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관리 취약성과 물안보 전략 II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김익재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6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6Z -
dc.date.issued 20101231 -
dc.identifier A 환1185 녹색2010-14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511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녹색2010-14_(김익재)[1].pdf -
dc.description.abstract The Assessment of the Vulnerabilities in Water Management Systems and Formulation of Water Security Strategy (II) Recently, social development has made water management more complex, compounded by climate change potentially intensifying the complexities. To cope with such challenges, experts have suggested managing water from the perspective of water security because ensuring water security is essential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the water sector. A traditional standpoint on water management has focused only on certain facets of water, making holistic approaches on water management difficult to achieve. Therefore, we need to incorporate a new perspective on water management and water security which can encompass the following insights. First the concept of water security shoul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water in a given society. Such concept enables residents and policy-makers alike to consider the non-economical aspects of water. In addition, water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a society, not as an individual matter, and adopt possible holistic approaches. Unlike the traditional water management system, the said concept focused on water security covers broader aspects of water including flood, drought, water quality, and the ecosystem. In particular, it emphasizes the sustainable access to adequate quantity and acceptable quality of water for human consumption as well as the ecosystem.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has been examining the vulnerabilities of existing water management policies and developing a new water security strategy since 2009. The ultimate goal is to develop a water security vision and strategy appropriate for Korea so as to equip the nation with effective coping mechanisms against the challenges of climate change. This year (2010), the study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technical assessment of the vulnerabilities in the water monitoring system, while simultaneously searching for recommendations on possible directions for implementing integrated water resource management (IWRM) as a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The phase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overall review of the water management policies and strategies of selected developed countries, i.e. U.S., U.K., Japan, and Australia was undertaken, as said nations are preparing their water management strategies for climate change. In these countries, a science-based quantitative assessment on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provided the basis for formulation of strategies. In case of the U.S., for example, the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published a national water program strategy in 2008 and has been checking the progress annually.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Ministry of Land, Maritime and Transportation (MLTM) recently published “Future Water Management Strategy to Cope with Climate Change,”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E) and other related governmental agencies recently finished “Measures to Establish Safe Water Management Framework against Climate Change” as a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y” in the water sector. Though these policies signify important advances in water management, more efforts are still necessary to prepare and apply specific implementation plans. Second, the study reviewed the vulnerabilities in water monitoring systems, particularly those for rainfall, water discharge, and water quality. The existing rainfall monitoring stations, for example, cover most of the South Korean territory, but they are operated by different agencies which lack coordination among themselves. H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ies and knowledge infrastructure which can utilize the scattered rainfall monitoring data. In addition, the transboundary reg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s have a low density of rainfall monitoring stations, entailing construction of more stations in those