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수요관리 종합대책(안) 수립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이병국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49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49Z -
dc.date.issued 20061223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660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물 수요관리 종합대책(안) 수립 연구.pdf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 제1장 제1단계 물 수요관리 종합대책 추진 성과 <br> 1. 물 수요관리 종합대책의 수립배경 <br> 2. 물 절약 종합대책(2000~2006) 개요 <br> 3. 물 절약 종합대책의 추진 실적 <br> 3.1 개요 <br> 3.2 주요 수단별 성과 <br> 4. ‘물 절약 종합대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br> 4.1 물 수요관리 목표상의 평가 및 문제점 <br> 4.2 물 수요관리의 추진정책 평가 <br> 4.3 물 수요관리 평가체계 <br> <br> 제2장 물 낭비요소 및 정책활용의 시사점 <br> 1. 기존 수도설비 및 물 사용기기 낭비요소 <br> 1.1 수도설비 <br> 1.2 수도법 관리대상 외 물 사용기기에 의한 낭비요소 <br> 2. 현행 물 수요관리 정책의 낭비요소 관리가능성 <br> 2.1 현행 정책수단별 물 낭비요소 관리가능성 <br> 2.2 물 낭비요소 관리 정책수단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br> 3. 현행 물 수요관리 세부 정책수단별 문제점 <br> 3.1 제1단계 물 수요관리 종합대책 <br> 3.2 물 수요관리 세부 정책수단별 기대효과 <br> <br> 제3장 제2단계 물 수요관리 목표 설정 <br> 1. 제2단계 물 수요관리 종합대책의 목표기간 및 목표량 설정 <br> 1.1 제2단계 물 수요관리 종합대책의 수립배경 <br> 1.2 제2단계 물 수요관리 종합대책의 목표기간, 연차별 총 물 절약 목표량 설정 방법 <br> 1.3 목표량 설정을 위한 ‘수도종합계획 수립연구(2004)’ 및 ‘수도종합계획 (2006)’검토 <br> 1.4 목표량 설정을 위한 ‘수자원 장기종합계획’ 검토 <br> 1.5 ‘전국수도종합계획 수립연구’와 ‘수자원 장기종합계획’의 물 절약 예측치 비교 <br> 1.6 지자체의 ‘물 수요관리 종합계획’ 중 ‘물 절약 계획량’ 검토 <br> 1.7 지자체 ‘물 절약 계획량’과 ‘수도종합계획’, ‘수자원 장기종합계획’과의 비교 <br> 1.8 물 수요관리 종합대책의 목표연도별 목표량 설정 방법 <br> 2. 물이용 단계별 적정 물 절약 목표량 설정 <br> 2.1 공급단계 <br> 2.2 사용단계 <br> 2.3 재이용단계 <br> 2.4 물이용 시스템 전과정에서의 적정 물 절약 목표량 <br> 2.5 관련 계획과의 물 절약 목표량 설정값 비교 <br> <br> 제4장 물 수요관리 수단별 추진방안 <br> 1. 공급단계 <br> 1.1 누수량 감축(수도관 개량) 추진대책 <br> 1.2 무수수량 발생억제 추진대책 <br> 2. 사용단계 <br> 2.1 수도요금 및 비용합리화 <br> 2.2 물의 효율적 이용 <br> 3. 재이용단계 <br> 3.1 중수도 활용 추진대책 <br> 3.2 하?폐수 재이용 추진대책 <br> 3.3 공업용수 재이용 추진대책 <br> 4. ‘물 절약 실천 홍보 및 교육’ 추진대책 <br> 4.1 민·관 협력 및 실천 추진대책 <br> 4.2 물 절약 교육 추진대책 <br> 4.3 온라인 교육·홍보 추진대책 <br> 5. ‘수돗물 대체’ 추진대책 <br> 5.1 빗물이용 시설 설치 추진대책 <br> 5.2 지하수 용출수 이용시설 설치 추진대책 <br> 6. ‘물 수요관리 시책 촉진’ 추진대책 <br> 6.1 지자체 계획 수립·시행 지원 <br> 6.2 지자체 실적 및 성과 평가 <br> <br> 제5장 물 수요관리 종합대책 평가 방법 및 기준 <br> <br> 제6장 소요예산 및 재원조달 방안 <br> <br> 부록 1. 국내 수도설비 및 물 사용제품의 물 사용량 특성 <br> 부록 2. 현행 물 수요관리 정책수단 <br> 부록 3. 물 수요관리 활성화 방안 <br> 부록 4. ‘물 수요관리 종합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조사 <br> 부록 5. 물 절약량 산정근거 <br> <br> 참고문헌 <br> -
dc.language 한국어 -
dc.title 물 수요관리 종합대책(안) 수립 연구 -
dc.type 수탁연구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1. 물 수요관리 종합대책의 수립 배경 ? 1993년 UN의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는 우리나라 1인당 가용수량이 1,470톤으로 물 부족 국가군1)으로 분류함. 또한 수자원장기종합계획(건교부, 1995)에서도 2006년부터 연간 4억톤, 2011년부터 연간 20억톤의 물 부족 전망 ? 우리나라는 연평균 강수량에 비해 인구밀도가 높아 1인당 연간 평균 강수량(2,591m3)이 세계 평균(19,635m3)의 약 13%에 불과하고, 가용할 수 있는 수자원에서도 1인 기준 1,511m3로 세계 평균(9,123m3)의 17%에 불과함 ? 또한 우리나라의 1인당 물 사용량은 생활패턴의 차이, 상수도 시설투자 및 수도요금 수준 등의 차이 때문에 OECD의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편임 ? 1990년대 말 영월댐 문제로 인하여 물 수요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여, 물 부족 해소에 대한 공급확대 위주의 정책 추진의 어려움으로 물 수요관리에 대한 정책의 필요성 증가 ? 댐 건설 등 신규수원 개발은 개발적지의 축소와 환경문제 유발 등으로 한계에 직면하였으므로 수요관리를 통한 제한된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책의 필요성 대두 ? 이에 환경부는 향후 물 부족 사태의 대비책으로 댐 건설 등 기존 공급위주 정책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물 낭비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물 수요관리 정책으로 2000년 3월「물 절약 종합대책」수립하여 시행함 ? 물 부족사태에 대한 대비책으로 수자원 관리정책을 공급위주에서 수요관리 정책으로 전환시켜 절수기기 설치, 절수형 수도요금체계 도입, 노후수도관 교체, 중수도시설 설치, 하?폐수 처리수 재이용, 절수기술개발 촉진 등 물 절약 시책을 체계화하여 종합적으로 추진하고, 국민의식 제고를 위한 민간단체 주도의 물 절약 범국민 운동의 활성화를 지원함 -
dc.identifier.citationtitle 수탁연구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