3) guidelines on building of current status of spatial environment and establishment of management plan; and (4) how to utilize the spatial environmental plan. Various environmental issues were tested in case studies to verify the efficacy of the presented guideline as well as to correct and supplement the guideline. Selected as the area in which to conduct said case study was the Gyeonggi Province, the final decision based on consideration of the existence of a variety of environmental issues, the level of completeness of the status compilation of spatial environmental facts, and the region’s presentation of both metropolitan and provincial characteristics. Before finalizing the guideline, interviews with experts and authorities of related fields as well as documentation reviews by governmental officials and experts were conducted. ■ Presentation of how to utilize the spatial environmental plan to enhance its efficacy and proposal of policies To enhance usability of the spatial environmental plan, the study tried to find out how to reflect it in an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 and how to apply it within hierarchical spatial plans as well as development plans. It suggested fields and items which could be linked to provincial all-out plans and urban master plans by analyzing related guidelines. To make such proposal more concrete, it also presented plans and development project in Gyeonggi Province as examples. In addition, the study tried to find out problems and solutions in planning and utilization to secure efficacy of spatial environmental plan through in-depth interviews in writing with experts and discussion among researchers. As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problem-solving, the followings were proposed: (1) harmony between program plans and physical plans of space; (2) establishment of a spatial environmental plan based on ‘participation’ of diverse stakeholders; (3) integration of guidelines for coordination between plans and setting of consultative organization; (4) enhancement of status of spatial environmental data by field such as biotope map; (5) strengthening of environment-related systems on national spatial data and building of consolidated system; (6) establishment of spatial environmental plan as criteria for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SEA)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and (7) support for strategic project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br> <br> <br>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 <br>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br> 가. 연구추진의 근거 <br> 나. 1차년도 연구의 주요 내용 <br> 다. 연구의 범위 <br> 라. 연구의 추진체계 및 방법 <br> <br> <br> <br>제2장 사례 및 관련문헌 분석 <br> <br> <br> <br>1. 국외 공간환경계획의 심층분석: 독일 사례를 중심으로 <br> 가. 독일의 공간환경계획 제도 <br> 나. 위계별 계획의 차별성 분석 <br> 다. 독일사례의 가이드라인에의 반영: 계획항목 도출을 중심으로 <br> <br>2. 국토이용 통합지침 분석 <br> 가. 국토이용 통합지침 작성의 배경 <br> 나. 정책지침의 주요 내용: 공간환경계획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br> 다. 통합지침의 가이드라인에의 반영 <br> <br>3. 사전환경성검토 관련 지침 분석 <br> 가. 