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력 및 해상풍력사업 환경평가방안 연구 : Ⅰ. 조력발전사업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맹준호 -
dc.contributor.other 김태윤 -
dc.contributor.other 박혜진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6:13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6:13Z -
dc.date.issued 20121231 -
dc.identifier A 환1185 사업2012-04-03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938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14/001/사업2012_04_03_맹준호.pdf -
dc.description.abstract Without a robust guideline for environmental investment and predicting environmental impact, many development projects near coastal and estuarine areas have been conducted. The reason is that each project has its own characteristics so it is impossible to apply a single guideline to all of different project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guideline for the appropriate evalu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from the tidal power project at Garolim Bay. The guideline is focused on four essential subjects (hydrodynamics and water quality, sediment, estuarine biota, and halophytic wetlands) and describes environmental investment and predicting environmental impact for each item. For hydrodynamics and water quality, important factors include change of intertidal areas, flow patterns inside the bay areas, water exchange time(or residence time), exposed time of intertidal areas, salinity and temperature alternation, water quality deterioration (eutrophication and oxygen depletion) etc. For sediment, core issues contain short―and long―term sedimentation inside the bay areas, seasonal bathymetry change, sediment transport through the entrance of bay, sedimentation and suspended sediment outside the bay areas, erosion and deposition rate at intertidal areas, development of muddy area, understanding the distribution of sediment by type and the movement of sediment after the project. The range of estuarine biotic communities is very broad including primary producers, benthic communities, shallow water communities, communities at intertidal areas. These estuarine biota can suffer from change of flow pattern, intertidal areas, salinity, residence time, tubidity in the water column, exposed time of intertidal areas, sedimentation, water quality leading to the alternation of primary production and biodiversity. Thus, study of the estuarine biota requires the forecasting of biodiversity and changes in productivity based on hydrodynamics, sediment and water quality forecasting; however, uncertainty is likely to be substantial. As there is likely to be displacement of halophytic wetlands located in the upper intertidal zone after the project, appropriate policies will need to be devised. -
dc.description.abstract 연안역 주변으로 많은 개발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에 대한 환경영향조사 및 예측에 관한 구체적인 방향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 이유는 개발사업마다 연안환경에 주는 피해가 서로 상이하여 일률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가로림만 조력발전사업을 중심으로 환경영향조사 및 예측에 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사업시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연안환경변화를 이해하려는 데 있다. 