areas. Also, in comparison to Japan, the density of water discharge monitoring stations is low in Korea and more monitoring stations are necessary. The current system, moreover, suffers from a lack of continuous measurement, standardized procedures, and official hydrological data approving standards. As such, the study recommended that the monitoring criteria be revised to comprehensively incorporate potential impacts of climate change. Because the monitoring data are produced by different agencies, the integrated data management and the improvement of data-sharing system are necessary to reduce congestion and redundancy as well as improve efficiency and comprehensiveness. Finally, an analysis of the vulnerabilities in the water environment policies was carried out, demonstrating that the flaws in current policies mainly result from the non-integrated nature of the management. In particular, the discrete management of water quality and quantity by MLTM and ME, respectively, has generated numerous problems, which will only be amplified by future climate change. Therefore, a fundamental revision of the current system is crucial. Water quality policies need to be planned and implemented in the context of IWRM. Currently, the National Assembly is discussing Basic Law of Water Management (Draft), which can be considered as a path to IWRM.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draft law does not fully cover the issues of water environment. Ultimately the draft needs to present objectives and directions for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definition of water management in the draft prescribe the critical water issues such as water quantity, water quality, water discharge, the ecosystem, etc. The concept and methodology of IWRM are considered to be the best approach toward adapting to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water sector. If the Basic Law of Water Management (Draft) is passed, the bill will significantly transform the current institutional systems of water management, paving the way to a basic water management plan which covers a gamut of whole water issues. IWRM requires the management of human activities in a watershed as well as the water body. In Korea,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ME) and River Flood Control Office (MLTM) take charge of watershed management, but their services are clearly divided into water quality and flood prevention. Because the current system is far from being an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it should be revised for effective and all-encompassing water management as previously discussed. Moreover, the Four-River Restoration Project will generate pressing issues such as flood & drought management,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water-front development. In such context, IWRM and watershed management prove to be matters of great significance. Specific recommendations on water policies have already been mentioned above, the synopses of which are as follows. First, we need to ensure clean and adequate quantity of wat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ecured water should have acceptable quality as well as adequate quantity. Second, we need to prepare and prevent extreme floods and droughts. As always, there is no guarantee that current practice will be valid in the future, so we need to find the vulnerabilities in water resource infrastructures, water environment facilities, and coastal areas in order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in a timely manner. Third, both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s need to be improved. In so doing, a thorough implementation of current water protection policies will be the first task. Fourth, the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GHGs) from water management needs to be reduced. Finally, we need to establish a legal framework by which to conciliate water-related conflicts. For all of the recommendations discussed above, policy-makers need to review and revise the established policies and actions according to the latest scientific informati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br> <br> <br>1. 연구 배경 및 목적 <br> <br>2. 연구 내용 및 방법 <br> 가. 1, 2차년도 주요 연구 내용 <br> 나. 연구 방법 <br> <br> <br> <br>제2장 국가별 기후변화 대응 물관리 동향 분석 <br> <br> <br> <br>1. 국내 동향 <br> 가. 기후변화 대응 미래 수자원 전략 <br> 나.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물 부문) <br> <br>2. 해외 동향 <br> 가. 미국 <br> 나. 영국 <br> 다. 일본 <br> 라. 호주 <br> <br>3. 소결 <br> <br> <br> <br>제3장 물환경 모니터링 및 제도의 취약성 분석 <br> <br> <br> <br>1. 