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취약성 지수분석을 통한 국가적응역량 제고방안 모색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김연주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39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39Z -
dc.date.issued 20101130 -
dc.identifier A 환1185 정2010-14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541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정책2010-14(김연주).pdf -
dc.description.abstract Reviewing the National-level Indices to Climate Change Impact,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with Focusing on South Korea’s Current State “Framework Act on Low Carbon, Green Growth”, entered into force in April, 2010, and it includes Article 48 of assessment of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implementation of measures for adaptation. It is essential to assess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establish and implement the policy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research the vulnerability of Korea to climate change mainly through various climate-related composite indices and suggest the policy strategies for adaptation. First, we reviewed the existing indices related to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 with focusing on its methodology. Second, we reviewed the existing indic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of Korea. Third, we analyzed the data used to estimate the Vulnerability- Resilience Indicator (VRI) by Malone et al., so that we could assess the different standardizing methods and the role of data distribution, and point out the important issues related to choosing the proxy variables and obtaining the recent data in developing the indices. Finally, we suggested a list of environmental policies based on Korea's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br> <br> <br>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 <br>2. 연구 내용 <br> <br> <br> <br>제2장 기후변화 취약성 지수 방법론 <br> <br> <br> <br>1. 기후변화 취약성의 개념 및 취약성 평가 <br> <br>2. 기후변화 취약성 지수 <br> <br> 가. 취약성 지수란 <br> 나. 기후변화 취약성 및 환경관련 지수 연구 <br> <br> <br> <br>제3장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취약성 <br> <br> <br> <br>1.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및 환경관련 지수 현황 <br> <br> 가. 취약성-탄력성지수 <br> 나. 환경취약성지수 <br> 다. 환경지속성지수 <br> 라. 환경성과지수 <br> 마. 기후위험지수 <br> <br>2. VRI 원 자료를 활용한 우리나라 현황 분석 <br> <br> 가. 표준화 방법에 따른 지수 계산 및 원 자료 분석 <br> 나. 부문 및 대리변수 선택관련 이슈 <br> 다. 이용 가능한 데이터관련 이슈 <br> <br> <br> <br>제4장 기후변화 적응역량 제고방안 <br> <br> <br> <br>제5장 결론 및 제언 <br> <br> <br> <br>참고문헌 <br> <br>부 록 1 <br> <br>부 록 2 <br> <br>Abstract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 2. 연구 내용 <br> 제2장 기후변화 취약성 지수 방법론 <br> 1. 기후변화 취약성의 개념 및 취약성 평가 <br> 2. 기후변화 취약성 지수 <br> 가. 취약성 지수란 <br> 나. 기후변화 취약성 및 환경관련 지수 연구 <br> 제3장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취약성 <br> 1.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및 환경관련 지수 현황 <br> 가. 취약성-탄력성지수 <br> 나. 환경취약성지수 <br> 다. 환경지속성지수 <br> 라. 환경성과지수 <br> 마. 기후위험지수 <br> 2. VRI 원 자료를 활용한 우리나라 현황 분석 <br> 가. 표준화 방법에 따른 지수 계산 및 원 자료 분석 <br> 나. 부문 및 대리변수 선택관련 이슈 <br> 다. 이용 가능한 데이터관련 이슈 <br> 제4장 기후변화 적응역량 제고방안 <br> 제5장 결론 및 제언 <br> 참고문헌 <br> 부 록 1 <br> 부 록 2 <br> Abstract -
dc.format.extent 67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기후변화 취약성 지수분석을 통한 국가적응역량 제고방안 모색 -
dc.type 수시연구 -
dc.title.original Reviewing the National-level Indices to Climate Change Impact,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with Focusing on South Korea''s Current State -
dc.title.partname 정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0-14 -
dc.description.keyword 기후변화대응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2010년 4월부터 시행된‘저탄소 녹생성장 기본법’제48조(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대책의 추진)에 따라 국가차원의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 그에 따른 적응대책 수립 및 시행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취약성 현황을 파악하고 관련 정책제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기후변화 취약성 및 환경 관련 지수 방법론을 정리하였다. 둘째, 기존에 발표된 기후변화관련 지수를 통해 우리나라의 취약부문을 파악하였다. 셋째, 기존의 취약성-탄력성 지수(Vulnerability-Resilience Index: VRI) 산정에 이용된 원 자료를 이용하여, 지수 계산 방법 및 원자료 분포에 따른 지수 결과 분석 및 대리지표 선정 및 이용가능한 자료의 한계와 관련된 이슈를 분석하였다. 넷째, 지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적응역량 제고방안을 도출하였다. 서로 다른 지수에 따라 취약한 부문이 다르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대체로 수자원, 재난 부문이 취약하고 인적자원 등이 강점으로 드러났다. 수자원의 경우 공급 대비 사용량이 많고, 이는 공급량이 다른 나라에 비해 적기 때문이다. 특히, 총 공급량 뿐 아니라 일인당 공급량이 일본의 절반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중국보다도 적은 것이 현실이다. 또한 재난/재해의 취약성이 환경지속성지수, 환경성과지수 등에서 명확히 드러났다. 우리나라는 화산, 지진 등으로 인한 피해로부터 매우 안전한 편이나, 물관련 재해에 특히 취약하다. VRI 원 자료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우리나라의 순위가 26위 (스케일 재조정법 이용), 49위 (Z-score법 이용), 154위 (기준선과의 차이법 이용)로 표준화 방법에 따라 심하게 변했다. 자료의 분포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방법이 적합하고 최종 순위의 변화도 크다. 즉, 향후 지수 개발시 원 자료분포를 파악하고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적절한 대리변수의 선정의 중요성도 강조되었다. VRI에서 우리나라의 식량안보는 안정적이라고 나타났으나, 식량 자급률 등의 다른 국제적 통계자료는 이에 반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기존의 연구 및 자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수자원, 재난의 부문별 적응역량을 위한 제언과, 국가별 기후변화 및 환경관련 지수를 통한 평가 및 개발관련 제언을 도출하였다. 수자원 확보를 위한 노력, 홍수 및 가뭄 등 물관련 재난에 대비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 또한, 기존의 지수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취약성을 파악할 뿐 아니라, 이에 더해 국제적으로 발표되고 있는 여러 지수를 통해 제대로 평가받기 위한 적절한 자료제공 등의 노력이 요구된다. 이에 더해 우리가 능동적으로 정부 및 관련 부처차원에서 지수를 개발하고 발표하는 노력을 통해 관련 국제사회 리더십을 확보할 수 있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im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YeonJoo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olicy Study(정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