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적응 정보 공동활용 체계 강화(부록)

Title
기후변화 적응 정보 공동활용 체계 강화(부록)
Authors
이명진
Co-Author
최흐선; 박보영; 천재홍; 김영인; 한국진; 최두연; 서은희; 차승훈; 윤지원; 김성대; 김겸철; 윤미해; 강병진; 변형균; 김남기
Issue Date
2016-12-31
Publisher
환경부
Series/Report No.
기후변화 적응 : 2016-001-07
Page
146 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1117
Language
한국어
Abstract
1. 배경 및 필요성 가. 배경 □ 기후변화 적응정보와 관련된 최근의 이슈는 크게 3가지로서, 첫째 지자체(광역 및 기초) 기후변화 적응 대책 지원이 유지되어야 하며, 둘째, 기후변화 적응정보의 수요가 지자체에서 공공기관 및 민간기관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셋째, 제2차 국가기후변화 적응 대책을 통하여 기후변화 적응정보의 활용이 확대될 예정 □ 첫째, 지자체(광역 및 기초) 기후변화 적응 대책 지원이 유지되어야 하므로, 2017년까지 제2차 광역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세부시행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2015년까지 완료되어야 하는 기초지자체 적응 세부시행 계획이 현실적으로 2016년 상반기까지 진행되고 있는 실정임 ○2011년 제1차 광역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세부시행 계획이 수립되었지만, 광역지자체 담당자가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은 각 지자체의 기후변화가 어떤 형태로, 어떠한 영향을 주며, 어떠한 취약성을 나타내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임 ○제1차 광역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세부시행 계획 수립에 활용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도구에서 현재 웹 기반 취약성 평가지원도구로 변경되었음 ○현재 웹 기반으로 기초 및 광역지자체를 아우르는 취약성 평가지원도구가 개발되어 현업에서 활용 중임 ○광역지자체에 대한 지원과 기초지자체에 대한 취약성 평가도구 활용, 해석 등의 지원이 상존하는 현실임 □ 둘째, 공공기관의 기후변화 적응 대책 수립이 강화되면서, 현재 한국전력, 한국철도공사 등에서 기후변화 적응 대책 수립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있음 ○사회기반시설을 운영하는 공공기관은 단순한 기후노출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각각의 사회기반시설에 최적화된 기후노출 인자를 분석해야 됨 ○결국 현재 지자체에 제공되는 기후변화 취약성 도구로는 한계가 명확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응용기상정보, 기후노출 인자의 분석이 중요한 사항이 됨 □ 셋째, 제2차 기후변화 적응 대책 수립 중 통합정보 제공 및 통합 취약성 평가?리스크 관리의 직?간접적 도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2차 기후변화 적응 대책의 ‘과학적 기후변화 위험관리 체계 마련’ 중 취약성 평가 및 통합정보 제공을 이행하는 도구의 개발 필요 ○현재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와 관련되어 제공되는 지원도구를 개선하고, 지원도구에 활용되는 적응정보를 보다 다양화할 필요가 있음 ○이를 통하여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 등 각각의 취약성 분석이 필요한 부분을 과학적 근거로 지원하고, 다양한 적응정보를 연동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함 □ 특히, 기후변화 이슈는 집중호우, 폭염 등 지속적으로 발현되고 있지만, 매년 발현되는 형태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 이러한 변화하여 발현되는 기후변화 피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선제적으로 다양한 적응정보를 생산?관리할 필요가 있음 ○또한, 지속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이슈가 발현되고, 적극적 대응이 국가적 차원에서 중요한 시점에 합리적인 기후변화 적응정보를 시의 적절하게 구축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임 나. 필요성 □ 2014년 개발된 기초지자체 지원을 위한 “‘웹 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원도구(VESTAP: Vulnerability Assessment Tool to build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가 광역지자체 지원을 위하여 2015년 확대 구축되었음 ○본 “웹 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원도구”는 2013년 수행된 “국가 기후변화에 따른 공동 환경대응체계 구축 ISP”에서 부분적으로 발전된 것으로 기후변화 관련 취약성 평가를 비전문가도 쉽게 활용 가능하도록 구축한 것임 □ VESTAP의 확산으로 광역 및 기초지자체별 적응대책 수립 시 과학적 근거 기반 마련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며, VESTAP의 향후 활용은 현재의 지자체 지원에서 공공기관 및 민간기관까지 확대되고 있음 ○중앙부처, 지자체 등에 분산된 기후변화 적응 관련 정보의 수집?