사전환경성검토 업무 매뉴얼 분석: 공간환경계획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br> 나. 사전환경성검토 업무 매뉴얼의 가이드라인에의 반영 <br> <br> <br> <br>제3장 공간환경계획 수립을 위한 가이드라인: 광역시·도 단위를 중심으로 <br> <br> <br> <br>1. 가이드라인의 전체구성 <br> <br>2. 가이드라인의 제안 <br> 가. 자연생태 분야의 공간계획화 <br> 나. 자연경관 분야의 공간계획화 <br> 다. 토양·지하수 분야의 공간계획화 <br> 라. 연안·도서 분야의 공간계획화 <br> 마. 대기(기후) 분야의 공간계획화 <br> 바. 수환경 분야의 공간계획화 <br> 사. 소음 분야의 공간계획화 <br> 아. 에너지·폐기물 분야의 공간계획화 <br> 자. 자연재해 분야의 공간계획화 <br> <br>3. 공간환경계획의 종합 <br> <br> <br> <br>제4장 가이드라인의 사례적용: 경기도를 중심으로 <br> <br> <br> <br>1. 경기도 공간계획 및 환경계획 수립 현황 분석 <br> 가. 수도권정비계획 <br> 나. 2020년 수도권 광역도시계획 <br> 다. 경기도 환경보전계획 <br> 라. GMS(Growth Monitoring System) <br> <br>2. 공간환경정보의 파악 및 수집 <br> 가. 수치지도 <br> 나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br> 가. 연구추진의 근거 <br> 나. 1차년도 연구의 주요 내용 <br> 다. 연구의 범위 <br> 라. 연구의 추진체계 및 방법 <br> 제2장 사례 및 관련문헌 분석 <br> 1. 국외 공간환경계획의 심층분석: 독일 사례를 중심으로 <br> 가. 독일의 공간환경계획 제도 <br> 나. 위계별 계획의 차별성 분석 <br> 다. 독일사례의 가이드라인에의 반영: 계획항목 도출을 중심으로 <br> 2. 국토이용 통합지침 분석 <br> 가. 국토이용 통합지침 작성의 배경 <br> 나. 정책지침의 주요 내용: 공간환경계획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br> 다. 통합지침의 가이드라인에의 반영 <br> 3. 사전환경성검토 관련 지침 분석 <br> 가. 사전환경성검토 업무 매뉴얼 분석: 공간환경계획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br> 나. 사전환경성검토 업무 매뉴얼의 가이드라인에의 반영 <br> 제3장 공간환경계획 수립을 위한 가이드라인: 광역시·도 단위를 중심으로 <br> 1. 가이드라인의 전체구성 <br> 2. 가이드라인의 제안 <br> 가. 자연생태 분야의 공간계획화 <br> 나. 자연경관 분야의 공간계획화 <br> 다. 토양·지하수 분야의 공간계획화 <br> 라. 연안·도서 분야의 공간계획화 <br> 마. 대기(기후) 분야의 공간계획화 <br> 바. 수환경 분야의 공간계획화 <br> 사. 소음 분야의 공간계획화 <br> 아. 에너지·폐기물 분야의 공간계획화 <br> 자. 자연재해 분야의 공간계획화 <br> 3. 공간환경계획의 종합 <br> 제4장 가이드라인의 사례적용: 경기도를 중심으로 <br> 1. 경기도 공간계획 및 환경계획 수립 현황 분석 <br> 가. 수도권정비계획 <br> 나. 2020년 수도권 광역도시계획 <br> 다. 경기도 환경보전계획 <br> 라. GMS(Growth Monitoring System) <br> 2. 공간환경정보의 파악 및 수집 <br> 가. 수치지도 <br> 나. 위성영상 <br> 다. GIS 데이터 및 공간자료 구축 현황 <br> 3. 경기도의 공간환경계획 수립 <br> 가. 자연생태 분야의 공간환경계획의 수립 <br> 나. 자연경관 분야의 공간환경계획의 수립 <br> 다. 토양·지하수 분야의 공간환경계획의 수립 <br> 라. 연안·도서 분야의 공간환경계획의 수립 <br> 마. 대기(미기후) 분야의 공간환경계획의 수립 <br> 바. 수환경 분야의 공간환경계획의 수립 <br> 사. 소음 분야의 공간환경계획의 수립 <br> 아. 에너지·폐기물 분야의 공공간환경계획의 수립 <br> 자. 자연재해 분야의 공간환경계획의 수립 <br> 4. 경기도 지역 공간환경계획에의 종합 <br> 제5장 공간환경계획의 활용방안: 경기도를 중심으로 <br> 1. 도종합계획 및 도시기본계획에의 활용방안 <br> 가. 관련지침의 파악: 국토이용 통합지침의 심층 분석 <br> 나. 활용방안 제안: 예시를 중심으로 <br> 2. 도시관리계획 및 단위개발사업계획에서의 활용방안 <br> 가. 관련지침의 파악: 지구단위계획 수립지침 및 사전환경성 검토 <br> 나. 활용방안 제안: 예시를 중심으로 <br> 제6장 공간환경계획 효용성 증대를 위한 정책 제안 <br> 1. 공간환경계획의 효용성 확대를 위한 전략 <br> 2. 전략이행을 위한 정책 제안 <br> 가. 프로그램 계획과 공간의 물리적 계획 간의 조화 <br> 나. 다양한 이해당사자의 ‘참여’에 기반한 공간환경계획의 수립 <br> 다. 계획 간 협력을 위한 지침의 통합 및 협의기구 마련 <br> 라. 비오톱 지도 등 분야별 공간환경정보의 위상 강화 <br> 마. 국토공간정보체계에 대한 환경부문 시스템 강화 및 통합시스템 구축 <br> 바. 전략환경평가와 환경영향 평가의 기준으로서의 공간환경계획 <br> 사. 전략사업에 대한 지원정책 추진 <br> 제7장 결론 및 제언 <br> 1. 결론 및 요약 <br> 2. 제언 <br> 참고 문헌 <br> 부록 A. 공간정보시스템 구축 현황 <br> 부록 B. 경기도 GIS 데이터 구축 현황 <br> 부록 C. 생태·경관 보전지역 지정현황 <br> 부록 D. 자연생태 분야 보호지역 지정현황 <br> 부록 E. 경기도 지역 토양오염(중금속) 측정 현황 <br> 부록 F. 경기도 지역 대기오염 배출량 현황(3개년 평균) <br> 부록 G. 경기도 지역 대기오염 측정 현황(3개년 평균) <br> 부록 H. 「공간계획의 효율적 활용방안」을 위한 개방형 설문지 -
