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강 하천복원 및 유역관리 남북협력방안 연구(4차)

Title
대동강 하천복원 및 유역관리 남북협력방안 연구(4차)
Authors
추장민
Co-Author
강택구; 노태호; 정성운; 김철구; 최동진
Issue Date
2013-12-31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Series/Report No.
사업보고서 : 2013-07-01
Page
114 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0143
Keywords
대동강, 하천복원, 유역관리, 남북협력사업, Inter-Korea Environment Cooperation, Dea-dong River, River Restoration and River Basin Management, Forest Restoration
Abstract
본 연구는 남북환경협력기반구축사업의 세부과제로서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대동강 유역의 인문자연 환경 및 하천상태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해 대동강 하천복원 및 유역관리 남북협력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북한의 낙후된 하천관리체계, 단기적인 목적의 수자원 개발, 토사유입에 따른 하천의 통수기능 저하 등으로 인하여 제방 등 하천구조물 붕괴, 하천생태계 훼손, 홍수와 가뭄 등 자연재해 빈발 등 문제에 직면해 있다. 북한지역의 하천문제는 단지 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라 한반도 전체의 지속가능한 하천 이용과 관리 차원에서 남북협력의 주요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동강을 조사대상 하천으로 선정하고 2010년부터 2013년까지 4년 동안 대동강 본류 및 주요 지류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난 4년간 수행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동강 평양일원과 보통강 유역 320㎢(1차), 재령강 유역 684㎢(2차), 곤양강 및 강남천 유역 650㎢(3차), 대동강 상류, 합장강 및 중·하류 유역 755㎢(4차)에 대한 하천실태를 파악하고 하천복원 우선대상지역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2010년 1차 연구에서는 평양일원 및 보통강 유역을 분석하였으며, 보통강 순안구역 남산동~재경리 구간과 형제산구역의 시정천~하당이동 구간을 하천복원 우선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제안하였다. 2011년 2차 연구에서는 재령강 유역을 분석하여 신천군의 척서천 구간과 재령군의 척서천 지류 구간, 안악군의 도령천 지류를 하천복원 우선대상지로 선정하였다. 2012년도 3차 연구에서는 2차 연구와 동일한 기준으로 곤양강의 장산리 인근구간, 양음리~금산리구간, 동산리 구간, 강남천 동쪽지류, 강남천 서쪽지류를 하천복원 우선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2013년 4차 연구에서는 대동강 상류 및 중·하류를 분석하여 상류의 삼석구역 장수원동~삼산리 구간, 합장강 림원동~마산동 구간, 명오동~룡추일동 구간, 룡추일동~룡추이동 구간, 룡추일동~룡궁일동 구간, 룡성이동~화성동 구간, 대동강 중·하류의 황해남도 은천군 구간을 하천복원 우선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또한 대동강 유역의 하천상태에 대한 조사 분석결과를 토대로 유역의 지역 및 구간별 하천복원 및 유역관리 남북협력방안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하천복원동향 및 북한의 대동강 하천복원 남북협력사업 수용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대동강 하천복원 및 유역관리 남북협력사업의 기본방향을 첫째, 하천이 지난 본래의 자연성을 살려 하천의 기능회복을 우선 고려, 둘째, 도시와 농촌의 국토환경 인프라구축과 연계, 셋째, 도시와 농촌의 생태환경보전에 주안, 넷째, 산림복원사업과 연계 등 4가지로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1~4차 연구에서 선정된 하천복원 우선대상지역의 하천환경특징을 고려하여 남북협력을 위한 제방복원 우선대상지역과 조림사업 우선대상지역을 각각 선정하였다. 제방복원 우선대상지역에는 보통강 순안구역~재경리 구간, 합장강 전구간, 대동강 상류 노산천 구간, 곤양강 금산리~양금리~장산리, 재령강 신천군 척서천 구간의 5개 구간이 선정되었다. 그리고 조림사업 우선대상지역에는 평양 모란봉구역~대성구역, 마장산기슭·중화군~박산골산, 대동강 중·하류 남포~황해남도 안악군, 황해북도 황주군 지역이 선정되었다. 이를 근거로 제방복원, 조림사업, 도시 및 농촌 기반시설구축 등 사업을 통합하여 대동강 유역의 각 지역 및 구역별로 종합적인 남북협력방안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첫 번째로 보통강과 합장강이 지나는 평양 시가지 지역에는 제방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상하수도 기반구축사업과 조림사업을 연계한 사업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로 곤양강 및 강남천 유역에는 제방복원 및 조림사업과 농업기반시설 구축사업을 연계한 사업을 제안하였다. 세 번째로 대동강 중·하류 남포지역에서 황해남도 안악군, 황해북도 황주군에 이르는 지역에는 조림 중심의 상하수도 기반시설 구축사업을 제안하였다. 네 번째로 재령강 신천군 척서천 구간은 제방복원사업과 농업기반시설사업을 연계한 사업을 제안하였다. 하천복원 대상지역을 선정하고 복원사업의 내용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하천의 종단, 횡단면의 구조를 파악하는 등 현장조사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하지만 북한이 접근불가능 지역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대동강 유역에 대한 문헌자료, 위성영상의 육안판독, RS기법을 통한 토지피복분류, 제외지환경분류에 근거하여 도출하였다. 현장조사가 결여되어 있다는 점이 본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4년에 걸쳐 가용한 관련 자료를 최대한 활용하여 대동강 본류 및 주요 지류의 하천상태를 파악하고 관련 자료를 축적함으로써 북한 하천연구에 필요한 기반을 구축하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자평해 본다. 그리고 대동강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북한의 하천복원과 유역관리의 남북협력 방향과 사업내용은 향후 남북관계 개선에 따른 남북협력사업을 개발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경험을 토대로 대동강 외에 북한지역 주요하천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북한 전역의 하천상태를 파악하고 관리방안을 제안함으로써 하천분야 남북한 협력방안과 한반도 차원의 하천관리전략 개발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sub-project of "Establishment of Foundation for Inter-Korea Environment Cooperation", started since 2010. This project was initiated to establish Inter korea cooperative measures for Dae-Dong River restoration and River Basin Management through utiliz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In the first year, Pyeong-yang city and Bo-tong river basin were analyzed and three priority locations for river restoration cooperative projects were selected. In the second year, Jae-ryeong River was analyzed and three specific area for river restoration cooperative projects were suggested. In the third year, Gonyang River was analyzed and five specific area for river restoration cooperative projects were selected. The research method to select priority places for river restoration is, first, to conduct a literature review to create a database. Second, RS and GIS analysis was conducted to select devastated section of the river for land cover classification etc. through utilizing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This year, as the forth year of the project, the upstream of Dae-dong river, Hap-jang river, which is one of the tributaries of the Dae-dong river, and the middle-down stream of Dae-dong river were analyz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condition of Dae-dong river through utiliz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select and prioritizes locations of the river and river-basin which need to be restored. Furthermore, the study aims to establish Inter Korea cooperative measures for Dea-dong River restoration and river basin management. This study proposes directions of Inter Korea cooperation for Dae-Dong River restoration based on the international trend of river restoration projects and the acceptance of cooperation projects in North Korea. The directions for the inter korea cooperation are: 1) considering river restoration based on a Close-to Nature River Improvement Process, 2) promoting in conjunction with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in urban and rural area, 3) focusing on ecological preservation in urban and rural area, 4) promoting in conjunction with forest restoration project. Finally, eight specific locations were selected as a river restoration and forest restoration area based on river environment of the selected priority area from past research (2010~2013). The study also proposes specific areas for river band revetments and forestation projects based on the outcomes of the study.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방법
가. 문헌조사
나. 고해상도 인공위성을 활용한 원격탐사 및 GIS분석

