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도국 지속가능발전 역량강화사업의 발전방향 : 연수사업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조을생 -
dc.contributor.other 심창섭 -
dc.contributor.other 권소현 -
dc.contributor.other 박태윤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6:24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6:24Z -
dc.date.issued 20131031 -
dc.identifier A 환1185 정2013-13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0045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11/002/수시2013_13_조을생_최종.pdf -
dc.description.abstract 국제사회에서 지속가능발전과 이를 위한 개도국의 원조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서는 개도국의 역량발전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UN을 비롯한 여러 국제기관들이 수원국의 역량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수원국 중심 및 성과 중심의 효과적인 원조사업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개도국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역량강화 지원은 대상 수원국과의 지속적인 상호의견 교환 및 협력을 통해 중장기적인 전략으로 수원국이 주인의식을 갖고 스스로 자국의 특성에 맞는 발전을 이룰 수 있는 지원 방식 및 협력 체계 구축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수원국의 사회, 경제, 환경적 요소, 국가전략 등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도국의 역량강화사업의 배경 및 기본구조를 살펴보고, 개도국의 역량강화를 위해 수행되었던 연수사업을 중심으로 국내외 사례를 비교하였다. 개도국들의 다양한 경제성장 수준 및 환경 수준차를 고려하여, 경제성장과 지속가능한 환경존속을 동시에 제고하기 위해서는 수원국과의 신뢰형성을 기반으로 한 지속적인 참여와 협의, 사후 모니터링 및 환류를 통한 역량강화 사업의 선순환적인 프로세스 구축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초기단계의 수원국 역량수준 분석은 명확한 목표 설정을 반영한 역량발전 프로그램의 기획, 모니터링 및 성과 평가 시 기준이 되는 것으로 역량발전 프로그램을 효과적·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국내의 역량강화 지원 연수사업의 경우 수원국의 수요조사와 연수사업 자체의 효과성에 대한 평가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수요분야의 역량수준 평가나 연수사업 종료 후 수원국의 역량발전 과정의 모니터링 및 성과 평가 체계는 미흡하다. 따라서 국내의 역량강화 사업 발전을 위해서는 우선 수원국의 역량 수준을 분석 및 기대 목표를 확인함에 따라 이를 토대로 격차를 줄이고 기대 역량 목표 달성이 가능한 분야의 우선순위 선정에 주력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역량 프로그램 이행의 선진화 방안이 필요하다. -
dc.description.abstract Due to the rising awarenes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wards the need for fostering capacity in developing countries in order to ensur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hanced effectiveness of aid, the United Nations and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re placing greater effort to contribute to developing capacity across aid recipient countries. A growing emphasis is placed on the importance of effective aid projects that are recipient-oriented and results-bas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capacit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developing countries, there must be a continued exchange of opinions and cooperation with recipient countries, and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medium- to long-term strategy with a means of providing support and a system of cooperation under which recipient countries can build a sense of ownership and pursue a course of development suited to national characteristics. This should be based on a thorough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societ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recipient countries, as well as their national strategies. This study explores the background and basic structures of capacity-building projects in developing countries, and compares domestic and overseas cases of training projects conduct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developing countries. Considering the different levels of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mong developing countries, the simultaneous pursuit of economic growth and sustainable preservation of the environment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a virtuous cycle for capacity-building projects, consisting of continued participation and consultation on the basis of trust-building with recipient countries, followed by ex post facto monitoring and feedback. Furthermore, the analysis of initial capacity in recipient countries is the foundation for planning, monitoring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capacity-building programs in reflection of clear objectives, thereby serving as a cornerstone for the effective and efficient implementation of such programs. In the case of training projects for capacity development in Korea, despite surveys conducted on demands in recipient countries and self-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projects, the evaluation of capacity levels in fields of demand remain insufficient, and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s in the monitoring an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s of the process of capacity development in recipient countries following the termination of training projects. Therefore, as a means to develop Korea’s capacity enhancement projects, it is necessary to take systematic and effective measures for the implementation of capacity-building programs that can analyze capacity levels of recipient countries and reduce the gap towards the anticipated levels, and focus on prioritizing areas that may attain the anticipated capacity goals. The prerequisite tasks and management measures to be pursued in the future include: (i) developing indicators to measure developing countries’ capacity in each theme area, and methods of evaluation; (ii) reinforcing the process of evaluating developing countries’ capacity and managing their achievements; (iii) strengthening capacity of institutions providing training; and (iv) providing greater support to educational program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2. 연구내용 범위 <br><br>제2장 개도국의 역량강화사업의 배경 및 기본구조 <br>1. 역량강화 정의 <br>2. 역량강화 사업의 형성배경 <br>3. 역량강화 원칙 및 기본구조 <br>4. 역량강화 패러다임 변화 <br><br>제3장 국내 역량강화 사업현황 <br>1. 국내 역량강화 사업의 개요 <br>2. 역량강화 사업의 국내 주요 수행기관의 사업내용 및 추진절차 <br>3. 국내 연수사업의 비교 및 시사점 <br><br>제4장 주요 선진기관의 사례분석 <br>1. GEF <br>2. JICA <br>3. SIDA <br>4. UN-HABITAT <br>5. UNITAR <br>6. 국외 연수기관 비교 및 시사점 <br><br>제5장 결론 및 제언 <br><br>참고문헌 <br><br>부록 <br><br>Abstract -
dc.format.extent 82 p.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지속가능발전 -
dc.subject 개도국의 역량강화 -
dc.subject 역량평가 -
dc.subject 역량측정 지표 -
dc.subject Sustainable Development -
dc.subject Capacity Development of Developing Countries -
dc.subject Capacity Evaluation -
dc.subject Indicators for Capacity Measurement -
dc.title 개도국 지속가능발전 역량강화사업의 발전방향 : 연수사업 중심으로 -
dc.type 수시연구 -
dc.title.original Direction for the enhancement of capacity build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developing countries : focus on training projects -
dc.title.partname 정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3-13 -
dc.description.keyword 국제협력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o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Eul-Saeng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olicy Study(정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