가로림만 조력발전사업 시행 전 수행되어야 할 환경영향 조사 및 예측에 필요한 사항들을 해양환경 중심으로 정리하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해양환경 분야를 연안물리 및 수질, 연안퇴적물, 해양 동식물, 염생습지로 구분하여 서술하였다. 연안물리 및 수질의 경우는 조간대 면적, 만 내 흐름 변화, 해수교환율, 조간대 노출시간, 수온 및 염분변화, 수질악화(부영양화와 저산소 현상) 등이 중요한 요소였으며, 퇴적물의 경우 가로림만 내 연안물리인자, 이송특성인자, 퇴적물 공급원 및 공급량, 퇴적상, 해저 및 조간대 지형, 퇴적물 물성특성인자, 수층 부유사 농도 등에 대한 조사가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사업 후 퇴적물 거동을 파악하는 것이 핵심이다. 해양생물에서는 조류(鳥類), 어류, 저서동물, 난·치자, 동물 플랑크톤, 식물 플랑크톤, 해조·해초류, 저서미세조류, 점박이물범 등의 포유류 등을 조사항목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들 생물에 미치는 주요 영향예측으로는 만 내측과 외측의 흐름변화, 염분도 변화, 해수교환율의 변화, 수층의 탁도 변화, 조간대·조하대의 면적 및 노출시간 변화, 퇴적현상 변화, 수질 변화, 수문 및 수차 운영으로 인한 영향 등이다. 아울러 만 내측과 외측에 서식하고 있는 희귀종이나 멸종위기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예측도 필요하다. 조력발전사업 후 상부 조간대에 위치하는 염생습지대의 전이가 예상되므로 현황조사 및 변화양상 예측이 필요하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서 론 <br>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br>2. 연구 내용과 범위 <br><br>제2장·가로림만 조력발전사업 환경영향평가 <br>1. 가로림만 지역 개관 <br>2. 가로림만 조력발전사업 추진경위 <br>3. 가로림만 조력발전사업 환경영향평가서 검토의견 정리 <br> 가. 초안 <br> 나. 본안 <br> 다. 보완 <br> 라. 재보완 <br>4. 주민 의견 정리 <br> 가. 어족자원에 관한 피해 <br> 나. 염전 <br> 다. 점박이물범 보호 <br> 라. 환경파괴 우려와 자연보전 <br> 마. 경제성 <br> 바. 발전 관련 <br> 사. 피해대책과 보상 관련 <br> 아. 환경영향평가서 작성 관련 <br> 자. 주민 의견 관련 <br> 차. 기타 <br>제3장·연안물리 및 수질 환경영향조사와 예측방안 <br>1. 가로림만의 연안물리 현황 <br> 가. 수심과 해저질 분포 <br> 나. 조석 및 바람 개관 <br> 다. 수질 <br>2. 환경현황조사 <br> 가. 조사개요 <br> 나. 조사 범위와 지점 <br> 다. 조사 시기와 기간 <br> 라. 조사방법 <br> 마. 결과 분석 <br>3. 환경영향예측 <br> 가. 예측도구 적용 과정 <br> 나. 예측범위 <br> 다. 예측항목 <br> 라. 예측도구선정-수치모형 중심으로 <br> 마. 모형 구축 <br><br>제4장·연안퇴적물 환경영향조사와 예측방안 <br>1. 가로림만의 퇴적현황 <br> 가. 퇴적물 유형 분포 <br> 나. 퇴적환경 <br> 다. 퇴적물 기원 <br> 라. 태풍에 의한 퇴적물 이동 <br> 마. 부유퇴적물의 계절적 변동 <br>2. 환경현황조사 <br> 가. 조사개요 <br> 나. 조사항목 <br> 다. 조사 범위와 지점 <br> 라. 조사 시기와 기기 <br> 마. 조사방법 <br> 바. 결과 분석 <br>3. 환경영향예측 <br> 가. 예측도구 적용 과정 <br> 나. 예측범위 <br> 다. 예측항목 <br> 라. 예측도구선정-수치모형 중심으로 <br> 마. 모형 구축 <br><br>제5장·해양 동식물 환경영향조사와 예측방안 <br>1. 가로림만의 갯벌생태계 현황 <br>2. 환경현황조사 <br> 가. 조사개요 <br> 나. 조사 범위와 지점 <br> 다. 조사 시기와 기간 <br> 라. 조사방법 <br>3. 환경영향예측 <br> 가. 갯벌생태계 영향예측 <br> 나. 부유계-저서계 생태계 모델을 이용한 영향예측 <br> 다. 공사 시와 운영 시 주요 영향예측 항목 <br><br><br>제6장·염생습지 환경영향조사와 예측방안 <br>1. 가로림만의 염생습지 현황 <br> 가. 식물상 <br> 나. 식생 및 식생도 <br>2. 환경현황조사 <br> 가. 조사개요 <br> 나. 조사 범위와 지점 <br> 다. 조사 시기와 기간 <br> 라. 조사방법 <br> 마. 결과 분석 <br>3. 환경영향예측 <br> 가. 예측범위 <br> 나. 예측항목 <br> 다. 결과 제시 <br><br>제7장·결론과 제언 <br><br>참고 문헌 <br><br> 가로림만 조력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 검토의견 정리(환경부) - 초안 <br> 가로림만 조력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 검토의견 정리 - 본안 <br> 가로림만 조력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 검토의견 정리 - 보완 <br> 가로림만 조력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 검토의견 정리 - 재보완 <br><br>Abstract -
dc.format.extent 226 p.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조력 및 해상풍력사업 환경평가방안 연구 : Ⅰ. 조력발전사업 -
dc.type 사업보고서 -
dc.title.original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offshore wind farm projects -
dc.title.partname 사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2-04-03 -
dc.description.keyword 환경평가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Maeng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un Ho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roject Report(사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