강우 모니터링 시스템의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 및 평가 <br> 가. 강우 모니터링 시스템 현황 <br> 나. 강우 모니터링 시스템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br> 다. 기후변화를 고려한 강우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선 방안 <br> <br>2. 유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취약성 분석 및 평가 <br> 가. 유량 모니터링 시스템 현황 <br> 나. 유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br> <br>3.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취약성 분석 및 평가 <br> 가.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현황 <br> 나.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문제점 <br> 다. 기후변화를 고려한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선 방안 <br> <br>4. 물환경 정책 및 제도의 개선 방안 <br> 가. 물환경 관련 법제도 현황 <br> 나. 물환경 관련 법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br> 다. 기후변화를 고려한 물환경 관리 방향 <br> 라. 물환경 측면에서 물관리기본법(안)의 보완점 <br> <br>5. 소결 <br> <br> <br> <br>제4장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통합 유역 물관리 구축 방향 <br> <br> <br> <br>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통합 유역 물관리 및 유역관리의 필요성 <br> <br>2. 통합 유역 물관리 계획의 수립 및 적용 방안 <br> 가. 통합 유역 물관리 계획의 구축 <br> 나. 통합 유역 물관리 계획의 구성 체계 <br> 다. 통합 유역 물관리 계획의 적용 방안 <br> <br>3. 통합 유역 물관리 적용을 위한 유역관리 방향 <br> 가. 유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 배경 및 목적 <br> 2. 연구 내용 및 방법 <br> 가. 1, 2차년도 주요 연구 내용 <br> 나. 연구 방법 <br> <br> 제2장 국가별 기후변화 대응 물관리 동향 분석 <br> 1. 국내 동향 <br> 가. 기후변화 대응 미래 수자원 전략 <br> 나.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물 부문) <br> 2. 해외 동향 <br> 가. 미국 <br> 나. 영국 <br> 다. 일본 <br> 라. 호주 <br> 3. 소결 <br> <br> 제3장 물환경 모니터링 및 제도의 취약성 분석 <br> 1. 강우 모니터링 시스템의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 및 평가 <br> 가. 강우 모니터링 시스템 현황 <br> 나. 강우 모니터링 시스템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br> 다. 기후변화를 고려한 강우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선 방안 <br> 2. 유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취약성 분석 및 평가 <br> 가. 유량 모니터링 시스템 현황 <br> 나. 유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br> 3.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취약성 분석 및 평가 <br> 가.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현황 <br> 나.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문제점 <br> 다. 기후변화를 고려한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선 방안 <br> 4. 물환경 정책 및 제도의 개선 방안 <br> 가. 물환경 관련 법제도 현황 <br> 나. 물환경 관련 법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br> 다. 기후변화를 고려한 물환경 관리 방향 <br> 라. 물환경 측면에서 물관리기본법(안)의 보완점 <br> 5. 소결 <br> <br> 제4장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통합 유역 물관리 구축 방향 <br> 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통합 유역 물관리 및 유역관리의 필요성 <br> 2. 통합 유역 물관리 계획의 수립 및 적용 방안 <br> 가. 통합 유역 물관리 계획의 구축 <br> 나. 통합 유역 물관리 계획의 구성 체계 <br> 다. 통합 유역 물관리 계획의 적용 방안 <br> 3. 통합 유역 물관리 적용을 위한 유역관리 방향 <br> 가. 유역관리의 기본 틀 <br> 나. 국내 유역관리 현황 및 문제점 <br> 다. 기후변화를 고려한 유역관리 방향 <br> 라. 4대강 살리기 사업 이후의 과제 <br> 4. 소결 <br> 제5장 종합 결론 및 정책 제언 <br> 1. 종합 결론 <br> 2. 정책 제언 및 향후 정책 방향 <br> 가. 정책 제언 <br> 나. 국가 물안보 확보를 위한 정책 방향 <br> <br> 참고 문헌 <br> <br> 불확실성을 고려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선정 방안 <br> 하수처리장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방법 <br> 물안보 지표 사례 및 국가 물안보 지표 개발 방향 <br> <br> Abstract -
dc.format.extent 200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물관리 취약성과 물안보 전략 II -
dc.type 녹색성장연구 -
dc.title.original The assessment of the vulnerabilities in water management systems and formulation water security strategy II -
dc.title.partname 녹색성장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0-14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사회 성장과 기후변화에 따라 물관리가 더욱 복잡해지고 난해한 상황에 슬기롭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물을 ‘안보’의 차원에서 다루어야 한다고, 즉 물안보(水安保, water security)를 확보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제기하고 있다. 예전에 겪어보지 못한 수자원 환경의 변화는 기존 ‘단편적 관리'의 제한적 개념 아래에서는 물과 사회의 복잡한 관계를 제대로 반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물안보라는 개념을 사용하면 사회 구성원들이 물을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필수 자원임을 중요하게 인식하게 하고, 동시에 물과 관련된 국가 안보 요소들(예: 식량안보, 보건안보 등)도 함께 고려하도록 촉구할 수 있다. 또한, 사회와 자연환경 전체적 맥락에서 물 문제를 통합적으로 진단하는 데 물안보라는 개념은 매우 유용하다. 물안보 개념의 특징은 홍수, 가뭄, 수질 등 물의 여러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며 ‘양질의 충분한 물에 대한 지속가능한 접근권'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진은 물안보 개념에 입각하여 기존 물관리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보다 포괄적이며 종합적 물 부문의 기후변화 대응정책을 마련하는 연구를 ’09년부터 진행하고 있다. ’09~’11년까지 진행되는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국가 물안보를 확보할 수 있는 비전과 전략을 도출하는 것이다. 2차년도 올해에는 먼저 국내?