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자연자원의 현명한 이용전략 수립 II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박창석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5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5Z -
dc.date.issued 20101231 -
dc.identifier A 환1185 녹색2010-06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503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녹색2010-06_(박창석)[1].pdf -
dc.description.abstract Development of Wise Use and Smart Conservation Strategies for Natural Resources in Korea II The international context for the potential use an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is rapidly changing as natural resources have transcended their simple environmental function, evolving into matrices for providing multiple social and economic functions in a complex and mutual relationship. Thus, these resources are a key factor in evaluating environmental as well as economic resources which have regional development potential. Mos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the governments of advanced countries carefully keep observation on “wise use” of resources in relation to regional development. As a development concept, “wise use” refers to the sustainable use of natural resources that have high conservation value, ensuring that such resources are both conserved and made available as a potential opportunity factor for regional development. In fact, the aforementioned organizations and governments have consistently pursued policies that promote regional development based on natural resources. However, Korea is just beginning to discuss “wise use” of natural resources. New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that can pursue regional economic revitalization while simultaneously creating new value in environmental terms will be needed. Inparticular, the difference of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that lead to regional development using limited natural resources will be required. To this 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grounds for customized developing strategies which consider regional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regional classifications in Korea. The methods of this study were based on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questionnaires answered by experts, brainstorming, GIS DB construction, and spatial analysis. A study on regional classification based 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natural resources includes the following procedure: 1) GIS DB construction for natural resources and case study review; 2) determination of weight; 3) regional classification and verification, and; 4) establishing development strategies. As a result, regional types can be classified into 5 types as biological species/genetic resources, ecosystem/landscape resources, and non-living thing resources. In particular, ecosystem/landscape resources are subdivided further into 3 types as land resources, coastal resources, and natural scenery resources. Next, we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ibution possibilities of regional classification in regional development and wise-use strategies of natural resources. Last, we proposed the basic direction of regional development and political implications for each of the 3 natural resources types delineated in this study. There is a need for a systematic and political plan to natural resource management that can realize customized strategies by regional types based on natural resources under awareness of wise use. Further study will focus on suggesting wise use strategies for natural resources by building a development model according to classified regional types. Ultimately, this study is expe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people and create new value in environmental terms by suggesting wise use of and smart conservation strategies for natural resources that can pursue regional economic revitalizati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br> <br> <br>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 <br>2. 