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단지 사업에서의 수질오염 영향범위 설정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조한나 -
dc.contributor.other 송영일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8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8Z -
dc.date.issued 20101230 -
dc.identifier A 환1185 WP2010-12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529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WP2010-12조한나(0)[1].pdf -
dc.description.abstract Guidelines for establishment of the following water quality impact scope when developing industrial complexe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anticipates and assesses environmental impact arising from pursuit of a particular project before its implementation,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setting the appropriate scope of impact and providing reliable environmental assessments. For the water environment, forecasting of impact begins with selecting the wate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and establishing impact scope. However, as there are no clear standards with respect to selection of locations for wate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during environmental assessment, various difficulties have arisen in establishing and forecasting impact scope. Although regulations on selection of monitoring stations exist, as found in the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Operations Plan (2010 Ministry of Environment)," the "Water Pollution Process Testing Methodology (Ministry of Environment Notification No. 2004-188)," and the "Guidelines on Drafting of EIA statements for Different Categories of Projects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most have stated location and selection requirements in only general terms, i.e. "areas forecast to receive impact."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guidelines for selection of locations and impact scope for wate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based on analysis of existing case studies and EIA statements for industrial complexes. This study undertook analysis of data on selection of wate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in EIA statements for industrial complexes from 2009-2010. While such analysis of stations based on EIA statements may differ from scientific approaches, it can provide an experiential basis for approaches to the issue. References to existing research included the "Study on Standard Distances from Water Quality Protected Areas, (Ministry of Environment, 2003),"and the "Study on Propriety of Plant Site Location Regulations in Water Source Upstream Areas (Ministry of Environment, 2008)." We assessed appropriate impact scope for water pollution in environmental assessment through review of statistical data and theoretical approaches through analysis of EIA statements. The results were review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f the actual times and concentration levels of pollution, and water quality modeling. The water pollution impact scope as determined through water quality modeling was found to vary in accordance with a number of conditions, including the nature of the pollution source (i.e. concentration and outflow of discharged pollutants), as well as concentration and outflow levels of discharging rivers, and concentration and flow levels of inflowing streams and conjoining rivers, as well as dilution effects caused by conjoining rivers. Accordingly, this study establishes the following water quality impact scope, and suggests that water quality studies and forecasting, detailed assessment of water quality, and environmental impact studies be performed based on this impact scope. First, impact scope should be set at locations whose