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덤워크를 이용한 생태네트워크 변화 모의예측방안 연구(Ⅱ)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김지영 -
dc.contributor.other 노태호 -
dc.contributor.other 유상덕 -
dc.contributor.other 서보용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7:08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7:08Z -
dc.date.issued 20161231 -
dc.identifier A 환1185 연2016-13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0447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9/009/기본_2016_13_김지영.pdf -
dc.description.abstract As a development project is implemented in a certain area, addition of artificial obstacles may hider movements of animals, losing some available paths that they had been used without any interruptions. This kind of impacts results in that they find the other routes to pass around. This study is about developing simulation program for estimating impacts of development project on ecological network and analysing methods of change in animal movement paths are proposed. Ecological Network Simulator (EN Simulator) is developed to simulate possible ecological network changes and relative influences on the network when obstacles are added from disturbances by development project. Random walker is used as an imaginary animal in the EN Simulator and moves by choosing next position based on their probabilities. Each random walker determines its next position by probabilistic choice from adjacent points that have their own properties, which reflects existence of obstacles, inclination and surface condition. Suggested elementary methods are composed of ‘Background test’ and ‘Basic method’. The Background test is to ensure the simulator works properly in a designated settings, and the Basic method is a fundamental operating method of the EN Simulator. In the Basic Method ? analysis of moving preferences ? the preferable direction is determined by analysing movement results of many random walkers starting from a point to other points located within a given distance. In addition, 3 spatial analysis methods - Major Movement Direction Analysis, Permeability Analysis and Trekker - are suggested to assess changes of movement patterns. These 3 assessment methods use iterations of the Basic method. Telemetry track records of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nd field traces of Leopart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euptilura) are used to validate the simulation results between imaginary movements of random walkers and real traces of animals. Various sets of probability values to define difficulties of movement due to inclination degree of geographical surfaces are applied to find an optimum setting parameters for EN Simulator. Results are compared to check stability of simulation results when starting points are selected by operators who may produce slight deviations inadvertently. Simulation analysis cases are presented to see change in moving probabilities before and after project implementation. Analyses are also accomplished to see changes in animal movement probabilities when shape of a site is modified.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imulator can be applied to find optimum site shape to minimize impacts on ecological networks. Manual is attached as an appendix. -
dc.description.abstract 어느 지역에 개발사업이 시행되면 이로 인해 자연상태에 인공적인 지형 장애요소들이 추가되고 이것들이 동물의 이동을 방해하여 사업 시행 전보다 이동 가능 통로가 감소해 동물들은 다른 이동경로를 선택하게 될 것이다. 이 연구는 개발사업이 생태계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물의 이동에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에 주어진 조건에서의 가능한 생태네트워크의 형성과 지형 장애요소가 추가되었을 때의 네트워크의 변화와 영향 정도를 모의 실험할 수 있는 Ecological Network Simulator(EN Simulator)를 개발하였다. EN Simulator의 분석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초기 테스트(Background Test)와 이동선호 분석법(Basic Method)을 기본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이동선호 분석법은 동물이 어떤 한 지점에서 주변으로 이동할 때 가장 선호하리라 예상되는 방향을 랜덤워커의 이동 결과를 통해서 결정하는 방법으로, EN Simulator에서 사용하는 기본 분석방법이다. 이 기본 방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동물 이동을 모사해 동물의 이동가능성 변화를 공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주 이동방향 분석법(Major Movement Direction Analysis), 이동가능성 분석법(Permeability Analysis) 및 이동 추적법(Trekker)을 제시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동물의 이동이 유사한지를 검토하기 위해서 EN Simulator에 의한 이동패턴과 고라니 이동 원격추적 결과 및 삵의 흔적 조사결과를 비교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장애요소 간의 관계를 검토하기 위해 경사도에 따른 이동확률을 비교하였고 이를 토대로 최적의 이동확률을 설정하였다. 랜덤워커의 위치에 따라 시뮬레이션 결과에 얼마나 영향이 있을지를 검토하기 위해서 출발점에 따른 결과를 비교하여 제시하였고, 이를 Simulator에 반영하였다. EN Simulator를 이용하여 사업 시행 전과 사업 시행 후의 이동가능성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분석 제시하였다. 사업부지의 형태를 바꿀 경우 이동가능성에 발생되는 변화를 분석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최적의 부지형태를 선정하기 위한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EN Simulator의 사용방법을 정리한 매뉴얼은 부록에 수록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1. 연구배경 및 필요성 <br>2. 연구 내용 및 방법 <br>가. 연구내용 <br>나. 연구방법 <br><br>제2장 선행연구결과 <br>1. 선행연구 <br>가. 프로토타입Ⅰ <br>나. 프로토타입Ⅱ <br>2. EN Simulator의 1차년도 연구 결과 <br>가. 운영방식 <br>나. 결괏값 분석방법 <br>3. Data 준비 <br>가. 입력데이터의 준비 <br><br>제3장 EN Simulator 구성 및 분석방법 <br>1. Ecological Network Simulator의 개요 <br>2. EN Simulator 구성 <br>가. 입력데이터 <br>나. 프로그램 구동 <br>3. 분석방법 <br>가. 초기 테스트(Background Test) <br>나. 이동선호 분석법(Basic Method) <br>다. 주 이동방향 분석법(Major Movement Direction Analysis) <br>라. 이동가능성 분석법(Permeability Analysis) <br>마. 이동 추적법(Trekker) <br><br>제4장 시뮬레이션 결과와 동물이동 관측자료 비교 <br>1. 고라니 <br>가. A지역 <br>나. B지역 <br>다. C지역 <br>2. 삵 <br>가. A지역 <br><br>제5장 EN Simulator와 실제 장애요소 간의 관계 <br>1. Simulation 조건설정 <br>2. 경사도에 따른 동물 투과성 <br>가. 경사도 이동확률1(2015) <br>나. 경사도 이동확률2 <br>다. 경사도 이동확률3 <br>라. 경사도 이동확률 시뮬레이션 결과 <br>3. 통로와 장애물 위치 간의 관계 <br>가. 통로와 장애물 면적과의 관계 <br>나. 시작지점에 따른 통과율 비교 <br>4. 장애물 형태에 따른 통과율 <br><br>제6장 토의 및 결론 <br>1. 이동방향별 이동가능성 변화 분석(Directional Analysis)<br>2. AS지역 사업시행 전과 사업시행 후 이동가능성 비교 <br>3. 장애물 형태에 따른 이동가능성 분석법 <br>4. EN Simulator를 이용한 최적 부지형태 선정 <br>5. 연구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br><br>참고문헌 <br><br>부 록 <br>부록 Ⅰ. 동물이동영향 예측 프로그램(EN Simulator) 사용법 <br>부록 Ⅱ. 지형장애물 표준코드 <br><br>Abstract -
dc.format.extent 168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지형장애물 -
dc.subject 랜덤워크 -
dc.subject 생태네트워크 -
dc.subject 환경영향평가 -
dc.subject EN Simulator -
dc.subject 이동가능성 -
dc.subject EN Simulator -
dc.subject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
dc.subject Random Walker -
dc.subject Geographical Barrier -
dc.subject Ecological Network Simulation -
dc.subject Permeability -
dc.title 랜덤워크를 이용한 생태네트워크 변화 모의예측방안 연구(Ⅱ)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Simulation for Ecological Network Change Using Random Walk as an EIA Tool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6-13 -
dc.description.keyword 환경평가 -
dc.rights.openimage Y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i Young Kim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