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적응 정보 통합지원 체계구축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전성우 -
dc.contributor.other 이명진 -
dc.contributor.other 이정호 -
dc.contributor.other 박용하 -
dc.contributor.other 이은진 -
dc.contributor.other 김근한 -
dc.contributor.other 박송미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6:10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6:10Z -
dc.date.issued 20121031 -
dc.identifier A 환1185 연2012-08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902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9/001/기본2012_08_전성우.pdf -
dc.description.abstract 전 지구적으로 극단적 기후현상의 심화에 따른 영향 및 피해가 극대화, 빈번화, 다양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향후 기후변화에 의한 기상이변 및 현 세대와 미래세대가 직면하게 될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적응 정책 및 적응 조치는 기후변화 대응에서 필수적 요소이다. 이를 위해 여러 위험을 동시에 고려한 기후변화 적응 정책 수립 및 기후변화와 기후변화 적응 관련 정보 활용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즉, 국가적으로 기후변화 대응 및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기후변화 적응 정보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복합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기후재난을 대응/적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정보의 통합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 기후변화 정보는 약 160개 사이트 및 시스템에서 산발적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기후변화 전문 자료보다는 기후변화 현상에 대한 일반 자료에 국한되어 있어 과학적 검증자료가 부족하고 신규 자료 갱신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공신력 있는 기후변화 적응 정보는 부처 및 기관, 분야별 정보가 산재되어 있어 보다 정확한 정보파악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한계점과 문제점을 인식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및 기후변화 적응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기후변화 적응 정보 통합지원 체계구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적응과 관련하여 첫째, 국내·외 기후변화 적응 및 기후변화 적응 정보의 정의하였다. 둘째, 국내·외 정보시스템 사례 및 적응 정보 현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기후변화 적응 정보 현황 분석을 위하여 국내 기후변화 관련 법·제도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분석된 유관기관 업무현황과 법·제도 관련 사항을 통해 향후 기후변화 적응 정보 통합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방향을 도출해보았다. 넷째, 기후변화 적응 정보 분석에서는 연계정보 대상 시스템별 기후변화 적응 정보 현황 조사, 기존 정보 연계 및 신규 생성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이를 기반으로 분야별 기후변화 정보 항목을 도출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 Recently, impacts and damages of extreme climate change have already affected on worldwide, including Korea. Thus adaptation and action plan are essential concepts in minimizing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In order to introduce climate change adaptation decision-making measure, the need for high-quality and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within adaptation policy has increased enormously. However, most of adaptation information is based on different sources and various backgrounds. Currently, domestic climate change information is disseminated from about 160 internet sites and most of them are limited to general information of climate change, rather than information that are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Also,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updating new resources. Reliable climate change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different agencies, which makes users difficult to locate right information they need. As a progres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se problems, we carried out research o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For meeting this study objective, our solution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defined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information. Second, we analyzed cases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intelligence system and the status of current climate change adaptation information in Korea and abroad. Third, we studied domestic laws related to climate change inform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climate change adaptation information. Then we derived how to construct a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urth, we investigated status of climate change information which integration target system offers, and we derived sectoral climate change information. Fifth, we suggested application of 4 sectors such as observation and prediction, health, agriculture and disaster to climate change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application of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based on damages incurred by heat wave and primary industries. Sixth, we suggested integrating the information system for adaptation and phased implementation plan for establishing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climate change.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2. 연구 목적 <br>3. 연구 범위 및 방법 <br><br>제2장 · 기후변화 적응 정보 환경 분석 <br>1. 기후변화 적응 개요 <br>가. 기후변화 적응 정의 <br>나. 기후변화 적응 정보 정의 <br>2. 국내·외 선행 사례 분석 <br>가. 국내 사례 분석 <br>나. 국외 사례 분석 <br>3. 적응 정보 현황 분석 <br>가. 유관기관 분석 <br>나. 법·제도 분석 <br>다. 발전방향 <br><br>제3장 · 기후변화 적응 정보 분석 <br>1. 분야별 기후변화 정보 분석 <br>가. 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br>나. 건강 <br>다. 농업 <br>라. 재난/재해 <br>2. 연계정보 대상 시스템 <br>가. 시스템별 기후변화 적응 정보 현황 <br>3. 기존 정보 연계 및 신규 생성 <br>가. 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br>나. 건강 <br>다. 농업 <br>라. 재난/재해 <br>4. 분야별 기후변화 정보 항목 도출 결과 검토 <br><br>제4장 · 통합지원 체계 활용방안 <br>1. 분야별 활용방안 <br>가. 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br>나. 건강 <br>다. 농업 <br>라. 재난/재해 세부 활용 방안 <br>2. 통합지원 체계 활용 방안 <br>가. 폭염 관련 활용 방안 <br>나. 1차 산업 관련 활용 방안 <br><br>제5장 · 통합지원 체계 수립 방안 <br>1. 목표 시스템 구성 및 비전 <br>가. 추진목표 <br>나. 목표시스템 개념도 <br>2. 단계별 이행계획 수립 <br>가. 이행계획 수립 <br>나. 1단계 <br>다. 2단계 <br>라. 3단계 <br>3. 통합지원 체계 수립의 경제적 효과 <br>가. 비용편익 분석의 개념 <br>나. 비용편익분석기법 검토 <br>다. 기후변화 적응 통합지원 체계의 비용편익 분석 <br><br>제6장 · 결론 및 제언 <br>1. 연구요약 <br>2. 정책 제언 <br>가. 정보 공동 활용 및 연계 개선방안 <br>나. 정보 공동 활용을 위한 전략 제언 <br>3. 고찰 및 향후 연구과제 <br><br>참고 문헌 <br><br> 중앙 부처 및 유관기관 기후변화 업무 현황 분석 <br> 분야별 기후변화 적응정보 현황 <br> 분야별 정보 활용방안 목록 <br><br>Abstract -
dc.format.extent 170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기후변화 적응 정보 통합지원 체계구축에 관한 연구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A study o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2-08 -
dc.description.keyword 기후변화대응 -
dc.rights.openimage Y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eon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eong Woo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