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분야 어메니티 창출전략과 과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박창석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47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47Z -
dc.date.issued 20071231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630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도시 어메니티 자원 발굴 및 창출 전략_박창석_제2권 부문_final(20071231).pdf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목 차 <br>제1장 머 리 말 <br>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br>2. 연구의 목적과 방법 <br> 1) 연구의 목적 <br>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br> 제2장 도시 어메니티의 개념 정립과 선행 연구 검토 <br> 1. 개념의 정립 <br> 1) 도시 어메니티의 도입 배경 <br> 2) 도시 어메니티의 개념과 속성 <br> 3) 도시 어메니티 자원의 구성 요소 <br>2. 선행 연구 및 국내「도시 어메니티 플랜」검토 <br> 1) 선행 연구 및 국내 도시 어메니티 플랜 검토 <br> 2) 선행 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 <br> <br>제3장 도시 어메니티 자원조사방법과 발굴사례 분석 <br> 1. 도시 어메니티 자원분류체계 구축 <br> 1) 기존의 도시 어메니티 자원분류체계 검토 <br> 2) 도시 어메니티 자원분류체계 구축 및 활용 <br>2. 도시 어메니티 자원조사방법 및 발굴 절차 <br>3. 국내 도시 어메니티 자원조사 및 발굴 사례분석 <br> 1) 사례조사 개요 <br> 2) 안양시 도시 어메니티 자원조사 및 발굴 사례분석 <br> 3) 군산시 도시 어메니티 자원조사 및 발굴 사례분석 <br>4. 종합 검토와 시사점 <br> 1) 도시내 자원에 대한 어메니티 인지도 저조 <br> 2) 도시 특성과 주민 수요에 따라 도시 어메니티 자원 속성 상이 <br> 3) 도시 어메니티 자원 발굴 및 추진 시책간 연계 미흡 <br> <br>제4장 도시 어메니티 자원 창출을 위한 정책수단 운용 실태와 문제점 <br> 1. 도시 어메니티 창출을 위한 정책수단 현황 <br> 1) 국내 도시 어메니티 창출을 위한 정책수단 현황 <br> 2) 국내 도시 어메니티 창출을 위한 추진체계 현황 <br>2. 도시 어메니티 창출에 대한 인식 및 정책 수요 실태 <br> 1) 조사 개요 <br> 2) 도시 어메니티 인식과 정책수요 조사: 도시지역 자치단체장 조사결과 <br>3. 도시 어메니티 창출을 위한 정책수단 운용 실태와 문제점 <br> 1) 전반적인 도시미관과 어메니티에 대한 인식 미흡 <br> 2) 도시 어메니티 자원 창출을 위한 정책수단의 획일적·단발적인 운용 <br> 3) 도시 어메니티 플랜의 법적 근거 미흡과 관련법 체계와의 연계 부재 <br> 4) 도시 어메니티 창출 위한 전담조직 및 협력적 추진체계 미흡 <br> <br>제5장 국내외 도시 어메니티 창출 사례와 동향 <br> 1. 해외의 도시 어메니티 창출정책 동향과 사례 <br> 1) 영 국 <br> 2) 미 국 <br> 3) 일 본 <br> 4) 종합 검토와 시사점 <br> 2. 국내 도시 어메니티 자원 창출 사례 <br> 1) 자연자원의 어메니티 창출 사례 <br> 2) 경관자원의 어메니티 창출 사례 <br> 3) 역사자원의 어메니티 창출사례 <br> 4) 문화자원의 어메니티 창출사례 <br> 5) 생활자원의 어메니티 창출사례 <br> <br>제6장 도시 어메니티 자원의 창출 전략과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br> 1. 도시 어메니티 창출 전략의 기본 원칙 <br> 1) 도시민의 이용성·만족감 증진을 통한「정주성」제고 <br> 2) 도시의 특성과 개성을 살려「도시 정체성과 문화·심미성」제고 <br> 3) 도시내 어메니티 자원의「공간적 연계성과 통합성」확보 <br> 4) 도시 어메니티의 지속적 창출을 위한 참여와 추진의「자율성·협력성」제고 <br>2. 도시 어메니티 창출 및 활성화를 위한 주요 정책과제 <br> 1)「도시 정주성」제고와 정책 과제 <br> 2)「도시 정체성 및 문화·심미성」제고와 정책과제 <br> 3)「공간적 연계성과 통합성」확보와 정책 과제 <br> 4) 지속적 참여와 추진의「자율성·협력성」제고와 정책 과제 <br>3.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 <br> 참 고 문 헌 <br> 부 록 -
dc.language 한국어 -
dc.title 환경분야 어메니티 창출전략과 과제 -
dc.type 수탁연구 -
dc.description.keyword 자연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머릿말 우리나라는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를 거치면서 양적인 도시개발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개발방식과 정책수단을 주로 운용해옴에 따라 도시의 질적 수준과 삶의 질은 열악한 실정이다. 최근 삶의 질, 건강과 환경,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시의 ‘공간의 질’과 도시민의 ‘생활의 질’ 제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장은 도시 어메니티 자원의 발굴과 창출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연구목적,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1.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을 경험하였다. 도시화율이 1960년 39.1%에서 1980년 68.7%, 그리고 2005년 현재 89.1%로 도시화 속도가 세계의 어느 나라에 비해서도 높은 편이다. 