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문ㆍ식생 모사를 위한 지표모델의 동아시아 적용 타당성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김연주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7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7Z -
dc.date.issued 20101130 -
dc.identifier A 환1185 WP2010-04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521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WP2010-04김연주(0)[1].pdf -
dc.description.abstract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land surface model coupled to the dynamic vegetation model over East Asia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land surface model in East Asia and seek for possible suggestions to improve the model performance. Using the Community Land Model version 4 (CLM4), we performed two sets of numerical experiments; one without the dynamic vegetation module (SV) and the other with the dynamic vegetation module (DV). Our results follow in the below. 1) Compared to the MODIS products between 2000 and 2008, the DV run overestimated the Leaf Area Index (LAI) and Gross Primary Production (GPP) by 100% and 37%, respectively. 2) Comparing the GPP and Net Primpary Prooduction (NPP) between the DV run and MODIS, it was suggested that the autotrophic respiration was overestimated. 3) Also, the evapotranspiration was overestimated compared to the MODIS. 4) The DV results from 1948 to 2008 showed the decreasing trend in the carbon sequestration by the ecosystem. Th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increase in temperature resulted in the increase in GPP and also the further increase in the soil decomposition. Furthermore, we reviewed the parameterization for the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processes in order to identify possible parameterization to be re-visited for the model improvemen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서 론 <br> <br> <br> <br>1. 연구 배경 및 목적 <br> <br>2. 연구 내용 <br> <br> <br> <br>제2장·동아시아 기후, 수문, 식생 특성 <br> <br> <br> <br>제3장·지면모형의 동아시아 적용 <br> <br> <br> <br>1. 지면모형 개요 <br> <br>2. 지면모형 실험 <br> <br> 가. 실험 방법 <br> 나. 단기(2000~2008) 결과 분석 <br> 다. 장기(1948~2008) 결과 분석 <br> <br>3. 모형 결과 향상을 위한 제안 <br> <br> <br> <br>제4장·요약 및 제안 <br> <br> <br> <br>참고 문헌 <br> <br>Abstract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제1장·서 론 <br> 1. 연구 배경 및 목적 <br> 2. 연구 내용 <br> 제2장·동아시아 기후, 수문, 식생 특성 <br> 제3장·지면모형의 동아시아 적용 <br> 1. 지면모형 개요 <br> 2. 지면모형 실험 <br> 가. 실험 방법 <br> 나. 단기(2000~2008) 결과 분석 <br> 다. 장기(1948~2008) 결과 분석 <br> 3. 모형 결과 향상을 위한 제안 <br> 제4장·요약 및 제안 <br> 참고 문헌 <br> Abstract <br> -
dc.format.extent 24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수문ㆍ식생 모사를 위한 지표모델의 동아시아 적용 타당성 분석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land surface model coupled to the dynamic vegetation model over east asia -
dc.title.partname Working Paper -
dc.title.partnumber 2010-04 -
dc.description.keyword 지구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 요약 동아시아 여건에 최적화된 지면모델을 구축하고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수행하는 후속 연구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는 수문순환 및 식생역학을 포함하는 최신의 지면모델을 동아시아에서 구동하여 이의 적용 타당성을 검토하고 모형 향상을 위한 방법을 제안했다. 첫째, 동아시아의 기후, 수문, 식생의 특성을 파악했다. 동아시아는 동쪽의 온대, 서쪽의 건조, 남쪽의 열대 지역을 포함하고, 이에 따른 토지에서의 식생분포의 변화를 확인했다. 또한 동아시아는 수 세기에 걸친 농업활동 등으로 상당히 많은 지역이 농업지대로 구분되는 특징이 있다. 둘째, 동아시아 대상으로 수문순환 및 식생역학을 모사하는 지면모형을 구동하여 결과를 분석했다. 지구 시스템 모형의 일부로 계발된 최신의 지면모형(NCAR CLM4)을 과거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동아시아에서 시험 구동하였다. 식생역학을 포함하지 않는 실험(SV: Static Vegetation)과 포함하는 실험(DV: Dynamic Vegetation)을 수행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원격탐사자료와의 비교도 수행하였다. 모형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DV 실험결과를 2000년부터 2008년까지의 MODIS 자료와 비교하면 입면적지수 및 1차총생산량은 각각 100%, 37% 과대 모의되었다. 2)1차총생산량과 1차순생산량 결과의 MODIS 자료와 비교를 바탕으로 식생호흡이 과대 산정되었다고 유추할 수 있다. 3)증발산량도 MODIS 자료에 비해 과대 모사되었다. 4)1948년부터 2008년까지의 모형 결과에서 최근의 기온상승에 따라 1차총생산량이 상승하고, 이와 동시에 더 큰 정도로 토양흡수도 상승함에 따라 생태계의 탄소 흡수가 감소하는 추세가 나타났다. 셋째, 모형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모델 검증 및 향상을 위한 제안을 도출했다. 입면적지수와 1차총생산량의 과대 모의를 보정하기 위해 광합성을 결정하기 위한 Farquhar-Collaztz 방법을 분석하고 최대광합성량 관련 모수화에 대한 검토 필요성을 제안했다. 또한, 과대 모의된 식생호흡을 보정하기 위해 성장 호흡 모수화의 한계를 파악했다. 마지막으로 Fluxnet, Global Soil Moisture Data Bank 등의 다양한 종류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검증을 제안하였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im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YeonJoo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