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특별자치시의 대기질 관리 기획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심창섭 -
dc.contributor.other 이승민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6:55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6:55Z -
dc.date.issued 20151231 -
dc.identifier A 환1185 WP2015-18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0327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12/004/기초2015_18_심창섭.pdf -
dc.description.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대한민국 행정수도인 세종특별자치시(이하 세종시)의 지속가능한 개발 차원에서의 대기환경 관리의 기본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세종시는 경기~충남 지역에 해당하는 한반도 중서부 지역과 대체로 유사한 대기 거동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즉, 세종시는 수도권과 유사한 수준으로 중국으로부터 이동해온 대기오염물질의 영향을 받는 동시에 수도권과 충남 지역 주요 배출원의 영향도 함께 받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세종시의 동쪽에 위치한 소백산맥의 영향으로 대기오염물질을 동반한 대기의 흐름이 세종 및 충북 지역에서 정체되어 대기질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세종시는 수도권에 상응하는 철저한 대기오염 관리가 필요하다. 세종시는 인구 규모가 세종시의 약 8배인 인근 대전광역시와 비교했을 때 약 70%에 달하는 (초)미세먼지의 배출량을 보이고 있다. 이는 세종시에서 현재 진행 중인 대규모 도시 건설과 관련된 도로?비도로에서의 많은 양의 미세먼지 배출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건설 현장에서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와 함께 주요 비산먼지 배출 산업인 시멘트 제조업, 광업 등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세종시에 설치 예정인 신규 대기질종합관측소에는 오존과 (초)미세먼지 등 기본적인 대기오염물질뿐 아니라, 미량의 대기유해물질(HAPs) 관측까지도 포함하여 포괄적인 대기오염물질 집중 관측을 통한 선도적 대기환경 관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세종시는 향후 도시의 지속적 성장에 따른 중·장기적인 도시 에너지원으로 LNG 및 신재생에너지 도입을 검토하여 에너지 연소로 인한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가능한 한 억제해야 하며 교통량 증가에 따른 교통부문의 대기오염 배출을 관리하기 위해 보다 차별화된 저공해 차량 지원 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세종시는 화력발전소 등과 같은 충청권의 대규모 대기오염 배출 시설과 근접한 거리에 있기 때문에 이들의 환경 영향 및 환경 비용에 대한 연구와 함께, 수도권에서 시행하고 있는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총량관리제’를 세종시를 포함하는 충남 혹은 충청권에 도입하는 방안에 대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 This study tried to evaluate air quality in Sejong City, a new administrative capital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discussed and recommended for the local administrative measure to control air quality of Sejong in the aspect of sustainable development. Based on the stationary observations near Sejong City, PM10 and PM2.5 concentration in Sejong City is likely to be a similar level of Seoul Metropolitan Area (SMA). Ozone concentration is likely to be higher than SMA because the O3 concentration is reduced probably by O3 titration due to very high NOx emissions in SMA. Also, the PM and VOCs emissions are relatively higher considering its population since the large construction for the city has been continued. Therefore, the strong and effective policy measure and its implementation is necessary to control the local emissions of particular matter(PM) and VOCs emissions. Moreover, the comprehensive measure, such as managing a super site to observe diverse air pollutants and mid-and long-term planning for introducing clean energy and the clean vehicle would be required for mitigating air pollution in Sejong City. Finally, the large power plants in Chung-Nam area could affect the air quality of Sejong. Thus,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higher-level air pollution control strategy should be prepared in near future.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1. 연구 배경 및 목적 <br>2. 연구 내용 및 구성 <br><br>제2장 세종특별자치시 개발 및 환경계획 <br>1. 세종특별자치시의 도시기본 계획 <br>가. 세종특별자치시의 지역적 특징 및 현황 <br>나. 도시기본 계획 : 토지 이용 및 교통ㆍ주거 환경 계획 <br>2. 세종특별자치시의 환경보전 계획 <br>가. 세종시의 대기환경 현황 <br>나. 대기환경 및 기후에너지 계획 <br>다. 대기질 관측소 설치 및 운영 계획 <br>3. 소결 <br><br>제3장 세종특별자치시의 대기질 특성 및 주요 오염원 <br>1. 대기질 관측 자료에 근거한 세종시의 대기질 특성 <br>가. 환경부 대기 관측망 자료 분석 결과 <br>2. 세종특별자치시의 대기질 특성 <br>가. 세종시의 대기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 <br>3. 세종시의 건설ㆍ교통 및 기타 대기 오염원 <br>가. 도시 건설과 관련된 도로ㆍ비도로 오염원 <br>나. 시멘트 및 기타 주요 산업에 따른 대기오염 발생 요인 <br>다. 세종시의 비산먼지 관리 현황 <br>제4장 세종특별자치시 대기질 관리를 위한 기본 방향 <br>1. 지속가능한 대기질 관리를 위한 제언 <br>2. 향후 주요 연구 수요 <br>3. 단계별 대기관리 정책 방안 <br><br>제5장 결 론 <br><br>참고 문헌 <br><br>Abstract -
dc.format.extent 39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세종특별자치시 -
dc.subject 대기환경 관리 -
dc.subject 미세먼지 -
dc.subject 배출량 -
dc.subject 종합대기관측소 -
dc.subject Sejong City -
dc.subject Air Quality -
dc.subject Policy Measure -
dc.subject Sustainable Development -
dc.title 세종특별자치시의 대기질 관리 기획 연구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Air quality of Sejong city and brief discussions on the sustainable policy measure to manage the local air quality -
dc.title.partname Working Paper -
dc.title.partnumber 2015-18 -
dc.description.keyword 기후변화대응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him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ang-Sub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