가공을 일괄적으로 실시하여 제공함으로서 지자체의 부담 경감하고 있으며 향후 활용 확대 예정 ○이를 위하여 공신력 있는 정보를 활용하여 지자체에 제공함으로서 신뢰성 및 현실성 높은 적응대책의 수립 유도 및 향호 활용 확대 필요 □ 취약성 평가지표 DB의 활용성 향상 요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취약성 평가 시스템뿐만 아니라, DB의 활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기존 취약성 평가에 사용된 원시 지표 자료는 시대별로 생산된 데이터 형식 및 기준 차이로 인해 수시로 업데이트가 필요 ○또한 현재 VESTAP에서 활용되는 지표 자료 이외의 행적구역별, 시대별에 맞는 신규 지표 구축을 통한 시스템 활용성 향상 필요 □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KACCC: Korea Adaptation Center For Climate Change) 홈페이지 콘텐츠 고도화 및 시스템 안정화 필요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의 홈페이지는 다양한 접속자가 다양한 형태로 정보를 수집 및 획득하는 창구이며, 정보 콘텐츠의 다양성과 정보제공의 안정성을 위한 시스템 고도화가 필요 2. 사업 내용 가.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원도구(VESTAP) 시스템 DB 현행화 □ 기존의 광역?기초지자체용 VESTAP에 활용되는 DB 현행정보에 따른 수정 및 갱신 ○광역?기초지자체용 VESTAP에 기상자료로 활용된 제어적분 200년 자료를 400년 자료로 추가 갱신 □ 기존 제어적분 200년 자료를 활용한 VESTAP에 제어적분 400년 자료를 반영하는 방안 마련, 기상청 기후변화 시나리오(제어적분 400년) Raw Data 분석, 제어적분 400년 자료 수집 및 DB와 System 추가 반영 방안 수립, 적용 방법론 수립 등 □ 제어적분 400년 자료에 대하여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가 수립한 방법론으로 DB 구축 및 시스템 추가 ○광역?기초지자체용 VESTAP에 활용되는 기존 원시자료 중 이슈가 발생하는 부분에 대한 갱신 및 현행화 등 □ 기존 7개 부문, 32개 취약성 평가의 활용되는 DB 총 455개의 Raw Data의 신규 생성 및 변경 여부 확인, 신규 원시자료 적정 목록 선정, 수집 및 DB와 System 반영 방안 수립 등 □ 전술된 목록 중 최신화가 필요한 경우, 수집 항목에 대한 통계 및 공간정보 처리 등 이를 반영한 최종 DB의 현행화 수행 나. 現 광역?기초지자체용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원도구 시스템 안정화 및 개선 □ 기존의 광역?기초지자체용 VESTAP 시스템 기능 개선 및 안정화 ○관련 워크숍, 교육회 등을 통한 광역?기초지자체용 VESTAP 기능 추가 요구 사항 수렴 및 개선 □ ICT 기반 VESTAP 시스템 평가 연계 분석 결과 해석에 대한 지자체 및 공공기관 등을 사용 방안 지원 및 해석과 활용에 대한 평가 지원 □ VESTAP 시스템 활용 중 오류 발생 시 오류 수정 및 기술적 지원, 취약성 평가 결과 연계 및 표출 그래프 등 사용자 요구를 반영한 시스템 GUI(Graphic User Interface) 개선 등 ○취약성 평가 결과 조회 추가 기능 개선 □ 현 VESTAP 평가 조회의 기능을 대폭 개선하여, 시계열 결과 조회 기능 등 결과를 보다 편리하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재구성, 예를 들어 과거자료, 2020, 2030, 2040, 2050년대의 자료를 동시에 일괄적으로 조회할 수 있는 기능 개선 등 사용자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추가 기능 개선방안 모색 □ 전술된 기능 개선방안을 반영한 DB 구축 및 현행화 ○광역?기초지자체용 VESTAP 전반적 운영 및 전체 사업 관리 □ 통합된 광역?기초지자체용 VESTAP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 수립 및 수시적 시스템 검증 □ 사용자의 건의 및 문의사항은 유무선상, 이메일, 홈페이지 등으로 실시간 적극 대응 □ 기후변화 적응 국제 학술대회 등을 통한 취약성 평가 국외 전문가 의견 수렴, 실질적으로 사용하는 지자체 및 기관 담당자 의견 수렴, 대내외적 연구 성과 홍보(워크숍 참석 및 학술대회 참석) 및 VESTAP 사용자 가이드 교육 실시 다. 기후변화 적응정보 시스템(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홈페이지) 활성화 및 콘텐츠 고도화 □ 국?영문 홈페이지 활성화 ○국?영문 홈페이지 게시판 카테고리 범주화 및 리뉴얼, 기존 게시판 세부 기능 업그레이드 및 홈페이지 리뉴얼 ○VESTAP 연대별 시나리오 조회기능과 연계하여 대국민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홈페이지의 게시판을 통해 제공 ○기후변화 적응 관련 정보를 콘텐츠화하여 주기적 업데이트, 기후변화 관련 UNFCCC, IPCC 등 국제기관 행사, 워크숍 일정 및 자료 수시적 제공 □ 기후변화 관련 정보 고도화 및 갱신 ○국내외 기후변화 적응 관련 정보 수집 및 주요 적응 이슈 정보를 콘텐츠로 작성하여 월별로 제공 ○기후변화 관련 유관기관을 통한 문헌자료 수집, 적응정보 메타데이터 갱신, 교육자료 수집 및 업로드 등 □ 노후화 장비 개선 및 S/W, H/W 보안 이슈 해결 ○사용자 증대에 대비하여 노후화된 장비 개선 및 국내외 해킹 문제 대응 □ 신규 S/W 및 H/W 적용을 통한 시스템 안정화, 효율성 제고 ○정기적 S/W, H/W 보안 점검을 통한 이슈 해결, 체계적인 보안 점검 결과 관리를 통한 지속적 관리

Table Of Contents

부록
부록 1. VESTAP 문의 및 건의사항 답변
부록 2. 기후변화 적응 관련 기사 및 최신정보
부록 3. 언론속의 기후변화 적응 주간언론
부록 4. 국내?외 기후변화 적응 이슈리포터
부록 5. H/W 유지보수 결과지
부록 6. S/W 유지보수 결과지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