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탄소 기후변화 적응 사회를 위한 사회ㆍ경제 변화 시나리오 개발

Title
저탄소 기후변화 적응 사회를 위한 사회ㆍ경제 변화 시나리오 개발
Authors
채여라
Co-Author
송영일; 박창석; 이상엽; 김오석; 김동현; 김연주; 강영경; 장선주; 박한나; 김기환; 임동순; 김호용; 이진섭; 강정은
Issue Date
2016-06-24
Publisher
환경부,한국환경산업기술원
Series/Report No.
기후변화대응 환경기술개발 사업
Page
563 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0413
Language
한국어
Abstract
□ The Objective & Necessity of the Research Scenarios are essential components for climate change policy making and research due to long term nature of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scenarios are widely applied for climate change research, however, corresponding socioeconomic scenarios are not available. This study aims to develop socioeconomic scenarios to apply vulnerability assessment. □ Contents and Scope This study developed 3 scenarios (SSP1, 2, 3) for 2010, 2020, 2030, 2040, 2050. 2075 and 2100. Temporal scale varies depending on nature of proxies. Major contents of research are development of sectoral storylines for SSP(Shared Socio-economic Pathway) scenarios, development of quantitative scenarios for SSP storylines and downscaling, development of RCP-SSP scenario matrix and quantification of adaptation capacity.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기후변화는 장기간에 걸쳐 일어나는 현상으로 먼 미래에 대한 정책을 설계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시나리오 적용이 필수적임. - 시나리오는 미래가 어떻게 펼쳐질지에 대한 것으로 미래 예측과는 다름. - 시나리오 플래닝(Scenario Planning)은 개연성 있는 미래상에 대해 이 미래를 구성하는 시범 조건들을 개발하는 접근법임. ¡ 취약성 평가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수준의 시공간정보 생성을 위해서는 수집된 시공간 자료 의 공간 상세화 기법 개발을 통한 자료 제공이 필요함. - 자료의 공간 상세화 범위는 개발된 사회경제 시나리오가 취약성 평가에 사용될 수 있도록 기초자치단체인 시군구 및 읍면동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음. - ?사회경제 시나리오를 고려한 통합취약성 평가 체계 구축? 연구를 통해 대표 사회경제 시 나리오가 개발됐으나, 공간적 상세화는 이뤄지지 않았음. ¡ 본 연구에서는 저탄소 기후변화 적응 대책 수립을 위해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에 체계적으 로 적용 가능한 사회경제 시나리오를 개발하고자 함. □ 연구개발 내용 가. 1차년도 ¡ 국내외 사회경제 시나리오 개발 선행연구를 통한 사회경제 시나리오 개발 방법 및 체계 분석 - 해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시나리오 개발 방법 및 과정 습득 - 해외 대표적인 사회경제 시나리오 개발 연구 내용을 참고하여 시나리오 개발 방법론 및 체계 등을 분석 - 국내 대표적인 사회경제 시나리오 개발 연구 내용을 참고하여 시나리오 개발 방법론 및 결과 분석 ¡ 주요 사회경제 지표의 과거 추세 및 미래 시나리오 분석 - 과거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중 사회경제 지표의 변화 추세 및 변화 요인 분석 - 주요 사회경제 지표에 대한 해외 연구기관의 과거 추세 분석 - 주요 사회경제 지표에 대한 국내 연구기관의 미래 시나리오 결과 분석 - 각 연구마다의 추세 및 전망 비교 및 결과 분석 ¡ 사회경제 시나리오의 핵심 요소 및 대리변수 선정 - SSP에 따른 사회경제 시나리오를 개발 중인 해외 연구기관의 결과 참고 -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에 