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과학의 자연환경조사 적용방안 조사

Title
시민과학의 자연환경조사 적용방안 조사
Authors
김윤정
Co-Author
이현우
Issue Date
2016-12-31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Series/Report No.
Working Paper : 2016-09
Page
65 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0457
Language
한국어
Keywords
시민과학, 자연환경조사, 시민참여 자연환경측정망, 시민과학 적용유형, 생물다양성 인식증진
Abstract
As there is a global need to enhance quantity and quality of data on species and diverse ecosystem, citizen science become major tool to be adopted in natural environment survey. That is, citizen science, the scientific activities involving citizens, is a theme that can raise participation of citizens including amateurs and non-expert into biodiversity monitoring. Recently, GBIF's accumulated data illustrated the fact that citizen science was one of the major tool that boost monitoring activities for biodiversity. However, national implementation of citizen science is still at an early stag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that can facilitate citizen science including citizen network to promote sustainable voluntary survey, implementation of ICT, and utilization citizen science in national survey. Through comparing the best practices of such factors and national status, this study aims to pose gaps and priorities on national implementation, and develop strategies to adopt citizen science. Through investigating national circumstances to adopt citizen science, this study discovered that quantities of NGOs, that involved in monitoring on species and ecosystem, were quite sufficient. On the other hand, the network promoting co-survey and sharing of data was not yet activated compared to BRC's case. Furthermore, utilization of ICT was also at an early development stage. In specific, more than 90% of investigated NGOs was not accumulating the data through the online platform or geographical form. As such, geographical analyzation and use of data, produced through participation of citizens, were not activated in national ecological studies. Moreover, it was clear that bias of data could be reduced, when experts participate at the design stage of the project. Hence, to suggest application strategies, this study assesses the 'monitoring 1000 site' in Japan to analyze implementation strategies on crowdsourced data. To conclude, this study identified the implementation strategies that can be adopted in national ecological survey. Furthermore, it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data management, which is located in the middle of public and private domain.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mote broader participation of non-experts and amateurs among national surveys on biodiversity.


