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질탐방로 도입 방안 연구

Title
국가지질탐방로 도입 방안 연구
Authors
이수재
Co-Author
강가령; 김수연; 김종호; 신상철; 김남조; 오창현; 전용문
Issue Date
2014-10-20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Series/Report No.
정책보고서 : 2014-04
Page
95 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0185
Language
한국어
Keywords
국가 지오트레일, 지오투어리즘, 생태관광, 지질공원, 지질유산, geotrail, geotourism, geopark, geological heritage, geosite
Abstract
본 연구는 지질유산을 활용하여 국가 지오트레일을 구축 및 운영하는 방안에 대한 것이다. 지오트레일의 구축 및 운영은 지질유산을 발굴하여 보전하는 한편 이를 지오투어리즘에 활용하여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현재 지질유산을 활용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목적을 둔 것으로 지질공원이 있지만, 이는 인증 조건이 매우 까다로워 다수의 지자체는 지질유산이 우수한 것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질공원을 운영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따라서 선형 개념의 지오트레일을 조성하여 이들 지질유산을 적정하게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 지역경제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지오트레일의 제도화와 관련하여 기초 타당성 연구를 수행한 것이다. 제1장에서는 지오트레일의 제도화가 필요한 배경을 논의하였는데, 현재 국가적으로 지질유산을 활용하는 것은 지질공원이 있지만 이는 지역에 거점을 둔 일정한 공간형이 특성이며, 또한 지질공원은 인증 조건이 매우 까다로워 우수한 지질유산만 일부 있는 지역은 그것을 적정하게 이용할 기회가 거의 없다. 생태관광이 있지만 지질적 요소가 적어서 지질관광은 거의 없는 편이다. 이에 따라 지오트레일 제도 도입을 연구하게 되었다. 제2장에서는 국가 지오트레일의 개념과 정의 그리고 유형 등을 다루었으며, 지오트레일과 지질트레일의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전자는 지질 이외에 생태, 역사, 문화 및 고고 등의 요소가 복합적으로 있는 것을 말하며, 지질트레일은 지질학적 특성이 강한 것을 지칭한다. 그리고 국내에는 지질유산이 충분하고 지역적으로 특성이 있는 지질유산이 분포하여 지오트레일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기 양호하다. 제3장에서는 국내외 지오트레일 운영 사례를 살펴보았는데, 국내에서는 기존 지질공원 운영을 중심으로 하여 제주도와 부산 그리고 청송 사례를 살펴보았다. 국외에서는 기존 지질공원보다는 비지질공원 지역에서 독자적으로 운영되는 영국, 미국, 이탈리아 등의 지오트레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미국에서는 지질학 전문 학술단체인 미국 지질학회가 주관하는 ‘Earthcaching’이 지질적 특성을 많이 가지고 있었으며 ‘Geochaching’은 비지질적 요소가 많지만 다수의 지자체가 참여한 것이 특징이었다. 제4장에서는 국가 지오트레일 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기본 구상 방안, 구상 전략 그리고 추진 방안을 다루었다. 이와 함께 지오트레일 제도 도입을 위한 관련법으로 자연환경보전법에서는 생태관광과 연계하는 방안을, 자연공원법에서는 지질공원과 연계하는 방안을 다루었다. 제5장에서 국가 지오트레일 운영 및 활용에 필요한 사항을 다루었는데, 국가 지오트레일 지정 조건, 시범 지역 선정 및 성과 평가 항목 및 지표, 국가 지오트레일 활용 방안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제6장에서는 국가 지오트레일 도입 시 기대 효과 및 파급 효과를 다루었다. 지질유산을 활용하여 지오트레일로 활용할 경우에는 지역 주민의 자연 보전 인식 증진과 함께 소득 증대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지질공원에 대한 파급 효과 분석 사례가 있으므로 이를 토대로 국내 지질공원 및 지오트레일에 대한 성과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제7장은 국가 지오트레일 제도 도입의 필요성에 대하여 다시 한 번 강조하였으며, 도입 여건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오트레일은 지역 주민 소득 증대에 도움이 될 것이다. 지오트레일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기반이 튼튼하여야 하므로, 전국 지질유산 조사 사업의 정기화, 지질유산의 정밀 조사의 강화, 국제 활동의 연계성 강화, 지오트레일 법 제도의 마련, 지질 전문가의 자발적 협조 등을 제안하였다.


