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자원에 대한 접근과 이익공유 실행을 위한 지역모델 개발(I)

Title
생물자원에 대한 접근과 이익공유 실행을 위한 지역모델 개발(I)
Authors
이현우
Co-Author
추장민; 오일찬; 배미례; 김동욱; 남정호; 한기원; 김진엽; 김태윤; 강창민; 강승진; 이욱재; 송관필; 현범석; 이범수
Issue Date
2013-12-31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Series/Report No.
연구보고서 : 2013-23
Page
172 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0100
Language
한국어
Keywords
생물다양성, 생물자원, 접근과 이익공유, 토착지역공동체, 제주도, ABS, Access and Benefit Sharing, Local-level Abs, Jeju Island, Indigenous and Local Communities
Abstract
2010년 10월 ?생물자원에 대한 접근과 이익공유(ABS)에 관한 나고야 의정서」가 타결됨 따라 국내외 토착지역공동체가 보유하고 있는 생물자원 및 전통지식에 대한 접근과 이익공유에 관한 국제적 레짐이 형성되고 있다. 토착지역공동체는 생물다양성이 매우 높은 지역에 살면서 소속 지역의 토착품종을 만들고 유지하는 등 생물다양성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자연자원에 관한 전통지식과 기술적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바이오산업이 급성장하고 있으나 국내 이용 생물자원의 상당량을 해외에서 들여오고 있어 ?나고야 의정서」 타결에 따른 영향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국가차원의 다양한 후속대책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자원이용국의 입장이기에 국가 주도적으로 적극적인 ABS 수용체계를 수립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국가는 다소 방어적으로 대처하더라도 지역의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하여 우수한 생물유전자원과 전통지식을 적극 보호?이용하는 지역단위 ABS 체계를 개발한다면 ?나고야 의정서」 이후의 국제질서에 대처하고 지역의 생물다양성보전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독특한 문화와 독립적 언어를 보유하고 있어 토착지역공동체에 가까운 제주도를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 지역주도형 ABS 국외 사례 및 제주도의 관련 현황을 분석하여 제주도의 지역주도형 ABS 시행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국외 사례로 필리핀, 코스타리카, 중국, 호주 등의 지역기반 ABS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 다음 제주도 현지 내외 생물자원과 전통지식 현황을 정리하였으며, 제주 생물자원의 이용 및 반출 현황과 제도 등을 통한 관리 현황, 생물자원에 대한 이익공유 현황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특히 관계자 면담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제주 생물자원의 이용과 반출 실태 및 이익공유 사례를 조사하였다. 이상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제주권 생물자원 관리와 이용의 문제점을 종합하여 제시하였고, 사회지리, 경제특성, 인프라, 지원제도 등의 측면에서 제주권 ABS 추진 여건을 분석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향후 제주권역 ABS 시행을 위한 정책추진 방향을 법규 정비, 운용체계 구축, 통합관리를 위한 과학기관 설립, 통합 DB 구축, 기금 마련, 인식 증진, ABS의 시범적 운용 등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향후 2차 연도 연구에서는 1차 연도 연구성과를 토대로 지역주도형 ABS 체계 구축?시행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① ABS 및 전통지식 관련 국제협상 동향 연구, ② 중국 등의 생물문화다양성 보호정책과 영향 조사, ③ 지역주도형 ABS 이행사례 비교연구, ④ 제주권 지역주도형 ABS체계 구축방안 마련, ⑤ 구체적인 ABS 시행 방안 마련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The Nagoya Protocol on ABS(Nagoya Protocol on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the Fair and Equitable Sharing of Benefits Arising from their Utilization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was adopted in October 2010. Accordingly, an international regime is being formed on access and benefit-sharing of biological resources and traditional knowledge possessed by worldwide indigenous and local communities(hereinafter referred to as ILCs). ILCs, residing in regions with rich biodiversity, breed and maintain indigenous varieties. Therefore, they make a crucial contribution to biodiversity protection. Also, they retain traditional knowledge and technical know-how on natural resources. The bio-industry in Korea has been growing rapidly, however, vast amount of biological resources are acquired from foreign countries.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 adoption of the Nagoya Protocol will have substantial effect on Korean bio-industry. Accordingly, the Korean government is discussing various follow-up measures at the national level. As Korea is more the user than the provider and is heavily dependent on other countries for the use of biological resources,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proactive ABS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Thus, rather than a direct response from the nation, provided that the local autonomous entity develops a local-level ABS system that protects and utilizes local biological resources and traditional knowledge, this system will be useful in contributing to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responding to the international situation following the adoption of the Nagoya Protocol. In this study, Jeju island, the region that is closest to ILC because of its unique culture and language distinguished from other regions of Korea, was chosen as a case study site. The study examined the international cases of local-level ABS system and current states of Jeju island, and then made a suggestion for the policy direction to apply the system on Jeju island. First of all, as international case studies, local-level ABS cases of Philippines, Costa Rica, China, and Australia were analyzed and some implications were drawn. Secondly, Jeju island's current states of ① in-situ and ex-situ biological resources and traditional knowledge, ② utilization, export, and management of biological resources, and ③ sharing of benefits arising from the utilization of biological resources were reviewed. In particular, the current states of utilization, export, and benefit-sharing of Jeju's biological resources were reviewed by performing interviews and a questionnaire surve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view, the problems of current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Jeju's biological resources were identified. Also, Jeju's conditions for applying the ABS system were analyzed in terms of social geography, economics, infrastructure, and supporting system. Considering these conditions, main policy directions for implementation of the local ABS system in Jeju were suggested as follows: improving legislation, building up management system, establishing scientific institution for integrated management, establishing integrated DB system, fundraising, awareness improvement, and test operation of ABS. In the upcoming second year research, the following will be reviewed: ① trend of international discussion on ABS and traditional knowledge, ② China's policy for protecting biocultural diversity and its impact, ③ comparative study on implementation cases of local-level ABS, ④ measures to establish local-level ABS system in Jeju island, and ⑤ a detailed ABS implementation plan.

Table Of Contents

제1장 ·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방법
3. 접근과 이익공유에 관한 지역모델의 개요

제2장 · 외국의 접근과 이익공유 사례
1. 지역기반 접근과 이익공유 사례
가. 필리핀
나. 코스타리카
다. 중국
라. 호주
2. 종합 비교 및 시사점

제3장 · 제주도의 생물자원 및 이용·관리 현황
1. 생물자원 현황
가. 현지 내 생물자원 분포 현황
나. 현지 외 생물자원 관리 현황
다. 생물자원을 활용한 전통지식 현황
2. 생물자원 이용 및 반출 현황
가. 생물자원 이용 현황
나. 생물자원 반출 현황
3. 생물자원 이용 및 반출 관리 현황
가. 생물자원 이용 및 반출 관련 제도 현황
나. 생물자원 이용 및 반출 관리 현황 및 문제점
4. 생물자원에 대한 이익공유 현황
5. ABS 관계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
가. 설문조사 개요
나. 설문조사 결과

제4장 · 제주권 ABS 시행을 위한 정책방향
1. 정책추진 여건
가. 생물자원 관리와 이용 문제점 종합
나. 제주권 ABS 추진 여건
2. 정책추진 방향과 향후 연구
가. 제주 ABS를 위한 정책추진 방향
나. 향후 연구계획

참고 문헌

부록 : 설문조사지 3종

Abstract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