우리나라는 자연환경조사에서 시민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한국생물다양성네트워크(K-BON)를 수립하고 ??제3차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2016-2025)???에 시민참여 자연환경측정망 500개소를 구축할 것을 명시한 바 있다. 그러나 국제적으로 시민참여 자연환경조사 자료가 GBIF에 다량 게시되는 것과 달리 국내 시민참여 자연환경조사 자료의 양과 질은 아직 미흡하여 활성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국내 시민과학의 자연환경조사 적용방안에 대하여 국제적 우수 사례 대비 국내 현황을 진단하고 활성화 및 활용 방안을 이론적으로 고찰한 연구 사례가 없어 관련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자연환경조사에서의 시민참여를 증진하기 위해 시민과학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위해 국외 우수 사례의 시민과학 발전요인을 분석하고 국내 현황에 따른 시민과학 적용 유형의 도입방안 및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국외 우수 사례의 분석 결과, 시민과학의 발전요인으로 크게 4가지 요인을 들 수 있다. 먼저 기존에 자발적으로 자연환경조사에 참여하던 아마추어 과학자의 조사활동이 자연환경조사 NGO로 확장되고 더 나아가 대중적인 일반 국민의 참여를 이끌어낸 바 있다. 즉, 자발적 자연환경조사 기반은 각 환경 관련 NGO의 설립과 단체 간 네트워킹으로 구축되었으며, 단체 간 공동 모니터링 및 교육활동 수행, 온라인상 자율적 정보 공개 및 교류는 기존 소수의 준전문가가 개별적으로 수행하던 조사를 대중적인 참여로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일반 국민의 유용한 생물동정을 위하여 ICT 기술을 활용한 각종 모바일 생물동정 앱, 웹 페이지가 개발된 바 있으며, 본 ICT 기술의 활용으로 대중적 생물다양성 모니터링이 가능해졌다고 판단된다. 더불어 ICT 기술의 도입에 따라 기존에 종이 대장으로 기록되던 생물종의 종출현 정보를 온라인 플랫폼상에서 공유할 수 있게 되어 각 단체 또는 개인의 자연환경조사 자료가 종합·공유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는 시민과학 활동 확장에 기여하였다. 셋째, 국가 자연환경조사에 시민참여를 도모하고 이를 위해 전문가의 과학기술적 지원 아래 조사지점 및 조사 가이드라인이 구축된 바 있다. 특히 시민참여로 생성된 조사자료는 자료의 신뢰도와 일관성이 낮은 경우가 많아 국가적 정책자료로 활용되기에 부적합한 경우가 많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전문가의 개입하에 조사지점 및 조사 항목의 구축 시, 조사 난이도를 고려한 일관성 있는 조사체계를 설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시민참여 조사활동은 그 조사 범위가 주로 거주·생활지역에서 인접한 지역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경우가 많다. 일본, 호주 등은 지역 내 생태적 특징을 고려하여 지역 단위의 조사활동을 장려하며 일본은 이를 위해 ?지역의 다양한 주체의 연계에 의한 생물다양성 보전활동 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한 바 있다. 결과적으로, 상위 4가지 발전요인을 통해 일부 아마추어 과학자, 지역 학자 등에 의해 분산되어 수행되어 오던 자연환경조사 활동이 대중적으로 확산되고 국가 및 국제적 생물다양성 정보로 활용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사료된다. 국내 현황의 조사 결과, 국내 자발적 자연환경조사의 기반이 될 수 있는 환경 관련 NGO활동은 주로 거주·생활지역, 지역 내 중요 목표종을 대상으로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 조사단체의 조사빈도, 조사범위는 전문조사자와 견줄만하나 조사결과의 공유, 조사단체 간 자료연계 및 공공정보로의 활용이 희박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불어 시민참여를 대중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모바일 기반 생물동정 앱 등 ICT 지원도구의 부재로 준전문가 또는 전문가의 교육 없이 국내 비전문가가 자발적 생물동정을 원활히 수행하기 어려운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3차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2016-2025)??에 의해 국민참여 자연환경측정망 500개소가 구축되어야 하나 상기 내용이 진행된 바 없어 현재 국가적 시민참여 모니터링 지점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지방생물다양성전략’ 수립 시, 시민참여 자연환경조사를 수행할 것을 명시한 바 있으나 전략의 수립 및 초기 시행 단계여서 향후 지방자치단체의 시민참여 조사활동의 확산을 위한 지역조사지점 구축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민참여 자연환경조사체계 구축사례인 일본의 ‘모니터링 1000 사이트’를 대상으로 참여난이도에 따른 시민과학 도입 유형을 분석하고 자연환경조사에서의 시민참여 도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니터링 1000 사이트’에서의 준전문가, 비전문가의 조사활동이 주로 2차 자연(사토치-사토야마) 즉, 생활반경 내 접근성이 높은 도시지역과 지역 내 중요한 목표종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것에 주목하였으며 전문성·집약도에 따른 각 참여유형별 시민과학 적용 유형을 고찰하였다. 결과적으로, 국내 시민참여 조사측정망은 준전문가-전문가의 지원하에 수행되는 일회성 바이오블리츠, 생물동정 앱을 활용한 나비, 조류 등 동정 난도가 낮은 자발적 종 조사, 세부목표(목표종, 목표생태계)에 대한 지식을 함유한 집약적 시민참여 조사의 형태를 고려하여 구축될 필요가 있으며 주로 거주·생활지역, 접근성이 좋은 지역을 중심으로 구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각 도시공원 관리소, 지방자치단체, 정부부처의 수요를 고려하여 조사지점의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목표종 및 목표생태계를 대상으로 기존에 진행되어오던 국내 환경 관련 민간단체의 조사활동 중 지방자치단체 및 정부의 자연환경보전정책에 활용될 수 있는 조사항목을 규명하고 본 조사활동을 일반 국민의 대중적 참여로 확장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생물다양성전략 개발 및 시행과 연계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결과적으로 시민과학의 자연환경조사 적용은 기존에 각 정부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의 자연환경조사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주요 방안으로 인식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생물다양성 인식 증진을 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제2장 자연환경조사에서의 시민과학 발전요인
1. 자발적 자연환경조사 기반 및 네트워크 형성
2. ICT 기술의 효과적 적용
3. 국가 자연환경조사에 시민과학 활용
4. 지방자치단체가 중심이 된 자연환경조사 장려

제3장 발전요인별 국내 수행 현황 검토
1. 자연환경조사단체 현황
2. ICT 기술의 적용 현황
3. 국가적 모니터링 지점의 구축 및 자료 왜곡 완화
4. 지방자치단체의 시민참여 자연환경조사 수행
5. 발전요인의 국내 도입을 위한 정책방향

제4장 자연환경조사에서의 시민과학 수행 및 활용 유형
1. 시민과학 적용유형의 분류 고찰
2. ‘모니터링 1000 사이트’의 시민과학 적용유형 분석
3. 국내 자연환경조사의 시민과학 적용유형 도입방안

제5장 결 론

참고문헌

부 록
부록. 민간단체의 자연환경조사 현황분석 설문조사지

Abstract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