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자원 분야 표준화 방안 수립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정우현 -
dc.contributor.other 이현우 -
dc.contributor.other 오일찬 -
dc.contributor.other 노경아 -
dc.contributor.other 이경선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6:42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6:42Z -
dc.date.issued 20131116 -
dc.identifier A 생3600 2013-04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0209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5/008/생물자원분야표준화방안수립연구_정우현.PDF -
dc.description.abstract 1.1.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생물자원(biological resources)은 생물산업의 원천소재로 이용되는 등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나, º 생물자원의 조사·발굴, 보전·관리, 이용·활용 등으로 이루어지는 생물자원 분야 업무는 국립생물자원관을 비롯한 국내 여러 부처·기관, 지자체 및 민간에 의해 분산수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음 - 여러 기관 간의 공통된 업무에 관해 표준화를 추진함으로써 업무의 효율화를 도모할 여지가 있음 - 또한 시설·장비 등 관련 기준이 미흡한 분야에 있어 표준 제정을 통해 업무의 질을 향상시킬 여지가 있음 ○ 이에 국가적 차원에서 생물자원 분야의 표준화 추진을 통해 업무의 효율화와 품질제고를 꾀하고, 나아가 국제무대에서의 생물주권 확보와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음 º 따라서, 관련 여건 및 국내외 현황분석 등을 통해 표준화가 요구되는 분야 도출과 사업계획 수립이 필요함 ○ 본 연구에서는 생물자원 분야 업무의 표준화 현황조사와 기타 여건분석을 바탕으로, 국립생물자원관 등이 수행할 수 있는 생물자원 분야 표준화 사업을 도출하고 사업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생물자원 분야 업무의 효율화와 품질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1.2.연구의 범위 및 방법 ○ 연구의 범위 º 본 연구는 생물자원 분야 업무에 대한 표준화 현황조사와 기타 여건분석을 바탕으로, 국립생물자원관 등이 수행할 수 있는 생물자원 분야 표준화 사업을 도출하고 사업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내용으로 함 º 생물자원 분야 업무: 생물자원의 조사·발굴, 보전·관리, 이용·활용 등의 업무를 다루며, 특히 국립생물자원관의 업무범위에 초점을 둠 º 국내 및 국외 현황조사 - 국내 현황조사: 국립생물자원관, 농촌진흥청, 국립종자원, 국립수목원, 생명공학연구원 등 생물자원 분야 업무를 수행하는 국내 주요기관의 표준화 현황 조사 - 국외 현황조사: 중국, 미국, 영국 등 주요국의 표준화 사례 조사 º 업무표준, 장비 및 시설표준 뿐 아니라 참조표준도 포함 - 단, 정보체계 간의 연계와 호환성 확보를 위한 표준인 정보연계표준은 별도의 과업에서 다루는 것이 적절하다는 판단 하에 과업의 범위에서 제외됨 ○ 주요 연구방법 º 문헌자료 조사 - 표준문서(각종 관련지침, 매뉴얼, 가이드라인, 규정, 가이드북 등), 기존 표준화 관련사업 결과보고서, 표준 관련 문헌 및 법령 등 º 관련기관 동향조사 - 웹사이트 검색, 전문가 자문, 국내 담당자 면담 등 º 내·외부 전문가 자문 - 국립생물자원관 내 각 과 담당자 면담: 업무 및 표준화 현황조사, 관련 의견수렴 등 - 생물자원 분야의 전문가 자문: 표준현황 및 관련동향 조사 - 기술표준원 전문가 자문: 표준제도, 활용방안 등 1.3.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 국가 생물자원 관리의 효율화 º 생물자원 분야에서 시급한 표준화 사업과제의 도출, 방향제시 및 사업계획 수립을 통해 국가 생물자원 관리의 효율화에 기여 ○ 국립생물자원관의 표준화 사업계획 수립·활용 º 본 연구에서 도출된 생물자원 분야 표준화 사업과제를 바탕으로 국립생물자원관의 표준화 사업계획 수립에 활용 ○ 생물자원 동향 파악 º 본 연구에서 수행된 국내외 관련기관의 표준화 사업추진 현황 및 관련여건 분석결과를 생물자원 분야 국제 및 국내 동향자료로 활용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br>3.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br><br>제2장 표준·표준화의 개요 <br>1. 표준·표준화의 개념 <br>2. 표준의 유형 <br>3. 국내 표준 관련 제도 <br>가. 한국산업표준(KS) <br>나. 단체표준 제도 <br><br>제3장 조사·발굴 분야 표준화 현황조사 <br>1. 생물표본 관리 <br>2. 유전자원 등의 수집·보존·분양 <br>가. 유전자원 <br>나. 종자 <br>다. 천연물 <br>3. 종기재 및 인벤토리 <br>4. 생태 조사 <br>5. 전통지식 조사 <br><br>제4장 보전·관리 분야 표준화 현황조사 <br>1. 멸종위기종 보호·관리<br>2. CITES종 국외반출입 관리 <br>3. 야생생물 보호·관리 <br>4. 생태계 교란생물 관리 <br><br>제5장 이용·활용 및 기타분야 표준화 현황조사 <br>1. 생물자원 등급분류 및 평가 <br>2. 생물자원의 산업화 <br>가. 제약 분야 <br>나. 화장품 분야 <br>다. 식품 분야 <br>라. 농산물 분야 <br>3. 기타<br>가. 인체자원 <br>나. 실험실관리 <br>다. 생물자원의 사육, 재배 <br><br>제6장 표준화사업 수행계획<br>1. 표준화 사업의 고려사항 <br>가. 표준의 유형 (활용형태) <br>나. 표준의 수요자 (대상집단) <br>다. 표준의 기재수준 <br>라. 표준화의 발전 단계 <br>2. 표준화 현황조사의 요약 및 시사점 <br>가. 생물표본 관리 <br>나. 유전자원 등의 수집·저장·분양 <br>다. 종기재 및 인벤토리 <br>라. 전통지식 조사 <br>마. 멸종위기종 보호·관리 <br>바. CITES종 국외반출입 관리 <br>사. 야생생물 보호·관리 <br>아. 생태계 교란생물 관리 <br>자. 생물자원 등급분류 및 평가 <br>3. 표준화 사업과제 도출 <br>가. 생물표본 관리 분야 <br>나. 유전자원 등의 관리 분야 <br>다. 종기재 및 인벤토리 <br>라. 생물자원 전통지식 조사 및 정리 <br>마. 법정관리 대상종 조사 및 관리 <br>바. 생물자원 유용성 평가 및 분류 <br>사. 종합 <br>4. 표준화 사업 로드맵 <br>5. 결어 <br><br>참고 문헌 <br><br>부록. 표준문서 목록 -
dc.format.extent 170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국립생물자원관 -
dc.title 생물자원 분야 표준화 방안 수립 연구 -
dc.type 수탁보고서 -
dc.contributor.department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
dc.description.keyword 국토환경관리 -
dc.identifier.citationtitle 수탁보고서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