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사회의 생활패턴 변화 및 환경 이슈 조사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공성용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8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8Z -
dc.date.issued 20101215 -
dc.identifier A 환1185 WP2010-08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525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WP2010-08공성용(0)[1].pdf -
dc.description.abstract A Literature Survey on Environmental Issues and Life Pattern Changes of an Ageing Society Korea is facing a significant ageing of population, and in 2026 21% of population is expected to be above 65 years old. This demographic change may affect environmental preferences and environmental quality, but our understanding is not 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f how ageing of the population may impact the environment and be affected by the environment. The study is based on existing researches and statistical data, therefore does not provide a comprehensive analysis.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ageing population seems to be caused by changes of household pattern and mobility. The consumption of electricity, gas and fuels for heating and cooking is higher in households with the reference person above 60 than in all other families. The weakening of the health may cause to elderly to be increasingly dependent on heating and cooling, and combined with the gradual increase in temperature due to climate change. The personal mobility seems to decline with increasing age, but it is also expected to increase for all age groups including the elderly over time. A growing share of the elderly holds drivers license and have access to cars, reflecting that habits acquired as young is sustained in higher ages and leads to gradual increasing of mobility. Therefore ageing of population is expected to lead to lower transport consumption but this effect may to some extent weakened by the increase in travelling by the elderly people. The impact of environment on ageing population is also discussed based on literatures. The elderly people is most severely affected by heat waves, and excess mortality due to ozone concentration is highest for the elderly. These findings lead to the general conclusions that house renovation for heat-efficiency improvement, public transportation usage, and proper air quality standards(including indoor air quality) are important to the elderly populati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 <br> <br> <br>1. 연구 배경 <br> <br>2. 연구의 목적 <br> <br> <br> <br>제2장·고령화 사회의 특징과 선행연구 조사 <br> <br> <br> <br>1. 고령화 추이 <br> <br>2. 생활 패턴 변화 <br> <br>3. 소비 양식의 비교 <br> <br>4. 선행 연구 조사 <br> <br> <br> <br>제3장·고령화 사회와 환경문제 <br> <br> <br> <br>1. 이동성 변화 <br> <br>2. 거주 양식 변화 <br> <br>3. 건강 관련 영향 <br> <br> <br> <br>제4장·토의 및 시사점 <br> <br> <br> <br>참고 문헌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제1장·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 1. 연구 배경 <br> 2. 연구의 목적 <br> 제2장·고령화 사회의 특징과 선행연구 조사 <br> 1. 고령화 추이 <br> 2. 생활 패턴 변화 <br> 3. 소비 양식의 비교 <br> 4. 선행 연구 조사 <br> 제3장·고령화 사회와 환경문제 <br> 1. 이동성 변화 <br> 2. 거주 양식 변화 <br> 3. 건강 관련 영향 <br> 제4장·토의 및 시사점 <br> 참고 문헌 <br> -
dc.format.extent 27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고령화 사회의 생활패턴 변화 및 환경 이슈 조사 연구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A literature survey on environmental issues and life pattern changes of an ageing society -
dc.title.partname Working Paper -
dc.title.partnumber 2010-0 -
dc.description.keyword 정책일반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사회의 고령화가 야기할 수 있는 환경문제가 어떤 것인지를 기존 문헌의 조사를 통해 파악하고 그 결과로부터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고령 사회(또는 초고령 사회)가 환경에 끼치는 영향은 주로 주택 난방 및 취사, 여가 활동에 의한 수송 부문의 에너지 사용 변화에 기인한다. 사회 전체적인 에너지 사용 증감은 예상하기 힘들지만, 노인 세대에 한정한다면 에너지 사용이 증가할 개연성이 높다. 한편 환경이 인체에 끼치는 영향은 노인 세대가 더 크므로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대기질(오존)의 영향과 기후 변화에 따른 폭염과 혹서의 영향이 노인 세대에 더 심각하게 나타나는 것은 기존 연구에서 확인할 수가 있었다. 그리고 현재보다 더 경제력이 있고 이동 능력이 우수한 미래의 노인 세대(현재의 40~50대)는 여가 활동과 여행 등의 기회와 욕구를 더 많이 가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①노인 거주 주택의 열효율을 높이기 위한 지원 ②노인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높이는 방안 ③노인의 건강보호에 적합한 대기환경기준과 실내환경기준의 설정 등이 요구된다. 인구의 고령화는 환경에 영향을 끼칠 수도 있고 반대로 환경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으며, 새로운 환경 수요를 창출할 수도 있다. 환경의 범위를 자연 환경 또는 물리적 환경으로 범위를 좁히면, 고령화 사회에서의 환경 문제를 다룬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비록 국내외 연구 결과는 이러한 관계를 단편적으로 보여 주기는 하지만 아직 충분하지 않다. 특히 우리나라는 급속하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지만 이런 주제를 가지고 연구한 사례는 찾아보기가 힘들다. 따라서 고령화와 환경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많은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관련 통계의 생산도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Gong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eong-Yong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