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물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환경ㆍ사회안전망 구축방안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홍용석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7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7Z -
dc.date.issued 20101110 -
dc.identifier A 환1185 WP2010-03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520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WP2010-03홍용석(0)[1].pdf -
dc.description.abstract Approaches to the Safety of Manufactured Nanomaterials Nanotechnology offers the promise of unprecedented scientific advancement for many sectors, such as information technology, material science, energy, medicine, biotechnology, and consumer products. Research on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nanotechnology continues to expand rapidly worldwide. Korea government also drove the national nanotechnolgy development plan in 2001 and Korea has become one of the leader on nanotechnolgy field. While nanomaterials presents seemingly limitless possibilities, however, they also bring adverse effects on environmental, social, and human health. Korea has been participating on the OECD project on WPMN and the development of ISO international standards. However, the national investments on the safety part comparing to R&D parts and the national policy on the safety of manufactured nanomaterials have been negligent. USA has invested around 6% of total nano R&D project on the nano safety and EU also has started on the LCA project on the manufactured nanomaterials. In addition, advanced countries already started the research on environmental, health, and safety (EHS) issues. Such that EPA has been working on making guideline for safe nanotechnology in the workplace as well as regulations to control pontential harmful nanomaterials through TSCA and FIFRA. ECHA, EMEA, and EFSA in EU are also trying to making regulations to secure safety from nanomaterials and consumer nano-products that may have side effects. Research on the safety of manufactured nanomateris is essential not only for securing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but for securing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successfully reaching commercialization about nanotechnology. It is about time to initiate a national programme of the safety of manufactured nanotechnology for enhancing economic, social, and public acceptability of nanotechnolog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서 론 <br> <br> <br> <br>제2장·나노기술 정책현황 <br> <br> <br> <br>1. 미국 <br> <br> 가. 정책추진 개요 <br> 나. NNI의 정책추진 체계 <br> 다. 국가나노기술전략(NNI) 세부 내용 및 참여 부처 <br> <br>2. 유럽연합 (EU) <br> <br> 가. 정책추진 개요 <br> 나. EC의 정책추진 체계 <br> <br>3. 한국 <br> <br> 가. 정책추진 개요 <br> 나.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br> 다. 정책추진 체계 <br> <br> <br> <br>제3장·나노물질 국제환경규제 동향 <br> <br> <br> <br>1. 미국 <br> <br> 가. 연방살충살균살서제법(FIFRA) <br> 나. 독성물질관리법(TSCA) <br> 다. 식품·의약품·화장품 연방법(FDCA) <br> 라. 기타 규제 움직임 <br> <br>2. 유럽연합 <br> <br> 가. 유해물질 제한지침(RoHS) <br> 나. 신규화학물질 관리제도(REACH) <br> 다. 화장품지침(Cosmetics Directive) <br> 라. 기타 규제 움직임 <br> <br> <br> <br>제4장·시사점 및 제도적·정책적 과제 <br> <br> <br> <br>참고 문헌 <br> <br>Abstract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제1장·서 론 <br> 제2장·나노기술 정책현황 <br> 1. 미국 <br> 가. 정책추진 개요 <br> 나. NNI의 정책추진 체계 <br> 다. 국가나노기술전략(NNI) 세부 내용 및 참여 부처 <br> 2. 유럽연합 (EU) <br> 가. 정책추진 개요 <br> 나. EC의 정책추진 체계 <br> 3. 한국 <br> 가. 정책추진 개요 <br> 나.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br> 다. 정책추진 체계 <br> 제3장·나노물질 국제환경규제 동향 <br> 1. 미국 <br> 가. 연방살충살균살서제법(FIFRA) <br> 나. 독성물질관리법(TSCA) <br> 다. 식품·의약품·화장품 연방법(FDCA) <br> 라. 기타 규제 움직임 <br> 2. 유럽연합 <br> 가. 유해물질 제한지침(RoHS) <br> 나. 신규화학물질 관리제도(REACH) <br> 다. 화장품지침(Cosmetics Directive) <br> 라. 기타 규제 움직임 <br> 제4장·시사점 및 제도적·정책적 과제 <br> 참고 문헌 <br> Abstract <br> -
dc.format.extent 23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나노물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환경ㆍ사회안전망 구축방안 연구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Approaches to the safety of manufactured nanomaterials -
dc.title.partname Working Paper -
dc.title.partnumber 2010-03 -
dc.description.keyword 환경보건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 요약 나노기술은 정보, 재료소재, 에너지, 의학 및 생명공학 등 각종분야에서 적용되는 최첨단 과학기술로서 세계 각국은 나노기술을 적용하고 응용하기 위한 연구개발을 앞 다투어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01년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을 신속하게 수립하고 추진하여 현재 세계적인 나노기술 보유국의 하나로서 선도적 지위를 얻고 있다. 나노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다양한 활용성으로 현재 우리는 다양한 나노제품을 접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일부 나노물질에 대한 위해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어 나노기술의 안전한 환경적, 사회적 수용성 문제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나노기술 4대 강대국의 위상에 맞추어 OECD의 WPMN 안전성평가 지원사업에서 은나노 등 5개 물질에 대하여 참여하고 있으며 ISO 국제표준화 사업에 대한 표준분야에서도 활동을 하고 있다. 그러나 기술개발 부문과 비교하여 안전성 부문의 투자 우선순위가 매우 낮고 중장기적인 종합적 추진체계가 미흡하여 안전관리 대책 마련에 어려움이 있다. 미국의 경우 최근 나노관련 연구비의 6% 이상을 환경, 보건 및 안전성 분야에 투자하고 있으며 유럽연합 또한 나노구조체 및 나노제품의 전 과정 위험 평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편, 선진국들은 나노기술 발전에 따른 경제·사회·문화에 대한 영향 분석을 이미 시작·진행하였고 나노물질 및 제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직접적인 위해로부터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 중이다. 미국은 EPA 주도로 독성물질관리법(TSCA)과 연방살충살균살서제법(FIFRA)을 통하여 안전성이 미 확보된 나노물질에 대하여 신고 및 벌금을 부과하는 등 규제 장치를 마련하는 한편 작업장 안전 가이드라인 마련 등 나노물질 안전관련 각종 가이드라인 제정에 힘쓰고 있다. EU에서도 유럽화학청(ECHA)와 유럽의약품평가청(EMEA), 그리고 유럽식품안전청(EFSA)을 중심으로 나노물질 및 제품에 대한 규제를 꾸준히 준비하고 실행 중이다. 이에 우리나라도 나노물질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어적인 의미 외에도 국가 나노기술의 상용화와 국가경쟁력 확보 측면에서도 나노물질의 안전관리에 대한 본격적인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 나노물질 및 나노제품에 대한 선진국 수준의 안전성 확보 체계를 확립하고 나노기술개발을 촉진함과 동시에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제도적 방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ong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Yong-Suk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