연구의 목적 <br> <br>3. 선행연구 고찰 <br> <br>4. 연구의 내용과 방법 <br> 가. 연구내용 <br> 나. 연구방법 <br> 다. 연구과정 <br> <br> <br> <br>제2장 지역발전과 지역유형화 <br> <br> <br> <br>1. 지역발전 관련 이론 검토 <br> <br>2.지 역유형화를 위한 선행연구 및 분석지표 고찰 <br> 가. 지역유형 구분 관련 선행연구 검토 <br> 나. 분석지표 관련 선행연구 검토 <br> 다. 분석기법 관련 선행연구 검토 <br> <br>3.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의 자연자원 활용전략 <br> <br> <br> <br>제3장 자연자원에 기초한 지역유형화 및 특성 분석 <br> <br> <br> <br>1. 분석틀 설정 <br> <br>2. 자연자원에 기초한 지역유형화 <br> 가. 자연자원 분포특성 분석 <br> 나. 지역유형화 <br> <br>3. 지역유형별 특성 분석과 현명한 이용전략 <br> 가. 지역유형별 특성 분석 <br> 나. 현명한 이용전략 평가 <br> <br> <br> <br>제4장 자연자원에 기초한 지역유형별 발전 방향과 특성화 전략 <br> <br> <br> <br>1. 지역유형화의 의의와 차별성 <br> <br>2. 자연자원에 기초한 지역유형별 특성화 전략 <br> 가. 자연자원에 기초한 지역유형의 공간화 전략 <br> 나. 지역유형별 발전 전략과 정책 제언 <br> <br> <br> <br>제5장 결론 <br> <br> <br> <br>1. 연구의 의의 및 특징 <br> <br>2. 연구의 한계와 향후과제 <br> <br> <br> <br> 참고 문헌 <br> <br> DB 목록 및 자료 출처 <br> <br> 전문가 설문조사지 <br> <br> 자원유형별 평가도면 <br> <br> 요인분석 결과 <br> <br> 평가지표별 LQ지수 <br> <br>Abstract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 2. 연구의 목적 <br> 3. 선행연구 고찰 <br> 4. 연구의 내용과 방법 <br> 가. 연구내용 <br> 나. 연구방법 <br> 다. 연구과정 <br> 제2장 지역발전과 지역유형화 <br> 1. 지역발전 관련 이론 검토 <br> 2. 지역유형화를 위한 선행연구 및 분석지표 고찰 <br> 가. 지역유형 구분 관련 선행연구 검토 <br> 나. 분석지표 관련 선행연구 검토 <br> 다. 분석기법 관련 선행연구 검토 <br> 3.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의 자연자원 활용전략 <br> 제3장 자연자원에 기초한 지역유형화 및 특성 분석 <br> 1. 분석틀 설정 <br> 2. 자연자원에 기초한 지역유형화 <br> 가. 자연자원 분포특성 분석 <br> 나. 지역유형화 <br> 3. 지역유형별 특성 분석과 현명한 이용전략 <br> 가. 지역유형별 특성 분석 <br> 나. 현명한 이용전략 평가 <br> 제4장 자연자원에 기초한 지역유형별 발전 방향과 특성화 전략 <br> 1. 지역유형화의 의의와 차별성 <br> 2. 자연자원에 기초한 지역유형별 특성화 전략 <br> 가. 자연자원에 기초한 지역유형의 공간화 전략 <br> 나. 지역유형별 발전 전략과 정책 제언 <br> 제5장 결론 <br> 1. 연구의 의의 및 특징 <br> 2. 연구의 한계와 향후과제 <br> 참고 문헌 <br> DB 목록 및 자료 출처 <br> 전문가 설문조사지 <br> 자원유형별 평가도면 <br> 요인분석 결과 <br> 평가지표별 LQ지수 <br> Abstract -
dc.format.extent 142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국토자연자원의 현명한 이용전략 수립 II -
dc.type 녹색성장연구 -
dc.title.original Development of wise use and smart conservation strategies for natural resources in korea II -
dc.title.partname 녹색성장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0-06 -
dc.description.keyword 국토환경관리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본 연구는 자연자원에 기초한 지역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국토자연자원의 보전 및 현명한 이용 전략 마련을 주목적으로 한다. 이번 2차연도 연구에서는 국토자연자원 분포특성과 잠재력 분석을 통해 국토차원에서의 지역유형을 분석함으로써 지역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발전전략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모두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서 론 본 장은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연구의 목적, 선행연구 고찰, 연구의 내용과 방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한정된 자연자원을 활용하여 지역발전을 효과적으로 도모하기 위해서는 해당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자연자원의 분포특성을 규명하고 지역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지역발전 전략의 수립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에서 출발한다. 연구의 목적은 국토자연자원 분포특성과 잠재력 분석을 통한 국토차원에서의 지역유형 분석이며, 이를 위해 지역발전 및 지역유형화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국토자연자원의 분포특성 분석, 분석지표 선정 및 평가, 자연자원에 기초한 지역유형화, 유형별 특성 및 지역발전 전략 방향 등을 제시하는 것이다. 공간적 범위는 전국을 대상으로 하며, 지역유형화 분석은 전국의 시·군 단위를 활용한다. 연구방법은 국내?외 문헌분석 및 국내 우수사례 현지 조사, 전문가 설문조사, 브레인스토밍 회의, GIS DB 구축 및 공간분석 등을 중심으로 한다. 