mixed concentration weighted values for water pollution were reduced by 50%. Impact scope for mixed concentration must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flow quantity and concentration of pollutants, flow quantity and concentration of discharging rivers, and the form of the river etc., and must also consider flow quantity and concentration etc. of branches of rivers and conjoining rivers. In order to analyze changes in mixed concentrations of pollutants added to rivers, simple mixed formulas and time and concentration correlated analysis as well as water quality modeling can be used to review general impact. Second, impact scope should be expanded to environmentally sensitive areas in respect of water quality impact from projects. If there are water source protected areas or catchments etc. in surrounding rivers for a prospective site location, impact scope must include those areas. Furthermore, if there are specific wild animals and plants in the downstream of the discharge river, the impacting river must also be included. Consideration must also be made of the actual use of rivers, including urban rivers that pass through downtown sections, as well as rural rivers protected as natural resources. Third, since industrial complexes typically produce pollutants like heavy metals, whose effect on health and the ecosystem is both direct and substantial, monitoring via follow-up environmental impact studies, after establishing the main pollutants, will be required.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pose more concrete guidelines with respect to the establishment of existing water quality impact scope, which are largely general and abstract. When developing industrial complexes, impact scope should be submitt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rivers and the industrial complex in question, rather than applying a representative value throughout the whole country, or specifying a single uniform distance, as water pollution impact scope vari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flow quantity of each river, while pollution sources themselves are varied in form. By more clearly and concretely establishing "areas receiving significant environmental impact from development of industrial complexes" through the impact scope suggested herei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increase the efficacy of EIA by providing better forecasting and management of impac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br> <br> <br>1. 연구 배경 및 목적 <br> <br>2. 연구 내용 및 방법 <br> <br> <br> <br>제2장 산업단지 사업에서의 수질조사 범위 <br> <br> <br> <br>1. 수질 조사 범위에 대한 관련 기준 <br> <br> 가. 관계법령·규정에 의한 기준 <br> 나. 현장적용 기준 <br> 다. 해외 기준 <br> <br>2. 산업단지 사업에서의 수질조사 범위 현황 <br> <br> 가. 고창일반산업단지 <br> 나. 정촌지방산업단지 <br> 다. 신기2 일반산업단지 <br> <br>3. 수질 조사 범위의 문제점 <br> <br> <br> <br>제3장 산업단지 사업에서의 수질오염 영향범위 설정 <br> <br> <br> <br>1. 사례분석을 통한 수질오염 영향범위 <br> <br>2. 상수원보호구역의 거리산정을 바탕으로 본 수질오염 영향범위 <br> <br> 가. 실험을 통한 상관관계식에 의한 상수원 보호거리 산정 <br> 나. 모델링을 통한 상수원 보호거리 산정 <br> <br>3. 사례와 연구고찰을 통한 수질오염 영향범위 설정 <br> <br> <br> <br>제4장 산업단지 사업에서의 수질오염 영향범위 설정의 적정성 검토 <br> <br> <br> <br>1. 사례지역 검토 <br> <br> 가. 정촌 일반지방산업단지 <br> 나. 장흥 해당일반산업단지 <br> 다. 신기 제2일반산업단지 <br> 라. 파주 법원2 일반산업단지 <br> <br>2. 모의유역 수질모델링 검토 <br> <br> 가. 내성천 유역 <br> 나. 금강 <br> <br> <br> <br>제5장 산업단지 사업에서의 수질오염 영향범위 설정방안 <br> <br> <br> <br>제6장 결 론 <br> <br> <br> <br>참고 문헌 <br> <br> 상수원관리규칙(환경부령 제277호) <br> <br> 대상업종별 주요 관리항목 참고 <br> <br>Abstract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 배경 및 목적 <br> 2. 연구 내용 및 방법 <br> 제2장 산업단지 사업에서의 수질조사 범위 <br> 1. 수질 조사 범위에 대한 관련 기준 <br> 가. 관계법령·규정에 의한 기준 <br> 나. 현장적용 기준 <br> 다. 해외 기준 <br> 2. 산업단지 사업에서의 수질조사 범위 현황 <br> 가. 고창일반산업단지 <br> 나. 정촌지방산업단지 <br> 다. 신기2 일반산업단지 <br> 3. 수질 조사 범위의 문제점 <br> 제3장 산업단지 사업에서의 수질오염 영향범위 설정 <br> 1. 사례분석을 통한 수질오염 영향범위 <br> 2. 상수원보호구역의 거리산정을 바탕으로 본 수질오염 영향범위 <br> 가. 실험을 통한 상관관계식에 의한 상수원 보호거리 산정 <br> 나. 모델링을 통한 상수원 보호거리 산정 <br> 3. 사례와 연구고찰을 통한 수질오염 영향범위 설정 <br> 제4장 산업단지 사업에서의 수질오염 영향범위 설정의 적정성 검토 <br> 1. 사례지역 검토 <br> 가. 정촌 일반지방산업단지 <br> 나. 장흥 해당일반산업단지 <br> 다. 신기 제2일반산업단지 <br> 라. 파주 법원2 일반산업단지 <br> 2. 모의유역 수질모델링 검토 <br> 가. 내성천 유역 <br> 나. 금강 <br> 제5장 산업단지 사업에서의 수질오염 영향범위 설정방안 <br> 제6장 결 론 <br> 참고 문헌 <br> 상수원관리규칙(환경부령 제277호) <br> 대상업종별 주요 관리항목 참고 <br> Abstract -
