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발전교육(ESD) 강화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김호석 -
dc.contributor.author 강상규 -
dc.contributor.author 최석진 -
dc.contributor.other 김용구 -
dc.contributor.other 구재남 -
dc.contributor.other 송종진 -
dc.contributor.other 오혜재 -
dc.contributor.other 박수연 -
dc.contributor.other 장경애 -
dc.contributor.other 김기철 -
dc.contributor.other 이근호 -
dc.contributor.other 김미진 -
dc.contributor.other 김웅 -
dc.contributor.other 박한준 -
dc.contributor.other 서은정 -
dc.contributor.other 염광희 -
dc.contributor.other 오기성 -
dc.contributor.other 오현아 -
dc.contributor.other 윤지현 -
dc.contributor.other 원종빈 -
dc.contributor.other 전성수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6:02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6:02Z -
dc.date.issued 20111114 -
dc.identifier A 환1185 정2011-06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814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11/수시2011_06_김호석.pdf -
dc.description.abstrac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is essential to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refore, can be a strong platform and a diverse linkage to many forms of sustainable development tool that has been employed. ESD has encouraged consistent endeavors to support educational programmes and systems including both methods and contents for unsustainable and less developed societies and countries. ESD has an impact on all components of economy, ecosystem, education, legislation, policy, etc. That is to say, ESD can be used as a driving force to induce norms of lifelong learning and increase feasibilit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case of South Korea, as that the educational needs of people in the world changes constantly, the roles of ESD in South Korea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Korean people changes as well. Accordingly, responding the needs and reinforcement of ESD in Kore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cluding green growth, this paper introduces educational programs and content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South Korea. Many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in Korea have already implemented ESD. For instance, educators not only weave substantiality themes into compulsory education employing participatory methods, but also a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decision makers intend to raise people’s awareness on ESD with the norm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reen growth. In fact,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Korea has implemented many programmes using an ESD approach to learning which is essential for improving substantiality.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course of study, norm of ESD has been treated. In 2009, new curriculum for public education was adopted. Therefore, the paper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ESD in South Korea, properties and problems of ESD in Korea, and introduces the case of Germany and Japan. In addition, in order to support educators at front-line who need an guidebook for his or her students, the introductory contents for ESD are included. -
dc.description.abstract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교육인 동시에 인류가 직면한 생태계 문제와 경제적, 사회적 발전의 관계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필요로 하는 분야이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인식관련 학습과 이론적 논의뿐만 아니라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지속가능성을 성취하기 위한 필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학교교육에서 가장 영향을 주는 것은 교육과학기술부가 고시하는 국가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이며, 이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개발하는 교과용 도서(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등)이다. 교과용 도서에 한번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이 포함 및 강조되면 다음 교육과정 개정(우리나라는 평균 개정 주기는 5년~10년)까지 관련 내용을 의무적으로 지도하고 각종 시험에 출제하게 된다. 정부는 2009년 새 교육과정을 개정하여 이미 총론 편제를 고시하였고, 2011년 중으로 각 교과목의 목표와 내용 체계 등을 포함하는 교육과정을 개발하도록 교육과학기술부 방침으로 공고하고 있다. 이에 최근 지속가능발전교육 이슈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2009년 개정 초?중등 교육과정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강화 방안 마련과 각 교과목 교육과정에 교과목의 특성을 고려하면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반영하고 강화하기 위한 자료의 개발과 제공이 필요하다. 이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독일 및 일본의 동향을 살펴보고, 초?중등학교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3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각 교과목별로 현행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내용의 분석을 통하여 지금까지 교육과정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포함 정도와 수준 등을 분석하고 2009년 새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주요과목별(국어, 도덕(윤리), 사회, 과학, 체육, 실업(기술?가정), 영어, 중학교 환경과 녹색성장, 창의적 체험활동) 지속가능발전 참고자료를 제시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1부: 최근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목표와 내용체계 및 이슈 <br><br>제1장 서론 <br>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br><br>제2장 국내 지속가능발전교육 현황 및 문제점 <br> 1.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의의 및 중요성 <br> 2. 국내 지속가능발전교육 주요 정책 및 이행 현황 <br> 3. 국내 지속가능발전교육 추진의 문제점 <br><br>제3장 주요 외국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동향 <br> 1. 독일의 지속가능발전 교육 강화 및 구현을 위한 노력과 사례 <br> 2.일본의 지속가능발전 노력과 사례 <br><br>제4장 초?중등 지속가능발전교육 현황과 문제점 및 강화방안 <br> 1.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배경과 특징 <br> 2. 2009 개정 교육과정과 지속가능발전 교육 <br> 3. 교육과정에서의 지속가능발전 교육 강화 방안 <br><br>2부: 2009년 개정 교육과정 주요 교과에서의 지속교육 강화 방안 <br><br>제1장 국어과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자료 <br> 1. 2009년 개정 과 교육과정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 분석 <br> 2. 개정 과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지도 및 강화의 의의 <br><br>제2장 도덕과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자료 <br> 1. 2009년 개정 과 교육과정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 분석 <br> 2. 과 교과용도서 참고 및 예시 자료 <br><br>제3장 사회과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자료 <br> 1. 2009년 개정 과 교육과정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 분석 <br> 2. 개정 과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지도 및 강화의 의의 <br> 3. 개정 과 교과용도서 및 기타 자료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의 지도 방법과 자료 정보 등 소개 <br> 4. 과 교과용도서 참고 및 예시 자료 <br> <br>제4장 과학과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자료 <br> 1. 2009년 개정 과 교육과정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 분석 <br> 2. 개정 과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지도 및 강화의 의의 <br> 3. 개정 과 교과용 도서 및 기타 자료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의 지도 방법과 자료 정보 등 소개 <br> 4. 외국 과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지도 상황 <br> 5. 과 교과용도서 집필자료 <br><br>제5장 체육과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자료 <br> 1. 2009년 개정 과 교육과정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 분석<br> 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체육과 교육과정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지도 및 강화의 의의<br> 3.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체육과 교과용도서 및 기타 자료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의 지도방법과 자료정보 소개 <br> 4. 체육과 교육용 도서 집필 예시 자료 <br><br>제6장 실과(기술·가정)과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자료 <br> 1. 2009년 개정 과 교육과정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 분석 <br> 2. 개정 과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지도 및 강화의 의의 <br> 3. 개정 과 교과용도서 및 기타 자료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의 지도 방법과 자료 정보 등 소개<br> 4. 교과 교과용도서 참고 및 예시 자료(1) <br> 5. 교과 교과용도서 참고 및 예시 자료(2) <br><br>제7장 영어과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자료 <br> 1. 2009년 개정 과 교육과정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 분석 <br> 2. 과 교과용 도서 집필 참고 및 예시 자료 <br><br>제8장 환경과 녹색성장과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자료 <br> 1. 2009년 개정 과 교육과정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 분석 <br> 2. 개정 과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지도 및 강화의 의의 <br> 3. 과 교과용 도서 참고 및 예시 자료 <br> <br>제9장 창의적 체험활동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자료 <br> 1. 2009년 개정 과 교육과정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 분석 <br> 2. 과 교과용 도서 참고 및 예시 자료 <br><br>참고 문헌<br><br>Abstract -
dc.format.extent 244p.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강화방안 -
dc.type 수시연구 -
dc.title.original An Intensification Study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dc.title.partname 정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1-06 -
dc.description.keyword 환경경제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im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o-Seok -
dc.contributor.affiliation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국제환경교육연구소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olicy Study(정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