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적응 랜드마크 사업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채여라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6:17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6:17Z -
dc.date.issued 20111220 -
dc.identifier A 녹5300 2011-01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973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5/006/기후변화적응랜드마크사업연구_채여라.pdf -
dc.description.abstract 기후변화는 수자원, 산림생태계, 건강, 사회기반시설 등의 사회 전반에 걸쳐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IPCC(2007)는 기후변화의 원인 물질인 온실가스 배출을 지금부터 당장 획기적으로 줄인다고 해도 향후 수십 년 간 지구 기온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현재의 국제 온실가스 저감노력이 완벽히 성공하더라도 향후 2℃ 이상의 기온 상승은 불가피하다. 이러한 기후변화 영향은 미래 사회의 지속적인 발전과 인류 평화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될 것이다. 따라서 기후변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적응사업의 시행은 필수적이며, 이미 많은 국가들이 적응전략에 대해 계획 수립 및 실행 단계에 있다. 효율적인 기후변화 적응사업을 위해서는 국가, 지역, 지자체 등의 다양한 수준에서 부문별로 적응대책에 대한 적절한 선택이 이루어져야 한다. 영국, 이탈리아, 네덜란드 등을 포함한 유럽 여러 국가들과 미국, 호주, 일본 등의 선진 국가들은 이미 기후변화 적응대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시행해 왔다. 영국은 도시 기후변화 적응전략과 홍수에 대비한 Thames Estuary 2100 등의 사업을 실시하였고, 호주는 저수지 모니터링, 물관리 사업 등을 통해 가뭄에 대비하고 있다. 일본은 지하저류시설, 슈퍼제방 등의 시설을 통해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2010년에 수립한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이행을 위해 중앙부처와 지자체에서 상세추진계획을 마련 중이며 기후변화 영향·취약성 평가 및 적응기술 개발을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외적으로 기후변화 적응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불확실성이 높은 기후변화의 특성상 분야별로 시행된 적응대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공개된 사례는 그리 많지 않다. 본 연구는 다양한 접근을 통해 국외 대표적인 기후변화 적응사례들을 발굴하여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 적응기반을 구축하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개요 <br> 가.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r> 나. 연구의 내용 및 방법 <br> 2. 기후변화 적응의 개요 <br> 가. 기후변화 적응의 개념 <br> 나. 기후변화 적응대책의 유형 및 분류 <br> 3. 기후변화 적응 랜드마크(Landmark) <br> 가. 적응 랜드마크의 개념 <br> 나. 적응계획 수립을 위한 평가 과정 <br><br>제2장 국내·외 기후변화 적응전략의 현황 <br> 1. 기후변화 적응전략의 주요 특징 <br> 2. 영국의 적응전략 <br> 3. 유럽 국가들의 적응전략 <br> 4. 호주의 적응전략 <br> 5. 미국의 적응전략 <br> 6. 한국의 적응전략 <br><br>제3장 국가별 대표적 기후변화 적응사업 <br> 1. 영국 <br> 가. 기후변화에 대한 부문별 대응대안 모색 <br> 나. 맨처스터(Manchester)의 도시환경의 기후변화 적응전략 <br> 다. 템즈강 하구관리계획(Thames Estuary 2100, TE2100) <br> 라. 해안선관리계획(Shoreline Management Plan, SMP) <br> 마. 런던의 홍수위험지도 제공 <br> 바. 에코타운(Eco Town) 프로젝트 <br> <br> 2. 네덜란드 <br> 가. 21세기 신물관리정책 <br> 나. 로테르담市의 기후안전계획(Rotterdam Climate Proof Approach) <br> 3. 기타 유럽 <br> 가. 이탈리아 베니스 모세 프로젝트 <br> 나. 프랑스 Parc du Marquenterre 조류학 공원 <br> 4. 호주 <br> 가. 멜버른 저수지 모니터링<br> 나. 뉴사우스웨일즈의 기후변화 적응을 고려한 도시계획 <br> 5. 미국 <br> 가. 수자원 프로그램 <br> 나. 고온 건강 경보시스템 <br> 6. 일본의 치수 적응대책 <br> 7. 뉴질랜드의 폭우피해에 대한 대응 <br><br>제4장 분야별 대표적 기후변화 적응대책 <br> 1. 재난/재해분야 <br> 2. 물관리분야 <br> 3. 해양/수산분야 <br> 4. 건강분야 <br> 5. 농업분야 <br> 6. 산림생태계분야 <br> 7. 적응산업/에너지분야 <br><br>제5장 결론 및 시사점 <br><br>참고 문헌 -
dc.format.extent 98 p. -
dc.publisher 녹색성장위원회 -
dc.title 기후변화 적응 랜드마크 사업 연구 -
dc.type 수탁보고서 -
dc.contributor.department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
dc.description.keyword 기후변화대응 -
dc.identifier.citationtitle 수탁보고서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