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소음 빅데이터의 정책 활용성 제고 방안

Title
환경소음 빅데이터의 정책 활용성 제고 방안
Authors
박영민
Co-Author
김경민
Issue Date
2015-12-31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Series/Report No.
Working Paper : 2015-11
Page
51 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0316
Language
한국어
Keywords
환경소음, 빅데이터, 환경정책, 소셜미디어, 구글 트렌드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nd analyze Big Data ,which can be used based on environmental noise and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environmental noise. Environmental noise-related Big Data was investigated by dividing them into structured data and unstructured data. Structured Big Data is primarily made a public by the public institutions, National Noise Information System (Ministry of Environment, automatic and manual environmental noise monitoring network data, etc.) and public data portal (Ministry of the Interior, including an open API data), and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Clearinghouse (organized by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at provides space data. Unstructured Big Data mostly uses social data and in order to collect social Big Data, they ask specialized by providing a formalized referral to take advantage of its research. However, there are difficulties in referral to those agencies in this study so we looked into all the searched keywords, that are targeting trend search data (Google Trends, etc.) with search time schedule of characteristics of noise-related keywords. To utilize of the environmental noise policy, in addition, researchers studied on noise-related laws and regulations that may be legal grounds ("Noise and Vibration Control Act" and etc.) and investigated the link between traditional structured data and unstructured one. In the future,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establish policies that citizens can experience by using and connecting the relevant social Big Data and analyzing the existing noise complaints.


본 연구는 환경소음을 중심으로 활용 가능한 빅데이터 현황을 조사·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경소음 빅데이터의 정책적 활용성을 제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환경소음 관련 빅데이터 현황은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여기서, 정형 빅데이터는 주로 공공기관에서 공개하고 있는 데이터로 국가소음정보시스템(환경부 주관, 자동·수동 환경소음 측정망 데이터 외)과 공공데이터포털(행정자치부 주관, 오픈 API 자료 포함), 그리고 공간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는 국가공간정보유통시스템(국토교통부 주관)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하였다. 또한 비정형 빅데이터로는 대부분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고 있으며, 소셜 빅데이터의 수집을 위해서는 전문기관에 의뢰를 하여 정형화된 데이터를 제공받아 해당 연구에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기초 과제 특성상, 전문기관에 의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트렌드 검색 데이터(구글 트렌드 외)를 대상으로 검색 키워드 즉, 소음 키워드의 시간별 검색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환경소음 빅데이터의 정책 활용을 위해, 소음 관련 법적 근거가 될 수 있는 법규(?소음·진동관리법? 외)에 대해 조사하고 기존 공개되고 있는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 간의 연계성을 고찰하였다. 향후에는 기존 소음 민원 정보 등을 분석하여 관련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연계한다면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마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주요 연구내용

제2장 빅데이터의 개념 및 분석기법
1. 빅데이터의 개념
2. 빅데이터의 분석기법
가.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나. 오피니언 마이닝(Opinion Mining)
다. 소셜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tics)
라. 군집 분석(Cluster Analysis)
마. 데이터 시각화(Data Visualization)

제3장 환경소음 빅데이터의 국내 현황 검토 및 분석
1. 환경소음 정형 데이터 현황
가. 국가소음정보시스템 데이터
나. 공공데이터포털 데이터
다. 국가공간정보유통시스템(공간데이터)
2. 활용 가능한 비정형 데이터 현황
가. 네이버 트렌드 검색 데이터
나. Social matrics 데이터
다. 구글 트렌드 데이터

제4장 환경소음 빅데이터의 정책 활용방안
1. 공동주택 층간소음의 범위와 기준에 관한 규칙
2. 소음·진동관리법

제5장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