제2장 지역발전과 지역유형화 본 장에서는 지역발전과 지역유형화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정리하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의 자연자원 활용전략을 검토하였다. 지역발전은 지역 유형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지역의 특성을 보다 잘 이해하고 파악하기 위해서는 지역유형 구분이 필요하다. 이에 지역역량, 지역잠재력, 지역경쟁력 등의 지역발전 구성요소의 개념과 지역발전 결정요인으로서의 자원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또한 지역유형 구분, 지역유형화 분석지표, 분석기법 등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본 연구에 적용 가능한 분석지표 및 기법을 살펴보았다. 유네스코는 생물권보전지역(Biosphere Reserve)에서 지역 고유의 자원을 보전하면서 사회?경제적으로 지속가능하게 활용하기 위한 질적 경제(Quality Economies)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자원에 기초한 지역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생물권보전지역의 대표적 우수 사례들을 고찰하여 생물권보전지역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현명한 이용전략들을 검토하였다. 제3장 자연자원에 기초한 지역유형화 및 특성 분석 본 장은 지역유형화의 분석틀을 설정하고, 자연자원에 기초한 지역유형화 과정과 유형별 특성 분석 및 현명한 이용전략 평가를 제시하였다. 국토자연자원의 분포특성에 기반한 지역유형화는 1) 자연자원 DB 및 활용사례 구축, 2) 가중치 도출, 3) 지역유형화 및 검증, 4) 발전전략 도출의 단계로 진행된다. 자연자원 DB는 분포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현황자료를 중심으로 구축하였으며, 시·군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각 지역별 자원의 수와 면적 등을 분석하여 5개 등급으로 평가하였다. 지역유형화는 분석지표 선정과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한 가중치 적용을 토대로 지수 분석 및 LQ 분석에 따라 실시되었다. 그 결과, 생물종?유전자자원, 생태계?경관자원, 무생물자원의 지역유형을 도출하였으며, 특히 생태계?경관자원은 육상자연자원, 연안자연자원, 자연경관자원으로 세분류됨에 따라 총 5개 지역유형 분석이 이루어졌다. 지역유형 결과의 차이검증을 위해 자연자원의 활용잠재력 측정지표에 대한 통계적 검증을 실시하여 자연자원 유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지역유형의 지역발전으로의 기여가능성과 국토자연자원의 현명한 이용전략과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이 과정은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제4장 자연자원에 기초한 지역유형별 발전 방향과 특성화 전략 본 장은 지역유형화의 의의와 차별성, 자연자원에 기초한 지역유형별 특성화 전략 및 정책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차별화된 지역발전 정책의 적용의 한 시도로서 자연자원에 기초한 지역유형화가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역유형과 현재 중앙부처를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는 지역유형 구분을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도출된 지역유형의 차별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발굴된 자연자원의 분포특성을 고려하면서 개별 자원을 서로 연계시킬 수 있는 공간화 전략의 예를 제시하고, 본 연구의 3개 자연자원 유형(생물종?유전자자원, 생태계?경관자원, 무생물자원)별로 지역발전의 방향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제5장 결론 본 장은 연구의 의의 및 특징, 연구의 한계 및 향후과제에 대해 제시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자연자원 관리 패러다임이 ‘보전’ 중심에서 ‘보전을 전제로 한 현명한 이용(wise use)’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제 자연자원은 환경적 기능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기능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환경자원인 동시에 지역발전의 잠재력을 내포한 경제자원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모든 자연자원이 지역발전의 기회자원으로 활용되는 것은 아니다. 한정된 자연자원을 활용하여 지역발전을 효과적으로 도모하기 위해서는 지역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지역발전 전략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자연자원에 초점을 맞춰 자연자원의 유형별로 차별화된 지역유형을 구분하고, 자연자원의 풍부도에 기반한 분포특성과 잠재력 분석에 기초한 지역유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보호자원 뿐만 아니라 일반자원에 대한 고려를 병행하는 한편 특이지역을 추출함으로써 새로운 자원 발굴 모색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점이 있다. 국토자연자원에 기초한 지역유형화와 유형별 맞춤형 전략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국토자연자원의 현명한 이용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자연자원의 발굴에서부터 활용에 이르는 체계적이고 제도적인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후속 연구에서는 도출된 지역유형별 발전 모델 및 추진방안을 제시하고 국토자연자원의 현명한 이용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자연자원에 기초한 지역발전과 활성화를 위한 국토자연자원의 보전 및 현명한 이용전략을 마련함으로써 새로운 국토환경가치를 창출하고 국민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Park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ang-Sug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Green Growth(녹색성장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