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환경변화 분석 및 대응연구(I) : 기후대기 및 생물자원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심창섭 -
dc.contributor.other 오일찬 -
dc.contributor.other 노태호 -
dc.contributor.other 서지현 -
dc.contributor.other 김영욱 -
dc.contributor.other 박찬호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6:46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6:46Z -
dc.date.issued 20141231 -
dc.identifier A 환1185 사업2014-07-01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0242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14/003/사업2014_07_01_심창섭.pdf -
dc.description.abstract The East Asian Region is the world's largest emitter of carbon dioxide and a variety of air pollutants. East Asia is also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such as flood, drought, and heat waves, which impacts comprehensively on agriculture, water management, health etc.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potential environmental risks over East Asia by reviewing the current IPCC 5th report (AR5) and climate scenarios generated by KEI‘s climate modeling system. The main environmental issues identified are climate risks (heat waves, flood, drought, and other natural disasters etc) over Northeastern China, Western China, and part of South Korea and Japan. In terms of air pollution issues, the Eastern China where the intense industrial region emitting highest level of Particular Matter (PM) and greenhouse gases. In addition, the hazardous air pollutants emitted from biofuels and low-quality energy source over North Korea can impact the near countries in East Asia. Thus these specific environmental issues ought to be suggested and discussed to enable the current cooperative program to make tangible progres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st Asia. -
dc.description.abstract 환경부분 국제협력의 실효적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과학적 자료의 분석에 근거한 핵심 이슈를 발굴하고 이를 토대로 문제해결 방안을 도출, 실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는 기후대기 및 생물자원 분야에서 동아시아 차원의 환경변화를 분석하고 주요 핵심 협력이슈를 제안, 관련 협력분야의 활성화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최근에 공개된 IPCC 5차 보고서의 내용과 KEI 기후모델 결과를 근거로 동아시아 지역의 기후변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중국 북동부 지역이 홍수와 폭염에 동시에 노출되어 있어 이에 대한 사전적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일부 지역에서도 폭염과 홍수에 취약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몽골 및 중국 북부는 가뭄과 함께 물수요 증가로 심각한 물 부족 현상을 겪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또한 중국 동부의 경진기 및 인근 공업지역은 석유, 석탄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동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초미세먼지를 발생시켜 이 지역에 대한 대기오염물질 저감 이행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북한의 저급 에너지 사용으로 초미세먼지 발생량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추정되어 이에 대한 정부차원의 협력과 지원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동아시아 지역의 환경협력은 다양한 주제를 갖고 추진되는 국제 프로그램이 산재하고 있어, 보다 범정부 차원의 일원화되고 포괄적인 협의체 구성과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 특히 국제사회를 통한 재원조달과 명확한 공유비전 및 목표설정, 프레임워크의 운영 활성화를 통한 협력체의 발전 및 과학적 자료를 구축하고 공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역량강화를 위한 노력이 우선적으로 이행되어야 할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론 <br><br>제2장 동아시아 지역의 미래 기후변화 전망 <br>1. IPCC 5차보고서(AR5)의 주요 기후변화 전망 <br> 가. IPCC 5차 보고서 주요 내용 <br> 나. 동북아시아 주요 기후변화 전망 <br> 다. 동북아시아 주요 기후변화 영향 <br>2. KEI 기후모델 시스템의 기후변화 전망 <br> 가. 기후변화 전망을 위한 모델링 시스템 <br> 나. KEI 기후모델에 의한 동아시아 기후의 주요 변화 전망 <br>3. 소결: 동아시아 미래 기후의 잠재적 위험성 <br><br>제3장 동아시아 지역의 대기질 현황 및 추이 <br>1. 동아시아 이산화탄소 배출 및 농도 증가 추이 <br>2. 동아시아 주요 지역의 대기질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변화 <br> 가. 중국 <br> 나. 일본 <br> 다. 한국 <br>3. 동아시아의 주요 대기오염 배출량 현황 및 전망 <br>4. 최근 중국의 대기오염 저감을 위한 동향 <br><br>제4장 동아시아 지역의 생물다양성 영향과 전망 <br>1. 서론 <br>2. 기후변화에 의한 세계적 자연환경 변화 경향 <br>3. 육상 및 담수 생태계에서의 기후변화 영향 <br>4. 연안 시스템, 저지대 및 해양 시스템에서의 기후변화 영향 <br>5. 식량 시스템과 생태계 서비스에서의 기후변화 영향 <br>6. 취약성과 적응대책 <br>7. 아시아 지역에서의 기후변화 영향과 전망 <br><br>제5장 동아시아 기후대기, 생물다양성 분야의 정책 및 협력 이슈 <br>1. 동아시아의 주요 환경협력 현황 <br> 가. EANET <br> 나. TEMM <br> 다. NEASPEC <br> 라. ASEAN + 3(ASEAN Plus Three, APT) <br> 마. 아태지역 기후변화 적응 네트워크(APAN) <br> 바. ACB 78<br> 사. 동아시아 지역 생물다양성 보전 네트워크(EABCN) <br>2. 향후 논의가 필요한 동아시아 환경협력 추가 이슈 <br><br>제6장 요약 및 결론 <br><br>참고 문헌 <br><br>부록 1·IPCC AR5 WG 1 SPM 중 정책결정자를 위한 전문 <br>부록 2·ASEAN+3 협력 계획 중 환경관련 조항 <br><br>Abstract -
dc.format.extent 101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동아시아 -
dc.subject 환경이슈 -
dc.subject 환경변화 분석 -
dc.subject 국제협력 -
dc.subject 기후변화 -
dc.subject 생물자원 -
dc.subject 생물다양성 -
dc.subject 대기오염 -
dc.subject Climate Change -
dc.subject Air Pollution -
dc.subject East Asia -
dc.subject International cooperation -
dc.subject biodiversity -
dc.title 동아시아 환경변화 분석 및 대응연구(I) : 기후대기 및 생물자원 중심으로 -
dc.type 사업보고서 -
dc.title.original Environmental changes over east Asia and the response (I): atmospheric change and biodiversity -
dc.title.partname 사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4-07-01 -
dc.description.keyword 기후변화대응 -
dc.rights.openmeta Y -
dc.rights.openimage Y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him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ang-Sub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roject Report(사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