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단지 공급계획의 대기분야 전략환경평가 기반구축

Title
산업단지 공급계획의 대기분야 전략환경평가 기반구축
Authors
문난경
Co-Author
김순태; 서지현
Issue Date
2011-12-31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Series/Report No.
연구보고서 : 2011-14
Page
69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801
Language
한국어
Abstract
2008년 6월 5일 「산업단지 인·허가 절차 간소화를 위한 특례법」(법률 제9106호)이 제정되고 동년 8월부터 시행됨에 따라 전국적으로 많은 수의 산업단지 조성계획이 수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산업입지공급계획”에서 정하고 있는 지역별 공급수요를 훨씬 상회하여 공급되고 있는 실정으로서 2010년 4월 국회예산정책처에서 과잉공급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였다. 그러나 산업단지를 공급함에 있어 개별 사업별로 입지적정성과 매체별 환경영향을 주로 검토하고 있으며, 권역별로 종합적인 차원에서의 환경영향에 대한 검토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지자체 대기질 관리 측면에서 볼 때, 개발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단일 개발계획이 아닌 중·장기 개발계획들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통하여 대기질 변화를 사전에 전망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는 종합적 사전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개별 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가 실시되고 있어 지자체별 대기질 개선 및 관리를 고려한 개발계획을 작성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대기질은 기상 흐름에 따라 인접 지역의 밀접한 영향을 받게 되므로 반드시 지자체와 인접한 지역을 포함하여 광역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 산업단지 공급계획이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대기환경 차원에서의 산업단지 공급계획의 적정성을 확인하고 향후 공급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현재 대비 2010년 말을 기준으로 협의 완료된 전국 산업단지 개발계획이 모두 적용되었을 때의 대기질 변화를 살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개발계획 적정성 검토 방안(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업단지 개발계획에 따른 배출량을 산정한 결과 전북과 충남 지역에서 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배출량 대비 CO는 충남, 전북에서 4% 증가, 대구에서 2.5% 증가하고, NOx는 전북에서 18% 증가, 충남과 대구에서 1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M10의 경우 전북, 충남, 대구에서 각각 18%, 16%, 13% 증가하며, SO2는 전북 85% 증가, 대구, 충남에서 6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배출량 변화에 따른 대기질 변화를 살펴본 결과, 배출량 증가가 크게 나타났던 전북과 충남 지역에서 멀리 이격된 전남과 대구 지역에서 대체로 큰 변화율로 대기질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기질 농도가 기상 흐름과 복잡한 광화학 반응에 의해서 나타나므로 당연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현재 대기질 농도 대비 24시간 SO2의 경우 겨울철과 여름철에 대구에서 각각 44.6%, 61.5% 증가하며, 24시간 PM10의 경우 겨울철에 대구에서 6.4%, 여름철에 전북에서 11.7% 증가하였다. 그리고 24시간 NO2의 경우 겨울철에 전남에서 11.6%, 여름철에 전북에서 29.4% 증가하였다.


June 5th, 2008, "Special Cases for streamlining permit procedures of Industrial Complex” (Law No. 9106) was enacted, and when it was implemented in August of the same year, a large number of development plans for industrial complexes were established. In April 2010, the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raised concerns about the oversupply of industrial complexes which had exceeded the fixed demand stipulated in the "Industrial Sites Supply Plan". However, the supply of industry complexes, their location appropriateness, environmental impacts of each individual project were reviewed, and regional comprehensive reviews for environmental impact were not undertaken. In terms of local air quality management, a long-term development plan rather than a single development plan that changes the air quality through a comprehensive assessment is necessary to forecast in advance the creation of development plans. However, development plans to improve and manage the regional air quality have not yet been created becaus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for individual projects are still being conducted without comprehensive pre-assessments. In addition, wide assessments that include adjacent areas with municipalities are required because the air quality of adjacent areas will be affected according to the weather. Therefore, we determined the adequacy of supply planning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future supply by reviewing the impact of the National Industrial Complex Supply Plan on the air quality. To this end, we checked the air quality changes by applying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plan that completed the consultation at the end of 2010 and presented the Adequacy Review Plan (plan) of future development plans based on the study's results. According to the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Plan, emissions mainly increased in the Jeonbuk and Chungnam area as a result of the emission estimation. Compared to the current emission levels, CO emissions increased by 4% in Chungnam and Jeonbuk, as well as by 2.5% in Daegu. NOx emissions increased 18% in Jeonbuk, while increasing 15% in Chungnam and Daegu. In the case of PM10, emissions increased 18%, 16%, and 13% in Jeonbuk, Chungnam, and Daegu respectively. For SO2, emissions increased 85% in Jeonbuk, while increasing 60% in Daegu and Chungnam. As a result of emission changes, a big difference in air quality concentration was generally observed in Jeonnam and Daegu spaced away from Jeonbuk and Chungnam indica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emissions. These results were transpired because the air quality concentrations are influenced by weather and complex photochemical reactions. In particular, 24hr SO2 concentrations of Daegu increased by 44.6% during winters and by 61.5% during summers when compared to current air quality concentrations. In the case of 24hr PM10, concentrations increased by 6.4% in Daegu during winter and by 11.7% in Jeonbuk during summer. 24hr NO2 concentrations in Jeonnam increased by 11.6% during winter and 29.4% during summer. Based on these results, the Adequacy Review Plan (plan) of future development plans is proposed as follows: ? Substances: PM10, SO2, NO2, CO, O3 ? High pollution areas, such as air quality regulated regions and special policy districts - Upon execution of development plans, review whether environmental standards are in excess. ?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background areas - Upon execution of development plans, review whether air quality levels are in excess based on 10~20% when compared to current levels. - As secondary pollutants are generated by complex photochemical reactions, review the number and area size of exceeding 1hr, 8hr average environmental standard. However, in performing this study, limitations have risen due to the lack of ensuring resources and limited research period. In particular, sustainable complementary is now needed to improve the limitations of calculation unit methods. Additionally, subsequent studies about the adequacy reviews of development plans are needed to complement the policy proposals and derive policies through their findings. In this study, we searched the methodology and application for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plans in terms of atmospheric environment. Base on the study's findings, it is necessary to build a comprehensive SEA tool by adding other environmental items.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가. 국내 산업단지 개발절차
나. 전략환경평가의 개념 및 필요성
2. 연구 목표

제2장 산업단지 개발계획
1. 권역별 개발현황
2. 산업단지 개발계획 및 배출량 조사

제3장 개발계획에 따른 배출량 전망
1. 배출량 전망 방법
가. 이용 자료 목록
나. 이용 프로그램
다. 처리 방법
라. 산업단지 digitizing 결과
2. 배출량 전망
가. 기준 배출량
나. 개발계획에 따른 배출량 변화

제4장 개발계획에 따른 대기질 평가
1. 대기질 전망 방법
가. 기상자료
2. 개발계획에 따른 대기질 평가
가. 현황 농도
나. 산업단지 개발계획 적용에 따른 대기질 변화
다. 물질별 최고 영향 지역 분석

제5장 개발계획의 적정성 평가 방안(안) 및 개선사항

제6장 결 론

참고 문헌

Abstract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