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의 사회경제적 영향 평가 체계 및 자료 구축 방안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채여라 -
dc.contributor.other 김희정 -
dc.contributor.other 윤동근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6:22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6:22Z -
dc.date.issued 20130930 -
dc.identifier A 환1185 정2013-06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0032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11/002/수시2013_06_채여라.pdf -
dc.description.abstract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의한 사회경제적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전망하기 위해 부문별 사회경제적 영향의 주요 지표를 파악하고 분류 체계를 구축하였다. 주요 기후요소인 기온(평균기온 변화, 폭염, 혹한), 강수량(평균강수량 변화, 홍수, 가뭄, 폭설, 집중호우), 해수면 상승(침식, 범람), 태풍(폭우, 강풍) 등에 따라 건강, 수자원, 에너지, 사회기반시설, 건물, 농업, 어업, 임업, 관광, 운송/물류, 노동, 인명, 사회 불안정 등의 부문으로 분류하여 각 부문별로 기후변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영향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를 파악하고 해당 지표의 통계 집계 현황을 분석하였다. 재해와 관련한 통계 체계는 재해연보 등을 통해 상당 부문 구축되어 있었으나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은 상당 지표에 대한 집계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통계도 여러 기관에서 개별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기후변화의 사회경제적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 전망해 관리하기 위해서는 관련 지표 자료의 질 제고와 시·공간 스케일의 통일 등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 기후변화의 주요 사회경제적 지표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 및 분석은 적응대책 우선순위 선정 등에 있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framework for analyzing socio-economic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data collection. We identify major indicators of socio-economic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categorize them according to sector: health, water, energy, infrastructure, building, agriculture, fishery, forestry, tourism, industry, labor, human life, and social instability. Each indicator is associated with climate variables: temperature(average temperature increase, heat wave, severe cold), precipitation(average precipitation change, flood, drought, heavy snow, heavy rain), sea level rise(erosion, inundation) and typhoon(torrential rain, wind storm). We suggest 13 sectors, 35 socio-economic impacts and 102 indicators for categorizing in the assessment of socio-economic impacts of climate change. We also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data collection for each socio-economic indicators of climate change. We found that the dataset on climate change impacts was not established systematically in some sectors, such as health, and industry, whereas the dataset on disaster was well established. In order to systematically analyze socio-economic impacts of climate change, a data management system should be developed in a homogenous and continual way. Periodic monitoring of major indicators and analysis of socio-economic impacts will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prioritization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r>2. 연구개요 <br> 가. 연구 내용 <br> 나. 연구추진 방법 <br>3. 기후변화의 사회경제적 영향에 대한 주요 개념 <br> 가. 기후변화 영향 및 영향평가 <br> 나. 손실과 피해 <br> 다. 재난재해 분야의 영향 및 피해에 대한 정의 <br><br>제2장 기후변화의 사회경제적 영향에 대한 연구 분석 <br>1. 해외 연구 분석 <br> 가. Stern 보고서 <br> 나. IPCC 제4차 평가보고서 <br> 다. Garnaut 보고서 <br> 라. NRDC 보고서 <br> 마. ADB 보고서 <br> 바. EEA 2012 보고서 <br> 사. DARA 보고서 <br>2. 국내 연구 분석 <br> 가. 우리나라 기후변화의 경제학적 분석 <br> 나. 재해연보 <br> 다. 2012년 이상기후 보고서<br> <br>제3장 기후변화의 사회경제적 영향 평가 체계 및 자료 구축 현황 분석 <br>1. 기후변화 요인에 따른 주요 사회경제적 영향 지표 및 분류 체계 <br>2. 국내 재난재해의 피해 분류 체계 및 손실 집계 현황 분석 <br> 가. 국가재난정보센터 <br> 나.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 <br> 다. 국가통계포털 <br> 라. 재난종합상황 분석 및 전망 <br> 마. 국내 재난재해의 피해 데이터 분석 <br>3. 국내 기후변화의 사회경제적 영향 평가를 위한 통계 구축 현황 분석 <br><br>제4장 기후변화의 사회경제적 영향 평가 체계 및 자료 구축 방안 <br>1. 주요 부문별 사회경제적 영향 지표 및 자료 구축 방안 분석 <br> 가. 건강 <br> 나. 수자원 <br> 다. 에너지 <br> 라. 교통 <br> 마. 농업 <br>2. 주요 사회경제적 영향 지표에 대한 자료 관리 방안 <br>3. 기후변화 사회경제적 영향 분석을 위한 필요 자료 <br><br>제5장 결론 및 시사점 <br><br>참고 문헌 <br><br> 소방방재청의 인적 피해 및 경제적 피해 정의 <br> 시도별 자연재해 피해 현황 <br> 시군구별 자연재해 피해 현황 <br> 유형별 자연재해 피해 현황 <br> 기후변화의 사회경제적 영향 주요 지표별·기후요인별 통계 구축 기간 <br><br>Abstract -
dc.format.extent 223 p.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기후변화 -
dc.subject 사회경제적 영향 -
dc.subject 분류 체계 -
dc.subject 주요 지표 -
dc.subject 통계 -
dc.subject Climate Change -
dc.subject Socio-economic Impacts -
dc.subject Framework -
dc.subject Indicators -
dc.subject Dataset -
dc.subject Adaptation -
dc.title 기후변화의 사회경제적 영향 평가 체계 및 자료 구축 방안 연구 -
dc.type 수시연구 -
dc.title.original Developing a framework for analyzing socio-economic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data collection -
dc.title.partname 정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3-06 -
dc.description.keyword 기후변화대응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ae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Yeo-Ra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olicy Study(정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