제2장 대동강 유역의 환경실태 조사
1. 자연환경
가. 유역 위치
나. 지형 및 지질
다. 기후
라. 자연재해
2. 인문사회 환경
가. 인구
나. 행정
다. 산업경제
라. 교통

제3장 대동강 유역 하천상태 분석 및 하천복원 대상지역 선정
1. 육안판독 결과
가. 하천시설물
나. 하천폭 및 제방폭
다. 제방유실 추정지 판독
라. 하천의 탁도
2. 하천주변 토지피복분류 결과
가. 대동강 상류
나. 합장강
다. 대동강 중·하류
3. 제외지 하천퇴적환경 분석 결과
가. 대동강 상류
나. 합장강
다. 대동강 중·하류
4. 하천복원 우선대상지역 선정
가. 제방복구 우선지역 선정
나. 하천탁도개선 우선대상지역 선정
다. 하천복원 우선대상지역 선정

제4장 대동강 하천복원 및 유역관리 남북협력방안
1. 국내외 하천복원 동향 및 사례 조사
가. 국내 하천복원사업 추진 현황
나. 국내 하천복원 사례
다. 국외 하천복원사업 추진 현황
라. 국외 하천복원 사례
2. 국내외 사례의 대동강 하천복원 및 유역관리 적용의 시사점
3. 대동강 하천복원 및 유역관리 남북협력사업 제안
가. 북한 대동강 관련 정책·사업 및 남북협력의 수용성
나. 대동강 하천복원 및 유역관리 남북협력사업 기본 방향
다. 대동강 하천복원 및 유역관리 남북협력사업 대상지역 선정
라. 대동강 하천복원 및 유역관리 남북협력사업 제안

제5장 요약 및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roject Report(사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