dc.format.extent 90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산업단지 사업에서의 수질오염 영향범위 설정방안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Guidelines for establishment of the following water quality impact scope when developing industrial complexes -
dc.title.partname Working Paper -
dc.title.partnumber 2010-12 -
dc.description.keyword 환경평가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 요약 환경영향평가는 사업의 시행에 앞서 당해 사업의 추진으로 인하여 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의 환경적 영향을 예측하고 평가하는 것으로, 적절한 영향평가 범위 설정은 신뢰성 있는 환경평가를 위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수환경 분야의 경우 환경영향을 예측하는 데 있어 수질 측정지점 선정을 필두로 영향범위를 설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환경평가시 수질측정 지점 선정과 관련한 명확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영향범위 설정 및 예측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수질측정망 운영계획(2010, 환경부)”,“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환경부고시 제 2004-188호)”,“사업유형별 평가서 작성을 위한 환경영향평가서 작성 가이드라인(환경부, 2009)”등의 관련 자료를 살펴보면 수질측정 지점 선정과 관련한 규정은 있으나 대부분의 내용이 “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등과 같이 추상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유사 연구사례 및 산업단지 사업 환경영향평가서 내용 분석결과를 토대로 수질측정 지점 및 영향범위 설정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수행시 최근(2009~2010년)에 진행된 산업단지사업 환경영향평가서에 수록된 수질측정지점 선정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환경영향평가서에 기반한 수질측정지점 선정 사례분석은 과학적인 접근 방법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경험적인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연구사례로는 “상수원보호구역의 표준거리에 대한 연구(환경부, 2003)”, “상수원 상류지역 공장입지규제의 적정성에 대한 연구(환경부, 2008)”등을 고찰하였다. 환경영향평가서 내용 분석을 통한 통계자료 및 이론적 고찰을 통해 환경영향평가에 있어 적정한 수질오염의 영향범위를 산정하였으며, 동 결과에 대하여 실제적으로 오염원의 시간과 농도의 상관관계식과 수질모델링을 통해 검증하여 보았다. 수질모델링 결과를 통해 살펴보면 수질오염 영향범위는 방류되는 오염물질의 농도와 유량 등 오염원에 따라 또한 방류하천의 농도 및 유량, 방류하천으로 유입되는 지천 및 합류하천의 농도 및 유량, 합류 하천의 희석효과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해왔던 수질측정지점 선정 방법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추가적으로 수질영향범위를 설정하고 이를 근거로 수질현황조사와 예측을 실시하여 세부적인 수질영향을 평가하고 환경영향조사를 시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첫째, 수질오염 혼합농도의 가중농도가 50% 감소되는 지점을 포함한 인근지역을 영향범위로 설정한다. 혼합농도의 영향범위는 오염발생원의 유량과 수질의 방류하천의 유량 및 농도, 하천의 형태 등을 고려하여 영향범위로 결정하여야 하며, 하류의 지천이나 합류 하천의 유량 및 농도 등도 고려하여야 한다. 하천에 부가되는 오염물질 혼합농도의 변화 양상은 단순 혼합공식과 시간과 농도의 상관관계식을 이용하여 대략적인 경향을 알 수 있고 수질모델링을 통해 좀 더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둘째, 사업으로 인한 수질오염 민감 지역을 영향범위로 설정한다. 산업단지가 입지하는 주변 하천의 하류에 상수원보호구역, 취수장 등 수질에 민감한 지역이 있는 경우에는 그 지역을 포함시켜 설정하여야 한다. 또한 방류하천 하류에 특정 야생동식물 서식지 등이 있는 경우 그 영향지역을 포함하여야 한다. 도심통과 구간의 도심형 하천 또는 자연이 보전되어 있는 전원형 하천 등 하천의 이용 실태에 대해서도 고려하여야 한다. 셋째, 산업단지의 특성상 오염원의 특성이 중금속 등 건강이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직접적이고 큰 물질들이 많으므로 주요 오염항목을 설정하고 사후 환경영향조사에서 모니터링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과제는 추상적이었던 수질오염 영향범위 설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산업단지 개발시 수질오염 영향범위는 전국 모든 하천이 형상과 유량이 다양하고 오염원의 형태가 다양하여 전국에 적용할 수 있는 대표값이나 일정한 거리로 제시하기보다는 지역 하천 특성과 개발 산업단지의 특성을 고려하여 영향범위로 제시 되어야 한다. 제안한 영향범위 설정으로 인해 산업단지 개발 사업에 있어 환경적 영향을 미치는 지역을 좀 더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설정하여 환경적 영향을 예측하고 관리함으로써 환경영향평가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o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an-Na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