There are many important geological heritages in Korea and some of them are specially utilized as geosites or geotrails of geoparks which should be certified under the Natural Park Act. Though geoparks are one of the best tools for utilizing the geological heritages to promote the local economy through sustainable tourism, there are several limits to pursue the geoparks; 1) Not all the regions having geological heritages can not be certified as geoparks due to the restriction policy for the total number of national geoparks about 10-12; 2) There are places that have less than 20 geological heritages(geosites) not eligible for the national geopark; 3) Not all the local communities do have the ability to operating the geopark etc. Therefore, we need a complementary ways of utilizing the geological heritages where geoparks are not available. We think geotrail can be good nationwide tools to enhance both the awareness of the geological heritages and their utilization to local economy. W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geotrail such as definition, concept, foreign examples, and analysed the difference between eco-tourism and geotourism etc. We suggested the introduction of national geotrail system for the firm bases of protecting the geological heritages and promoting the local economy. Regarding this, overall direction, basic principles and operational guidance, demonstration project etc. for the national geotrail system are provided.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가. 연구의 범위
나. 연구의 방법
다. 연구의 체계
4. 선행연구 현황 및 본 연구의 차별성

제2장 지오트레일 개요
1. 지오트레일의 개념 및 특성
가. 용어의 사용
나. 국가 지오트레일의 특성
다. 국가 지오트레일의 구성 요소
라. 지오트레일의 도입 배경 및 필요성
마. 지오트레일의 유형 및 체계
2. 국가 지오트레일 구축에 대한 국내 여건 및 타당성
3. 지오트레일의 주제별 구성 유형
가. 생태탐방로
나. 문화생태탐방로
다. 시사점

제3장 국내외 지오트레일 운영 사례
1. 국내 지오트레일 운영 사례
가. 제주도 지질탐방로
나. 부산국가지질공원 지오트레일
다. 청송국가지질공원 지오트레일
2. 국외 지오트레일 운영 사례
가. 영국 스태퍼드셔 지오트레일
나. 플리머스 대학교 캠퍼스 지오트레일
다. 바든 지오트레일
라. 이탈리아 Bulla Geotrail
3. 국외 지오트레일 사례 시사점

제4장 지오트레일 제도 도입 방안
1. 국가 지오트레일 구축 기본 구상 방안
가. 국가 지오트레일 구상(안) 주요 내용
나. 국가 지오트레일 구상(안) 주요 전략
2. 국가 지오트레일 추진 계획 및 방안
3. 국가 지오트레일 제도 도입 시 고려 사항

제5장 국가 지오트레일 관리 방안
1. 국가 지오트레일의 관리 기본 방향
2. 국가 지오트레일 운영 방안
가. 지오트레일 지정?운영 지침 마련 필요
나. 국가 지오트레일 자가 평가 지침
3. 지오트레일 시범 운영 지역 선정 제안 및 성과 평가 체계 구상(안)
4. 국가 지오트레일의 지역경제 발전 활용 방안
가. 지오브랜드
나. 지질공원 마을상품 브랜딩
다. 해설사 교육

제6장 국가 지오트레일 기대 효과
1. 국가 지오트레일 도입 시 기대 효과
가. 지질관광 및 지질유산 그리고 해당 지역에 대한 관심 및 인지도 향상
나. 다양한 테마를 통해 모든 연령대를 아우르는 관광 상품 제공
다. 지오트레일 조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
라. 해당 지역 주민의 인식 변화
2. 국가 지오트레일 도입 시 경제적 파급 효과
가. 관광산업은 지역경제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 수행
나. 지역관광개발에 따른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접근 방향
다. 국가 지오트레일 등의 지역관광자원 개발에 따른 예상 파급 효과
라. 국가 지오트레일이 지역에 미치는 파급 효과

제7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olicy Study(정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