dc.format.extent 356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환경정보체계에 기반한 공간환경 계획 수립 가이드라인 마련 II -
dc.type 녹색성장연구 -
dc.title.original Spatial environmental planning guideline based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II -
dc.title.partname 녹색성장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0-03 -
dc.description.keyword 국토환경관리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최근 국가적으로 환경정보들을 DB화하고, 체계화하며 통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 속에서 공간정보들을 기반으로 한 공간환경계획은 공간의 관리방향을 보다 명확하게 함으로써 토지의 보전은 물론 이용과 관련된 각종 계획들 간의 상충을 합리적으로 조정하도록 합의하는 데 용이한 수단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광역시?도 단위의 공간환경계획 수립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공간환경계획의 활용방안 및 효용성 증대를 위한 제도적 개선안을 제시함으로써 공간환경계획의 수립과 실제적인 이용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① 사례 및 관련 문헌의 심층 분석, ② 광역시?도단위 공간환경계획 수립 가이드라인 마련, ③ 가이드라인의 사례적용, ④ 공간환경계획의 활용방안 및 ⑤ 공간환경계획 효용성 증대를 위한 정책제안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 광역시·도 단위 공간환경계획 수립을 위한 사례 및 관련문헌 고찰 국외 공간환경계획 수립 사례는 1차년도 연구에서 독일, 영국, 미국 등을 고찰한 바 있으며, 이번 연구에서는 독일의 공간환경계획(Landschaftsplanung) 사례를 심도 있게 고찰함으로써 공간 위계별 환경 현황 및 관리방안 마련은 물론 각 환경매체별로 다양한 종류의 환경지도 구축과 관련 계획 수립 시 활용·반영될 수 있도록 세부내용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시·도차원과 도시차원에서의 위계별 공간환경계획의 내용적 차별성을 중심으로 계획항목 및 내용을 도출하였다. 그와 함께 국토계획의 패러다임 변화를 수용하고 공간계획과의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토이용통합지침과 사전환경성 검토 매뉴얼을 심층 분석하여 가이드라인에 반영하였다. ■ 광역시·도 단위 공간환경계획 가이드라인 제시 및 사례적용 공간환경계획 수립 가이드라인은 1차년도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사례분석과 관련문헌 고찰을 통해 도출된 계획항목 및 주요내용을 반영하였으며, 관련법, 관련 지침 및 규정 등의 고찰을 기반으로 광역시·도 단위 위계에 맞게 구체화하였다. 총 9개 분야(자연생태, 자연경관, 토양·지하수, 연안·도서, 대기·기후, 수환경, 소음, 에너지·폐기물, 자연재해)별 가이드라인이 작성되었으며, 각 분야별 가이드라인은 ① 공간환경계획의 기본방향 및 연계 가능한 계획 ② 계획 항목별 활용 가능한 환경관련 공간정보 ③ 공간환경 현황 구축 및 관리계획 수립 가이드라인 및 ④ 공간환경계획의 활용방안 등으로 구성하였다. 제시된 가이드라인은 실제 사례지역에 적용해 봄으로써 효용성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가이드라인의 수정·보완을 수행하였다. 사례지의 선정은 다양한 환경적 이슈의 존재유무와 광역시·도의 대표성, 공간환경정보 구축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경기도가 선정되었다. 또한, 최종 가이드라인의 확정 과정에는 계획수립 전문가 및 관계자 등을 중심으로 한 간담회 결과와 관련 정부부처 및 관련분야 전문가의 서면검토 내용 등이 반영되었다. ■ 공간환경계획의 효용성 증대를 위한 활용방안 제시 및 정책 제안 공간환경계획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환경보전계획 수립에의 반영뿐만 아니라 공간계획 및 단위개발 사업계획에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하였다. 도종합계획 및 도시기본계획 관련지침을 분석하여 연계 가능한 계획분야와 반영 가능한 내용을 제시하였으며, 활용방안 제안의 구체성을 담기 위해 연구의 중점 사례지역이었던 경기도를 대상으로 한 관련 계획 및 개발사업 등을 예시로 제안하였다. 이와 더불어 전문가 서면 심층인터뷰 및 연구진의 논의 과정을 통해 공간환경계획의 효용성 확보를 위한 계획수립 및 활용차원에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문제점 해결을 위한 실행 전략으로는 ① 프로그램계획과 공간의 물리적 계획 간의 조화, ② 다양한 이해당사자의 ‘참여’에 기반한 공간환경계획의 수립, ③ 계획간 협력을 위한 지침의 통합 및 협의기구 마련, ④ 비오톱 지도 등 분야별 공간환경정보의 위상 강화, ⑤ 국토공간정보체계에 대한 환경부문 시스템 강화 및 통합시스템 구축, ⑥ 전략환경평가와 환경영향평가의 기준으로서의 공간환경계획, ⑦ 전략사업에 대한 지원정책의 추진 등이 제안되었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oi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ee-Sun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Green Growth(녹색성장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