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책 및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내 물관리 모니터링 시스템과 물환경 법제도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통합 유역 물관리 및 유역관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으며, 부록에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에 있어서 불확실성에 대한 연구와 하수처리장에 대한 취약성 평가 방법론, 물안보 지표개발에 대한 연구과 고찰을 담았다. 먼저 미국, 영국, 일본, 호주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물 부분의 영향에 대한 과학적이고 정량적 평가에 기초한 대응 전략을 준비하고 있었다. 전략에 입각하여 부분별로 주요 실행계획을 수립하였으며, 미국의 경우에는 기후변화 대응정책의 진행 상황을 매해 점검하여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었다. 국내에서는 국토해양부가 ‘기후변화 대응 미래 수자원 전략'을 발표하였으며,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의 일환으로 ‘기후변화로부터 안전한 물관리 체계 구축' 대책이 계획 및 진행되고 있었다. 그러나 물과 관련된 전 부문을 종합적으로 아우를 수 있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는 아직 부족한 점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강우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평가 결과, 북한과 접한 지역을 제외하고는 강우 관측망의 취약성은 전체적으로 낮게 분석되었다. 그리고 기후변화를 고려하더라도 취약성 지수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수문?기상 레이더 등 강우관측망의 하드웨어는 상당한 수준에 이른 것으로 보이나 이러한 첨단기기를 활용하는 기술과 지식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특히, 도시지역에서의 강우 예측을 위해 지상 우량계, 레이더, 인공위성 등을 활용하는 입체적인 강우관측시스템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관측밀도가 낮은 남북 공유하천 지역의 물안보를 확보하기 위하여 강우, 유량,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을 고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수문관측소의 밀도가 우리와 지형학적?수문학적 특성이 유사한 일본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관측소의 증설에 대한 추가 평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유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영 측면에서도 매해 유량 측정이 가능하도록 인력과 예산을 투자하고, 유량 측정방법을 표준화하며, 관측 자료의 공인 및 배포 절차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국가수질측정망, 지하수 수질측정망,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등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은 개별 측정망의 운영 주체 및 설립 목적에 따라 목표달성평가 항목만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통합적인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개별 측정망을 조정?관리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판단된다. 그리고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모니터링 항목을 관리하고 현행 측정 지점과 빈도에 대한 점검이 필요할 것이다. 물환경 관련 법제도에 대한 분석 결과, 환경부?국토해양부 등 각 부처별로 분산된 물관리 체계가 가장 큰 문제로 분석되었다. 물관리 법령이 부처별로 산재되어 있고 수량과 수질이 이원화되어 관리되면서 중요한 물관리 국가계획인 물환경기본계획과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이 각기 수질과 수량 위주로 작성되고 있었다. 따라서 전문가?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토론 등 의견수렴이 필요하며, 수량?수질의 연계관리를 포함해 통합 유역 물관리 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법제도의 정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현재 논의 중인 「물관리기본법(안)」은 통합 유역 물관리를 위한 진전으로 평가되지만, 물환경과 관련된 제도적 요소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본법의 성격과 위상에 걸맞게 물환경의 목표 및 방향을 보다 명확하게 제시하도록 보완할 필요가 있다. 수자원의 경제적 효율성을 최대화하면서 동시에 사회적 형평성과 환경 및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도모하는 통합 유역 물관리의 철학과 방법론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접근 방법이다. 통합 유역 물관리를 위한 법안이 통과된다면 행정 제도 및 관리 체계의 개편과 함께 물관리 전반을 규정하는 물관리기본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통합 유역 물관리가 유명무실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물관리기본계획의 실행력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전문적인 물관리 정책을 심의?조정하는 기구가 신설되어야 할 것이다. 통합 유역 물관리를 위해서는 수체에 대한 관리뿐 아니라 유역에서 벌어지는 인간 행위를 통합?조정?관리하는 유역관리가 수반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행 유역관리청이나 홍수통제소의 유역관리는 각각 수질과 수량에 한정되어 업무가 수행되며 토지개발, 도시계획 등 다른 국토계획과 연계성이 부족한 것이 한계로 지적되었다. 4대강 살리기 사업 후에 홍수?가뭄 관리, 수질 개선, 수변지역의 개발을 위해서는 유역관리를 통한 통합 유역 물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현행 체계에서 유역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의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장기적으로 물관리 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개편을 통해 통합 유역 물관리 및 유역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지난 기간 동안 통합 유역 물관리 구현을 위한 시도와 노력이 여러 차례 있었고 상황과 여건에 따라 결정이 미루어져 왔다. 현재 「물관리기본법(안)」이 국회에 계류 중이며 몇 차례이 토론회가 개최되었지만,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내용 외에도 다른 여러 물관리 세부 분야에 대한 기술적?정책적인 분석이 필요하며, 세부 부분에 대한 연구결과를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기후변화 대응 국가 물안보 확보 전략이 수립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전략은 양질의 수자원 확보, 극대 홍수 및 극대 가뭄에 대한 대비, 물환경의 개선 및 증진, 물관리 전반에서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 물 갈등을 조정하기 위한 법제도의 마련과 같은 사항에 대한 원칙과 방향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im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Ik-Jae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Green Growth(녹색성장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