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따른 화학물질 위해성 관리방안 Ⅱ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박정규 -
dc.contributor.other 서양원 -
dc.contributor.other 간순영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6:11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6:11Z -
dc.date.issued 20121031 -
dc.identifier A 환1185 연2012-10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907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9/001/기본2012_10_박정규.pdf -
dc.description.abstract Research for climate change and the management of chemicals, or the chemical risk associated with the climate change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merely suggesting the limitations of the risk management policy and the needs for further relevant researc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risk of chemicals and identify the work needed to be done for preparing and implementing the risk management. In the second year of this study, first,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substances whose toxicity or exposures can be affected by climate change were defined as ‘chemicals suspected to be affected by climate change'. A total of 215 chemicals were listed as the chemicals suspected to be affected by climate change. They are as follows: (1) 45 metals and heavy metals including zinc, tin, silver, lithium, mercury, nickel, lead, iron, copper, chromium, aluminum, asbestos, cadmium (2) 50 inorganic compounds and other chemicals including bromine, chlorine, carbon, nitrogen, fluorine, sulfur, cyanine elements and their compounds, oxides, and free radicals (3) 120 organic compounds including POPs, PAHs, chlorinated organic compounds, organic brominated compounds, organic fluorine compounds, aromatic compounds, hydrocarbons, dioxins, furans, and aldehydes. The list of the chemicals suspected to be affected by climate change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selecting chemicals to scrutinize alteration of chemical risk due to climate change by climate factors. Additionally, it can be referenced as basic materials for establishment of various chemicals and climate change management plans. -
dc.description.abstract 기후변화는 환경매체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직·간접적으로 변화시키고, 이는 환경에 존재하는 다양한 환경오염물질의 분포와 거동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기후변화와 화학물질 관리 또는 위해성 변화와 관련된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에 머무르고 있으며, 주로 그동안의 위해성 관리정책의 한계점을 파악하고, 관련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가 화학물질의 위해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위해성 관리측면에서 준비하고 시행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2차년도에서는 첫째, 기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화학물질의 독성 및 노출량이 변화하거나, 환경매체의 특성변화로 인하여 그 위해성이 변화할 가능성이 있는 화학물질을 ‘기후변화 영향 의심물질’로 도출하여 정리하였다. 총 215종이 기후변화 영향 의심물질 목록으로 추출되었으며, 이중 금속 및 중금속류는 아연, 주석, 은, 니켈, 수은, 리튬, 납, 철, 구리, 크롬, 알루미늄, 석면, 카드뮴을 포함한 45종, 무기화합물 및 기타 화학물질로는 브롬, 염소, 탄소, 질소, 시아닌, 불소, 황 등의 원소 및 화합물, 산화물 및 자유원자단 등의 50종이었으며, 유기화합물은 POPs, PAHs, 유기염소화합물, 유기브롬화화합물, 유기불소화합물, 방향족화합물, 탄화수소화합물, 다이옥신/퓨란, 알데하이드 등 120종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기후변화 영향 의심물질 목록은 향후 기후인자별 연구 대상이 되는 물질을 선정하고 그에 따른 다양한 연구 및 관리 방안의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br>2. 연구의 목적 및 방법 <br>3. 연구 추진체계 <br><br>제2장 선행연구의 보완 및 최근 연구동향 분석 <br>1. 1차년도 연구의 요약 및 정리 <br> 가. 기후변화에 의한 화학물질의 위해성 변화 메커니즘 <br> 나. 연구동향 분석을 위한 자료구축 <br> 다. 화학물질 거동영향 및 민감도 분석 <br>2. 1차년도 연구의 보완 및 개선 <br> 가. 관련연구 DB의 보완 및 개선 <br> 나. 다매체동태모형의 보완 및 개선 <br>3. 1차년도 연구 이후의 관련 연구동향 분석 <br><br>제3장 기후변화 영향 의심물질 도출 <br>1. 용어의 정의 및 도출방법 <br> 가. 기후변화 영향 의심물질의 정의 <br> 나. 기후변화 영향 의심물질 목록(안) 선정 방법 <br>2. 기후변화 영향 의심물질 <br> 가. 기후변화 영향 의심물질 목록 및 종류 <br> 나. 주요 기후변화 영향 의심물질의 특성 <br>3. 기후인자별 주요 의심물질의 위해성 변화 및 관련 제품군 <br> 가. 온도 <br> 나. 자외선량 변화에 따른 의심물질군 <br> 다. 기타 기후변화에 따른 의심물질군 <br>4. 시사점 <br><br>제4장 기후변화에 따른 화학물질의 거동영향 분석 <br>1. 기후변화의 영향 분석 <br> 가. A1B 시나리오에 의한 기상조건의 변화 <br> 나. 기후변화조건에서 농도변화의 특성 <br> 다. 기상인자영향의 민감도 <br>2. 강원 지역의 기후변화조건에 대한 대기 중 농도변화의 민감도 <br>3. 시사점 <br> <br>제5장 · 기후변화 영향 의심물질의 관리동향 <br>1. 기후변화 영향 의심물질의 국가별 관리동향 <br> 가. 무기화합물 및 기타 화합물류 <br> 나. 금속 및 중금속류 <br> 다. 유기화합물 <br>2. 국내 배출량 및 유통량 현황 <br> 가. 국내 배출량 현황 <br> 나. 국내 유통량 현황 <br>3. 국가별 환경기준 비교분석 <br> 가. 대기환경기준 <br> 나. 수질환경기준 <br> 다. 토양환경기준 <br>4. 시사점 <br>제6장 · 기후변화를 고려한 화학물질 위해성 관리방안 <br>1. 기후변화를 고려한 화학물질 위해성 관리의 패러다임 변환 <br>2. 기후변화에 따른 위해성 영향 연구 <br> 가. 화학물질 위해성 평가방법의 개선 <br> 나. 기후변화에 따른 화학물질 위해성 연구방향 <br>3. 기후변화에 따른 위해성 관리 정책 <br> 가. 기후변화 영향 의심물질 관리정책 <br> 나. 민감 제품 관리정책 <br> 다. 매체별 관리정책 <br> 라. 취약계층 집중관리 <br>4. 기후변화 영향 의심물질의 위해저감 정책 <br><br>제7장 · 결 론 <br><br>참고 문헌 <br><br> <br><br>Abstract -
dc.format.extent 233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기후변화에 따른 화학물질 위해성 관리방안 Ⅱ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Chemical risk management in a climate change Ⅱ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2-10 -
dc.description.keyword 환경보건 -
dc.rights.openimage Y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Park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eong Gue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