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미세먼지(PM2.5)의 건강영향 평가 및 관리정책 연구(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공성용 -
dc.contributor.other 배현주 -
dc.contributor.other 윤대옥 -
dc.contributor.other 홍석표 -
dc.contributor.other 박해용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6:09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6:09Z -
dc.date.issued 20121231 -
dc.identifier A 환1185 연2012-03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892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9/001/기본2012_03_공성용.pdf -
dc.description.abstract 본 연구는 2015년부터 시행 예정인 PM2.5의 대기환경기준 신설에 따른 건강영향 및 관리정책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M2.5의 농도분포 및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 “PM2.5의 건강영향 평가 및 건강편익 산정”, “PM2.5의 배출량 추정 및 관리정책 로드맵”의 세 분야로 나누어 분야별 세부주제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1. PM2.5의 농도분포 및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 PM2.5 구성성분을 보면 황산암모늄과 질산암모늄의 질량이 전체 질량의 37%(겨울)~76%(여름)를 차지하고 있어 2차 입자의 비중이 크며, 이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한 PM2.5와 다른 오염물질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도 확인 되었다. 따라서 PM2.5 관리를 위해서는 1차 입자의 관리뿐만 아니라 2차 입자를 생성하는 SOx와 NOx 그리고 암모니아의 관리도 함께 필요하고 지역별로 PM2.5의 구성성분의 차이가 있기에 지역별 분석결과에 근거한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시간대별 PM2.5 농도 패턴은 도로 재비산 먼지가 PM2.5보다는 PM10의 농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도로 살수와 같은 대책들은 PM2.5 농도 개선에는 제한적인 효과를 가져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장거리 이동에 의한 황사는 PM2.5와 PM10 모두의 농도를 증가시키지만 상대적으로 PM10 농도 증가가 훨씬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체위해성 측면에서 PM2.5의 구성성분 중 OC와 중금속(특히 전이금속)은 유해성이 크기에 이러한 성분의 삭감 및 관리가 우선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dc.description.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health influence and to propose managing policy of PM2.5. The study had been classified into three sectors - 1) analysis of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and physical/chemical properties of PM2.5 2) influence of PM2.5 on health and social cost, 3) estimation of PM2.5 emissions and suggestion of management policy. 1) analysis of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and physical/chemical properties of PM2.5 Considering of PM2.5 composition( the mass ratio of ammonium sulfate and ammonium nitrate is 37%(winter)∼76%(summer)), secondary particles is important to reduce PM2.5 concentration. Therefore, there must be some measures to reduce not only primary particles but also SOx, NOx, and ammonium emissions. And there is difference in composition in PM2.5 depending on regions, it is desirable that control measures also are adjusted by regional peculiarities. The time concentration pattern of PM2.5 shows that road dust affects concentration of PM10 rather than PM2.5, which means that the measures such as spraying water on road will bring about restrictive effect on reducing concentration of PM2.5. Finally, OC and metals in PM2.5 are important compounds in aspect of harmfulnes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2. 연구 내용 <br><br>제2장 PM2.5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시계열 분석 <br>1. PM2.5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생성기전 <br> 가. 입경에 따른 먼지의 성분 <br> 나. PM2.5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독성 <br> 다. PM2.5의 생성기전 및 발생원 <br>2. 일반대기오염물질과 기상인자의 시계열 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 <br> 가. 기상현황 <br> 나. 일반대기오염물질의 시계열 분석 <br> 다. 대기오염물질 및 기상인자 상호 간의 상관관계분석 <br>3. PM2.5 주요성분의 특성 <br> 가. 탄소성분 <br> 나. 이온성분 농도 <br> 다. 금속성분 농도 <br> 라. 다환방향족탄화수소 <br>4. 황사의 영향 <br> 가. 황사 사례 시 기상상태 <br> 나. 황사/비황사 사례 시 일반대기오염물질의 농도 변화 및 일변화 특성 <br> 다. 황사/비황사 사례 시 대기오염물질 및 기상인자 사이의 상관관계 <br>5. 황사/비황사 사례 시 미세먼지 중 화학적 조성 <br>제3장 PM2.5의 건강영향 평가 및 건강편익 산정| <br>1. 관련 선행 연구 54<br> 가.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에 의한 건강영향 <br> 나. 대기오염농도 변화로 인한 건강영향 추정 <br>2. 건강영향 분석 자료 및 통계 분석 방법 <br> 가. 분석 범위 및 분석 자료 <br> 나. 대기오염의 건강영향 분석 방법 <br> 다. BenMAP을 이용한 건강영향의 추정 <br>3. 연구결과 <br> 가. 기본 자료에 대한 분석 <br> 나. 미세먼지 농도 증가로 인한 사망영향 <br> 다. 초미세먼지 농도 증가로 인한 사망영향 <br> 라. 대기오염 농도 개선에 따른 건강영향 추정 <br><br>제4장 PM2.5의 배출량 추정 및 관리정책 로드맵 <br>1. PM2.5 배출량 추정 <br> 가. 배출량 산정방법 <br>2. PM2.5 배출량 산정 결과 <br> 가. 중분류별 배출량 결과 <br> 나. 소분류별 PM2.5 배출량 결과 <br> 다. 배출량 산정 결과에 대한 검토 <br>3. 기존 배출량 자료와의 비교 <br> 가. 총 PM2.5 배출량 비교 <br> 나. 대분류별 PM2.5 배출량 비교 <br> 다. 중분류별 PM2.5 배출량 비교 <br> 라. 소분류별 PM2.5 배출량 비교 <br>4. PM2.5 관리 정책 미국 사례 <br> 가. 뉴욕 주(州) <br> 나. 남가좌 주(州) <br>5. 국내 관리정책 로드맵(사업장을 중심으로) <br> 가. 정책방향 결정을 위한 고려 요소 <br> 나. PM2.5 관리 전략 <br> 다. 추진 과제 및 로드맵 <br><br>제5장 결론 및 제언 <br><br>참고 문헌 <br><br>부록 <br><br>Abstract -
dc.format.extent 190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초미세먼지(PM2.5)의 건강영향 평가 및 관리정책 연구(Ⅰ)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A study on the health impact and management policy of PM2.5 in Korea(I)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2-03 -
dc.description.keyword 환경보건 -
dc.rights.openimage Y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Gong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eong-Yong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