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능력 평가를 위한 지표체계 개발 및 시범적용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이정호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40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40Z -
dc.date.issued 20101030 -
dc.identifier A 환1185 정2010-06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549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정책2010-06(이정호).pdf -
dc.description.abstract Climate Change Adaptation Capacity Indicators - A Pilot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the Indicators at the Local Level Climate change is unequivocal with scientific evidence and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is expected to be exacerbated. The impact and damage caused by climate change are various not only at the national level but also at the local level. Thus, local community as well as national level have to assess the vulnerability and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then develop proper adaptation strategies to climate change. In order to develop efficient and effective adaptation policies and strategies, it is necessary that each local government identifies current policies and adaptation capacity. Prioritization of funding and resource should be implemented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climate change impact-adaptation capacity. So fa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assess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capacity. Thus this study addresses this critical gap by develop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capacity indicators and applying them to 16 local governments as a pilot study.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Section 2 reviews the current literature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defines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capacity. Section 3 discusses existing methodologies to evaluate climate change adaptation capacity including their benefits and limitations. We then develop our own climate change adaptation capacity indicators which evaluate the impacts of the climate change and policies to response them. In addition, we apply them to assess 16 local governments' adaptation capacities. Local municipalities have differed greatly in their impacts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responses. By assessing local adaptation capacity using our indicators, each local government can prioritiz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adaptation policies and monitor their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adaptation policie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론 <br> <br> <br> <br>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 <br>2. 연구의 목적 <br> <br>3. 연구의 방법 및 범위 <br> <br> <br> <br>제2장 기후변화 영향과 적응 <br> <br> <br> <br>1. 기후변화 적응의 개요 <br> <br>2. 기후변화 적응능력 <br> <br>3.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현황 <br> <br>4.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 사례 <br> <br> 가. 국외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 사례 <br> 나. 국내 지자체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대책 <br> <br> <br> <br>제3장 기후변화 적응능력 평가 지표 도출 <br> <br> <br> <br>1. 개요 <br> <br>2. 적응능력 평가 현황 <br> <br>3. 적응능력 평가 지표 도출 <br> <br> 가. 지표 구성 체계 <br> 나. 지표 도출 방법론 <br> 다. 기후변화 영향-적응능력 평가 지표 도출 과정 <br> 라. 기후변화 영향-적응능력 평가 지표 <br> <br> <br> <br>제4장 기후변화 적응능력 평가 시범적용 <br> <br> <br> <br>1. 적응능력 평가 지표 분석 개요 <br> <br>2. 광역 시?도 분석결과 <br> <br> <br> <br>참고 문헌 <br> <br>부록 <br> <br>Abstract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제1장 서론 <br>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 2. 연구의 목적 <br> 3. 연구의 방법 및 범위 <br> 제2장 기후변화 영향과 적응 <br> 1. 기후변화 적응의 개요 <br> 2. 기후변화 적응능력 <br> 3.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현황 <br> 4.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 사례 <br> 가. 국외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 사례 <br> 나. 국내 지자체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대책 <br> 제3장 기후변화 적응능력 평가 지표 도출 <br> 1. 개요 <br> 2. 적응능력 평가 현황 <br> 3. 적응능력 평가 지표 도출 <br> 가. 지표 구성 체계 <br> 나. 지표 도출 방법론 <br> 다. 기후변화 영향-적응능력 평가 지표 도출 과정 <br> 라. 기후변화 영향-적응능력 평가 지표 <br> 제4장 기후변화 적응능력 평가 시범적용 <br> 1. 적응능력 평가 지표 분석 개요 <br> 2. 광역 시?도 분석결과 <br> 참고 문헌 <br> 부록 <br> Abstract -
dc.format.extent 100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능력 평가를 위한 지표체계 개발 및 시범적용 -
dc.type 수시연구 -
dc.title.origi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CApacity Indicators -A Pilot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the Indicators at the Local Level -
dc.title.partname 정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0-06 -
dc.description.keyword 기후변화대응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유약 기후변화의 영향과 피해는 국가별로 유형이 다르며 국지적인 차원에서도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과 피해는 갈수록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국가적 차원뿐 아니라 지자체 차원에서도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과 피해를 파악하고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지자체별로 지역에 적합한 적응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각 지자체가 가지고 있는 기존의 정책 및 적응능력을 우선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적응능력 평가를 바탕으로 적응대책의 우선순위 및 자원배분 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2011년부터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을 바탕으로 시행될 광역지자체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와 그에 따른 적응대책 수립은 지자체별 적응능력 평가의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 실정에 맞는 적응능력 평가 방법론이 마련되지 않아 각 지자체 특성에 맞는 적응대책 수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 적합한 지자체 적응능력 평가 방법론을 개발하여 지자체별 적응대책 수립에 반영할 뿐 아니라 지속적으로 지자체의 적응능력과 적응대책 이행사항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지표체계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2장에서는 기후변화 적응과 이에 수반된 정의 개요를 조사하고 국내?외에서 나타나고 있는 기후변화 영향과 적응대책에 대해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현재 국외에서 시행되고 있는 적응 지표 현황과 도입배경, 주요 내용, 지표 활용 효과 및 제한점을 살펴본다. 더불어 조사된 내용을 바탕으로 국내에 적용 가능한 기후변화 적응능력 평가 지표를 산출한다. 제4장에서는 3장에서 도출된 기후변화 적응능력 평가 지표를 국내 16개 광역시?도 지자체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이에 대한 결과를 도출한다. 제5장에서는 광역시?도 지자체 분석 결과와 주요 기후변화 적응능력을 기반으로 향후 기후변화 적응정책 수립 우선순위와 운영방안을 제시한다. 기후변화 적응대책은 광범위함과 장기적으로 이행되어야 하는 특성에 따라 우선순위를 선별하여 이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될 적응능력 평가 지표는 지자체의 적응대책 우선순위 선별에 유용할 뿐 아니라 지자체별 적응능력 모니터링과 성공적인 적응대책 수립 및 이행에 효과적인 지원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Lee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eong ho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olicy Study(정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