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환경비용을 고려한 친환경차 구매보조금 실효성 제고 연구 : 차종별 적정 보조금 수준 분석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한진석 -
dc.contributor.other 서은주 -
dc.contributor.other 김승범 -
dc.contributor.other 이호영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7:05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7:05Z -
dc.date.issued 20160930 -
dc.identifier A 환1185 정2016-10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0416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11/006/수시_2016_10_한진석.pdf -
dc.description.abstract 친환경차 보급은 전 세계적으로 대기오염물질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지속가능발전 촉진 및 국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전략 중 하나로 추진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2020년에 친환경차 시장 점유율 20% 달성을 목표로 2015년부터 친환경차 보급 정책을 강화하였으며,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친환경차에 대한 R&D 로드맵을 마련하여 내연차량 대비 친환경차의 경쟁력 확보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친환경차 보급 정책의 실효성 제고에 기여하고자 정부 관점에서의 친환경차 보급 정책에 대한 경제성 분석과 개별 소비자 관점에서의 친환경차에 대한 수익성 분석을 통하여 EV, PHEV, FCEV에 대한 적정 보조금 수준을 분석하였다. 경제성 및 수익성 분석 결과, 2016년 기준으로 정부의 친환경차 보급 정책은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반면, 개별 소비자 관점에서 EV와 PHEV는 내연차량 대비 수익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러한 경우 개별 소비자는 EV와 PHEV의 구매를 적극적으로 고려하게 되지만, 사회적으로는 EV와 PHEV 보급이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일정 정도 보급에 제한을 둘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국내 친환경차 보급 정책은 친환경차 보급에 대한 국제적 추세, 친환경차 시장에 대한 긍정적 전망 및 관련 산업 육성에 따른 기대효과, 고품질 환경서비스 확보 등을 감안하여 친환경차의 시장 형성 및 단가 하락이 가능한 시점까지는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수익성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민간에 보급되는 EV와 PHEV의 보조금 수준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되며, 시범보급 단계인 FCEV의 보조금 수준은 민간 보급이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재검토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보조금 수준은 장래 여건 변화(친환경차 시장 활성화 및 단가 하락, 기술개발에 따른 연비 향상 등)에 대응하여 신중하게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
dc.description.abstract The dissemination of green vehicles is grabbing attention as a method to decrease the air pollutants and greenhouse gases around the world, and it is promoted as one of the strategies for promoting a sustainable development and reduction of national greenhouse gases in Korea as well. The government has strengthened the policy on the dissemination of green vehicles starting in 2015 with the goal of achieving 20% market share of the green vehicles by the year 2020, and is putting in efforts to secure competitiveness of the green vehicles compared to the internal combustion cars by making a R&D road map on the green vehicles from 2016 to 2020.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the appropriate subsidy level for EV, PHEV and FCEV through the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n the green vehicle dissemination polic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government and the profitability analysis on the green vehicles from the point of view of individual consumer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effectiveness of the domestic green vehicle dissemination policy. The results of the economic feasibility and the profitability analysis show that the government’s green vehicle dissemination policy does not have the validity of economic feasibility; however, from the point of view of individual consumers, EV and PHEV do have the profitability compared to the internal combustion vehicles, with 2016 as the base year. In this case, individual consumers may actively consider the purchase of EV and PHEV; however, as a society, the dissemination of EV and PHEV is not proper, and some restrictions on the dissemination is necessary. As a result, the domestic green vehicle dissemination policy must be continuously promoted until the market formation of the green vehicles and the price decrease is possible by giving consideration to the global trend on the dissemination of the green vehicles, positive forecast on the green vehicles market, expected effects from the nurturing of the related industries, securing the high-quality environmental service, etc. Moreover, based on the profitability analysis results, the current level of subsidy for EV and PHEV disseminated to the private is determined to be appropriate, and the subsidy level of FCEV, which is in the test dissemination stage, needs to be reviewed when the dissemination to the private individuals is reached. This level of subsidy must be carefully adjusted in response to the future condition changes (activation of green vehicles market, price decrease, improved mileage from technological development, etc).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r>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br>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br><br>제2장 친환경차 보급 정책 동향 분석 <br>1. 국내 정책동향 <br>2. 국외 정책동향 <br>3. 친환경차 보급 정책 효과 <br><br>제3장 친환경차 적정 보조금 수준 분석 <br>1. 친환경차 보급에 따른 환경비용 절감효과 <br>2. 친환경차 보급 정책에 대한 경제성 분석 <br>3. 친환경차 구매에 따른 수익성 분석 <br>4. 소결 <br><br>제4장 결론 및 제언 <br>1. 결론 <br>2. 정책 제언 <br><br>참고문헌 <br><br>부 록 <br>부록 Ⅰ. 주요 선도국 친환경차(EV, PHEV) 보급 정책 <br><br>Abstract -
dc.format.extent 80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친환경차 -
dc.subject 대기오염물질 -
dc.subject 온실가스 -
dc.subject 경제성 -
dc.subject 수익성 -
dc.subject Green vehicle -
dc.subject Air Pollutant -
dc.subject Greenhouse Gas -
dc.subject Economic Feasibility -
dc.subject Profitability -
dc.title 대기환경비용을 고려한 친환경차 구매보조금 실효성 제고 연구 : 차종별 적정 보조금 수준 분석을 중심으로 -
dc.type 수시연구 -
dc.title.original Th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ubsidy of green vehicles by considering the cost of air pollution : focus with the analysis of the subsidy level appropriate for the vehicle type -
dc.title.partname 정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6-10 -
dc.description.keyword 기후변화대응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in-seok Hahn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olicy Study(정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