고려되는 대리변수 선정 - 시나리오 전문가단 운영을 통한 부문별 전문가 의견 수렴 ¡ SSP에 따른 부문별 사회경제 스토리라인 개발 - ‘인구’, ‘경제’, ‘기술’, ‘환경 및 사회적 기반시설’, ‘거버넌스, 정책 및 제도’, ‘토지이용’, ‘에너지’, ‘개인의 선호 성향’ 등 8개 핵심 요소에 대한 스토리라인 개발 - 시나리오 전문가단 운영을 통한 스토리라인 구체화 ¡ 사회경제 시나리오에 적용 가능한 국내외 통합평가모델 분석 AIM, MESSAGE, IMAGE, MiniCAM 등 해외 통합평가모델 분석 - 2050 배출량 계산기, GFMS 등 국내 통합평가모델 분석 ¡ 사회경제 시나리오의 공간 상세화 방법론 분석 - ‘인구’, ‘경제’, ‘토지이용’ 등에 관한 국내외 공간 상세화 방법론 및 결과 분석 나. 2차년도 ¡ 총인구 및 인구구조 변화 시나리오 - 통계청(2011)의『장래인구추계: 전국편』결과를 기준으로, 2060년도까지의 총인구 추계를 2100년도까지 연장 - 통계청(2012)『장래인구추계: 시도편』결과를 기준으로, 2040년도까지의 시도 인구 추계를 2100년도까지 연장 (통계청에서 제시한 16개 시도에 세종시를 포함하여 17개 시도별 시 나리오를 개발할 예정) - 통계청 추계를 바탕으로 시군구 및 읍면동 단위의 인구추계 ¡ 경제 및 산업구조 변화 시나리오 - 한국개발연구원, 국회예산정책처의 장기 GDP 추계 결과 적용 - 2100년도까지 추계된 GDP를 GRDP로 공간 상세화 한 시나리오 개발 ¡ 에너지 및 온실가스 변화 시나리오 ¡ 토지이용 변화 시나리오 ¡ 그 외 사회경제 지표 시나리오 개발 - 취약성 평가에 필수적인 주요 사회경제 지표에 대한 스토리라인 및 시나리오 개발 ¡ 정책 시나리오 개발 - 기후변화 정책 시나리오(감축 정책 시나리오 및 적응 정책 시나리오) 개발 다. 3차년도 ¡ RCP 시나리오를 적용한 사회경제 시나리오 개발 - RCP 기준(reference) 시나리오에 대하여 기후변화 정책 시나리오 적용 시나리오 및 비적용 시나리오 개발 - RCP4.5에 대하여 기후변화 정책 시나리오 적용 시나리오 및 비적용 시나리오 개발 - RCP8.5에 대하여 기후변화 정책 시나리오 적용 시나리오 및 비적용 시나리오 개발 ¡ 적응 능력 정량화 □ 연구개발 범위 ¡ 공간적 범위 ? 공간적 범위는 북한을 제외한 대한민국이다. 시나리오 개발을 위한 공간 상세화 범위는 10km×10km를 목표로 하되, 취약성 평가에 있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자료 확 보와 가공이 가능한 기초지자체(시군구 및 읍면동) 수준으로 구축하고자 함. ¡ 시간적 범위 ? 2100년도까지의 시나리오를 개발하며 중기 미래(2050년)까지는 10년 단위, 장기 미 래(~2100년)에 대해서는 25년 단위의 시나리오를 개발함. ¡ 내용적 범위 ?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인 SSP 체계를 반영한 적응에 대한 사회경제적 부담, 감축에 대한 사회경제적 부담을 두 축으로 하는 사회경제 스토리라인을 작성하고 이에 대한 시 나리오를 개발함. ? SSP 시나리오 중 감축과 적응에 대한 부담(challenge)이 모두 낮은 SSP1, 모두 높은 SSP3, 두 개의 부담 모두 중간 수준인 SSP2 시나리오에 대해 고려함. ?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극단적 사회상에 대한 비교가 가능한 SSP1, 2, 3에 대해 스토리 라인을 개발했음. Ⅳ. 연구개발

Table Of Contents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1. 연구개발 목적
1-2. 연구개발의 필요성
1-3. 연구개발 범위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2-1. 사회경제 시나리오 개발 현황
2-2. 사회 경제 시나리오 개발에 활용 가능한 통합평가 모형 분석

3. 연구수행내용 및 결과
3-1. 연구개발의 내용(범위) 및 최종목표
3-2. 연구개발 결과 및 토의
3-3. 연구개발 결과 요약

4.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환경적 성과 포함)
4-1. 목표달성도
4-2. 관련분야 기여도

5.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등
6.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7. 연구개발결과의 보안등급
8. NTIS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현황
9.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실적
10.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실적
11. 기타사항
12. 참고문헌

부 록(기타 부록, 지침서, 매뉴얼, 안내서, 핸드북 등)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