급속한 도시화의 진전은 도시용 토지에 대한 단기적인 개발수요 증대를 야기하였으며, 양적· 물리적 측면에 치중한 도시정책 및 개발방식을 주로 활용해왔다. 따라서 도시내 토지나 주택도 단순히 경제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투자 또는 투기의 대상으로 인식되어 왔다. 또한 도시내 공공 공간(public space)에 대한 불감증과 개인 공간에 대한 과다집착증 등 도시 미관에 대한 인식도 도시 공간의 질적 수준을 저하시키는데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따라서 도시의 주변 산이나 강 등 자연경관과 부조화된 아파트와 빌딩, 건축물을 뒤덮은 간판물, 전선들로 복잡하게 뒤엉킨 가로경관, 방치된 공원과 녹지공간, 자동차 위주의 도로, 교통정체와 소음, 대기오염 등은 익숙한 우리 도시 모습이다. 최근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건강과 환경, 웰빙 등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욕구와 기대치가 높아지고 있다. 선진국들도 산업화 지향적인 도시성장 과정에서 야기된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쾌적한 환경과 아름다운 미관을 갖춘 도시 공간의 질과 삶의 질 제고에 대해 관심이 높다. 특히 1980년대 이후 미국의 뉴어버니즘(New urbanism) 운동, 영국의 어번빌리지(Urban village) 운동, 일본의 마찌쯔꾸리 운동은 도시 공간의 질과 삶의 질 제고를 위한 도시 어메니티 창출운동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중앙정부 및 지자체 차원에서 살기 좋은 도시만들기 등 정책적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도시민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해서 도시내 어메니티 자원의 발굴과 창출을 위한 정책방안의 모색 작업이 필요하다. 2.연구의 목적과 방법 1)연구의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도시 어메니티의 개념과 특성을 규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 어메니티 자원을 조사·발굴하여, 도시민의 쾌적하고 건강한 삶의 터전 구현과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전략과 정책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국토 전체의 가치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미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국토 어메니티 발굴 및 창출전략」연구의 일환으로서, 도시 공간에서 어메니티 역량 발굴 및 창출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연구이다. 도시 어메니티 자원의 발굴 및 창출전략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어메니티의 개념·속성 정립과 국내외 선행연구 동향을 검토하고, 둘째, 도시 어메니티 자원조사방법 및 발굴 사례분석, 셋째, 도시 어메니티 자원 창출과 관련한 정책 운용실태와 문제점 분석, 넷째, 국내외 도시 어메니티 자원 창출 사례와 동향, 다섯째, 도시 어메니티 자원의 창출전략과 정책과제 등이다. 2)연구의 범위와 방법 (1) 연구의 범위 이 연구는 국토의 하위 공간단위인 도시의 어메니티 자원 발굴 및 창출전략을 다루고자 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현재 도시와 농촌에 대한 통일된 규정이 없으며, 중앙정부 부처별로 정책을 집행하기 위하여 개별 법령에 의거하여 시와 군으로 구분하여 운용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도시를 행정구역상의 시(市)에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2)연구의 방법 도시 어메니티 자원의 발굴 및 창출연구 수행을 위해 문헌분석, 설문조사, 현장답사 및 면담조사, 그리고 전문가 자문·협의 등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첫째, 도시 어메니티 자원의 개념 정립과 선행연구 검토를 위해 참고문헌 분석(literature survey)을 활용하였으며, 도시 어메니티 자원 목록화 작업을 위해 사례 도시의 인터넷, 관광안내책자, 백서 등 관련 자료를 사전 검색하였다. 둘째, 도시 어메니티 자원 인식 및 정책수요 파악을 위해 전국 지자체 장을 대상으로 2007년 4월중 설문 조사표를 우편으로 배포·회수하였으며, 이 가운데 도시지역 지자체장(시장 및 구청장)의 조사 결과를 발췌 활용하였다. 그리고 도시 어메니티 자원 발굴을 위해 2007년 6월~8월 중 안양시와 군산시를 사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국내 도시 어메니티 자원 유형별 사례 검토를 위해 안양시, 파주시, 전주시, 통영시 등 현지 답사(field study)와 실무자 면담(interview)을 실시하였다. 넷째, 도시 어메니티 자원분류체계, 도시 어메니티 자원 목록 작성 및 자원 필터링(filtering), 도시 어메니티 자원 인벤토리(inventory) 작성, 그리고 도시 어메니티 자원의 창출 전략과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해 전문가 자문회의, 정책토론회 및 연구기관 워크숍 등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였다. -
dc.identifier.citationtitle 수탁연구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Park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ang-Sug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