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력발전소 회처리에 따른 환경영향 최소화방안 연구(I)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맹준호 -
dc.contributor.other 김태윤 -
dc.contributor.other 서동환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6:47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6:47Z -
dc.date.issued 20141231 -
dc.identifier A 환1185 사업2014-02-01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0250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14/003/사업2014_02_01_맹준호.pdf -
dc.description.abstract More than 8M tons of coal ashes are generated from the coal-fired thermal power plants every year. Excluding the quantity to be recycled (current recycling rate: about 70%), all the generated coal ashes end up in the landfills. However, the ash treatment plants may differ from plant to plant, but most of them are almost barbaric. Currently, the difficulties faced in building a new ash treatment plant are attributed to the concerns raised over the environmental impacts caused by the landfills at the individual plant facilities. Given the number of coal-fired thermal power plants to be built in the future, building a new ash treatment plant or seeking a plan for treatment is unavoidable. In order to resolve such issues, recycling the coal ashes is absolutely essential, which is not easily feasible under the current regulatory system. Based upon it perceived as an issue, effective uses of coal ashes and widespread practice of recycling are positively identified in this study as an effective plan to reduce the environmental impacts associated with coal ashes and create a society of resource recycling; in addition, the study proposes the followings. First, an institutional improvement is urgently needed for the effective uses of coal ashes and widespread practice of recycling by including or expanding the recycling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seawater, or opening a pathway for the effective uses through the verification and screening of environmental performances, rather than limiting the purpose of recycling to 11 categories. Second, an area with the least environmental impacts should be selected by establishing various assessment indices and conducting the comparison of optimal alternatives in order to select a location for ash treatment plant. Lastly, it is mandatory to build a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coal ash emitters. Taking one-sided role will not achieve the ultimate goal on ‘creating a society of resource recycling’ beyond the recycling and effective uses of coal ash; the governmental institute, therefore, should build an institutional support system for effective uses and recycling, as well as a promotion system for coal ash uses to build a supportive, virtuous and cooperative system. -
dc.description.abstract 석탄화력발전소에서 매년 800만 톤 이상의 석탄회가 배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최종적인 처리는 재활용(현 재활용율: 약 70% 수준)되는 물량을 제외한 나머지는 매립 처리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한 회처리장은 개별 발전소마다 차이는 있지만 만지 상태에 이르고 있다. 개별 발전시설마다 석탄회의 매립으로 인한 환경 영향 우려로 회처리장의 신규 확보도 어려운 상황이며, 향후 추가적으로 건설될 석탄화력 발전시설을 고려했을 때, 회처리장의 신규 조성 또는 그 처리를 위한 방안 모색이 불가피하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석탄회 재활용이 반드시 필요하나, 현재의 규제적 제도하에서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석탄회의 유효이용 및 재활용 활성화가 석탄회로 인한 환경 영향을 감소시키고 우리 사회가 지향하고 있는 자원순환 사회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유효 이용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재활용 용도를 현행 열한 가지로 제한하기보다는 해수와 직접 접촉하는 재활용을 포함해서 확대하거나 환경성 검증·심사를 통한 유효이용의 길을 열어주는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회처리장 입지 선정을 위해서는 다양한 평가지표 설정과 최적 대안 비교를 통해 상대적으로 환경 영향이 최소화되는 지역으로 선정하도록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부와 석탄회 배출사업자와의 협력적 관계를 구축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한쪽만의 역할로는 석탄회 재활용 및 유효이용 확대와 한 단계 더 나아가 자원순환 사회 구축이라는 최상위의 목표를 달성할 수 없으므로 정부기관에서는 유효이용 및 재활용을 위한 제도적 지원체계, 석탄회 이용을 위한 홍보체계의 구축을 통해 이를 지원하는 선순환적이고 협력적인 관계를 이루어 나가야 할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2. 연구의 목적 <br>3. 연구의 주요 내용 및 수행 <br>4. 주요 선행 연구의 검토 <br>가. 국내 연구 <br>나. 국외 연구 <br><br>제2장 석탄회의 특성 및 배출 현황 <br>1. 국내 주요 발전시설의 현황 <br>2. 석탄회의 발생 및 일반적 특성 <br>가. 석탄회의 종류 <br>나. 석탄회의 일반적 특성 <br>다. 석탄회의 유해물질 분석(국내) <br>라. 일본 석탄회 유해물질 분석 사례 <br>3. 석탄회 관리체계 및 배출 현황 <br>가. 국내 석탄회 관리체계 <br>나. 석탄회의 유해성 검증체계 <br>다. 국내 석탄화력 발전설비의 석탄회 배출 현황 <br>4. 국내 석탄화력발전소 회처리장 현황 및 조성·운영 <br><br>제3장 화력발전소 회처리장 조성에 따른 환경영향 <br>1. 석탄회처리장 조성에 따른 주요 환경 영향 <br>2. 회처리장 조성에 따른 모니터링 사례 <br>가. 영흥화력 회처리장 사례 <br>나. 삼천포화력 회처리장 사례 <br><br>제4장 발전소 석탄회의 재활용 현황 및 전망 <br>1. 국내 화력발전의 석탄회 재활용 현황 <br>2. 사업장폐기물의 배출 및 관리 <br>가. 미국 <br>나. EU <br>다. 일본 <br>3. 국내·외 석탄회 재활용 관련 제도의 검토 <br>가. 국내 석탄회 재활용 관련 제도 <br>나. 국외 석탄회 재활용 현황 및 제도 <br><br>제5장 발전소 회처리에 따른 환경 영향 최소화 방안 <br>1. 석탄회의 유효이용 및 재활용을 통한 사회적 기여 <br>가. 자원순환 사회로의 기여 <br>나. 기타 산업폐기물 활용 분야에 대한 공헌 <br>다. 에너지 절약·CO2 배출 저감 효과 <br>라. 천연자원 소비의 억제 효과 <br>마. 시멘트 제조 비용 저감 효과 <br>2. 석탄회 재활용을 위한 제도적 개선 <br>가. 현 제도적 개선 논의 및 사회적 수요 <br>나. 석탄회 재활용을 위한 정책 방향 및 움직임 <br>다. 석탄회 재활용·유효이용을 위한 제언 <br>3. 회처리장으로 인한 환경 영향 최소화 방안 <br>가. 입지 선정을 위한 고려사항 및 저감방안 <br>나. 회처리장 입지 선정의 대안 비교 <br><br>제6장 결론 및 제언 <br>1. 석탄회의 유효이용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 <br>2. 회처리장으로 인한 환경 영향 최소화 방안 <br>3. 석탄회 재활용 및 유효이용 확대를 위한 협력적 체계 구성 <br><br>참고문헌 <br><br>부록 <br><br>Abstract -
dc.format.extent 216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화력발전소 -
dc.subject 석탄회 -
dc.subject 회처리장 -
dc.subject 석탄회 재활용 -
dc.subject 자원순환 사회 -
dc.subject Thermal Powerplants -
dc.subject Coal Ash -
dc.subject Ash Pond -
dc.subject Recycle -
dc.subject a Society of Resource Recycling -
dc.title 화력발전소 회처리에 따른 환경영향 최소화방안 연구(I) -
dc.type 사업보고서 -
dc.title.original Minimizing environmental impact in accordance with the thermal power plant ash management -
dc.title.partname 에너지자원의 환경관리전략 -
dc.title.partnumber 2014-02-01 -
dc.description.keyword 자원순환 -
dc.rights.openmeta Y -
dc.rights.openimage Y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Maeng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un Ho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roject Report(사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